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2)

공자가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子夏問 三年之喪 旣卒哭하고 金革之事 無避 禮與잇가 初有司爲之乎注+有司잇가
孔子曰 夏后氏之喪 三年旣殯而致하고 殷人 旣葬而致事하고 周人 旣卒哭而致事注+致事 還政於君也 無時之哭이라 大夫三月而葬하고 月而卒哭하며 士旣葬而卒哭也하니
記曰 君子不奪人之親이요 亦不奪故也라하니라 子夏曰 金革之事 無避 非與잇가
孔子曰 吾聞諸老聃호니 曰 魯公伯禽 有爲爲之也注+伯禽 有母之喪 東方有戎爲不義할새 伯禽爲方伯하여 以不得不誅之 以三年之喪으로 從利者 吾弗知也로라하니라


자하가 물었다. “三年喪卒哭을 마친 다음 金革(전쟁)의 일을 피하지 않는 것이 예입니까? 당초에 有司가 이렇게 법을 만든 것입니까?”注+有司는 직임을 맡고 있는 관리이다.
공자가 대답하였다. “夏后氏喪禮는 삼년상에 빈소를 차린 다음 하였고, 殷人은 장례를 치른 다음 致事하였고, 周人卒哭을 마친 다음 致事하였다.注+致事는 임금에게 벼슬을 돌려주는 것이다. 卒哭은 시도 때도 없이 곡하는 것을 그치는 것이다. 대부는 3개월이 되어 장례를 치르고 5개월이 되어 졸곡하며, 는 장례를 치른 다음 졸곡을 한다.
옛 기록에 라고 하였다.” 자하가 물었다. “喪中金革의 일을 피하지 않는 것이 잘못된 것입니까?”
공자가 대답하였다. “내가 老聃에게 듣기로 ‘魯公 伯禽은 까닭이 있어 그렇게 하였던 것인데注+ 지금 사람 중에 삼년 상중에 이익을 얻기 위해 그렇게 하는 자는 내가 알지 못하겠다.’라고 하였다.”
問禮老聃問禮老聃


역주
역주1 43-2 : 이 부분은 四部叢刊本을 저본으로 하였다.
역주2 致仕 : 벼슬을 사양하고 물러난다는 뜻으로 ‘致事’와 같다.
역주3 군자(임금)는……때문이다 : ≪禮記集說大全≫ 〈曾子問〉 陳澔 注에 “君子는 임금을 가리킨다. 신하가 부모의 상을 당하였을 때 임금이 치사를 허락하는 것은 어버이를 잃은 신하의 마음을 빼앗을 수 없기 때문이고, 임금이 명을 내려도 신하가 喪次를 차마 떠나지 못하는 것은 어버이를 잃은 효성을 빼앗길 수 없기 때문이다.[君子 指人君也 臣遭父母之喪 而君許其致事 是不奪人喪親之心也 雖君有命 而不忍違離喪次 是不可奪其喪親之孝也]”라고 하였다.
역주4 伯禽이……것이다 : 伯禽은 周公의 아들이다. 武王이 죽은 해에 武庚이 반란을 일으키고 徐戎이 이에 호응하자, 주공이 東征하여 殷나라의 난리를 평정하면서 백금을 보내 서융을 정벌하게 하였다.(≪禮記集說大全≫ 〈曾子問〉 臨川 吳氏 注)
역주5 (吏職)[職吏] : 저본에는 ‘吏職’으로 되어 있으나, 四庫全書本과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職吏’로 바로잡았다.
역주6 : ≪禮記≫ 〈曾子問〉과 四庫全書本, 漢文大系本에는 ‘事’로 되어 있다.
역주7 (子)[卒] : 저본에는 ‘子’로 되어 있으나, 四庫全書本과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卒’로 바로잡았다.
역주8 (之)[止] : 저본에는 ‘之’로 되어 있으나, 四庫全書本과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止’로 바로잡았다.
역주9 (三)[五] : 저본에는 ‘三’으로 되어 있으나, 四庫全書本과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五’로 바로잡았다.
역주10 (公)[今] : 저본에는 ‘公’으로 되어 있으나, ≪禮記≫ 〈曾子問〉과 四庫全書本,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今’으로 바로잡았다.

공자가어(2) 책은 2020.11.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