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孫子髓

손자수

해제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曹公曰 籍 猶賦也 不再籍 言初賦民而便取勝이요 不復歸國發兵也
曹公曰 軍行已出界하면 近師者貪財하여 皆貴賣하니 則百姓虛竭이라하니
蓋云 千里餽糧 則以爲列國地境 無過千里 謂之出界也
張預文其說하여 云 近師之民 必貪利하여 而貴賣其物于遠來輸糧之人이면 則財不得不竭이라하니
蓋慮其無與貨賣者하여 尋得輸餉人하여 以當百姓하여 而不自知其倍理耳
果軍已出界 則近師者 敵國之民也
將收堡未遑이니 安有貨賣리오
賈不易肆 古莫追어늘 而曾謂戰國而有之乎
況我兵民 與敵人雜湊而無禁이면 則豈得謂軍政乎
舊註云 大車 長轂車라하고 曰 大車 輜重之革車라하니 皆誤矣
黃皇肱曰 轉輸之法 費十이라야 方得其一이라
況敵失一鍾一石이면 我又多一鍾一石이라


조공曹公이 말하기를 “(군역)와 같으니, ‘병사를 두 번 에 올리지 않음’은 처음 백성들에게 군역을 시키고 곧바로 승리를 취하여 다시는 본국으로 돌아가 군대를 더 징발하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삼재三載’는 군대를 처음 출동시킬 적에 필요한 양식[隨糧]과 군대에 계속 공급하는 양식[繼糧]과 개선하는 군대를 맞이하는 양식[迎糧]이다.” 하였으니, 이제 이 말을 따른다.
조공曹公이 말하기를 “군대가 출동하여 이미 국경을 나가면 군대에 가까이 거주하는 백성들이 재물을 탐하여 모두 물건을 비싸게 파니, 이렇게 되면 백성들의 재정이 고갈된다.” 하였다.
‘천 리에 군량을 공급한다.’ 함은 당시 열국列國의 국경이 천 리를 넘는 자가 없었으므로 ‘국경을 나간다.’라고 한 것이다.
장예張預는 이 말을 문식文飾하여 이르기를 “군대에 가까이 있는 백성들이 반드시 이익을 탐하여 멀리 와서 양식을 수송하는 자들에게 물건을 비싸게 팔면 재물이 고갈되지 않을 수 없다.” 하였으니,
이는 상대해 재화를 팔 자가 없음을 우려해서 양식을 수송하는 사람을 찾아내어 이것을 백성들에게 해당시킨 것인데, 이 말이 도리에 위배됨을 스스로 알지 못한 것이다.
과연 군대가 이미 출동하여 국경을 나갔으면 군대에 가까이 있는 자들은 적국의 백성들이다.
장수가 자기 백성들을 보루로 거둬들이기에도 경황이 없을 것이니, 어찌 재물을 팔 수 있겠는가.
〈공격해 온 자가 인의仁義의 사람이어서 전쟁이 일어났는데도〉 장사꾼이 가게를 바꾸지 않음은 먼 옛날이야기여서 후세에서는 따를 수가 없는데, 일찍이 전국시대에 이런 일이 있다고 말하는가.
더구나 우리 병사와 백성들이 적과 뒤섞여 있는데 물건을 매매함을 금하지 않는다면 어찌 이것을 군대의 정사라 할 수 있겠는가.
이는 반드시 없을 일이니, 어찌 조공曹公의 말이라 하여 마침내 그대로 두고 분변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구주舊註에 “대거大車장곡거長轂車이다.” 하였고, 여혜경呂惠卿은 “대거大車치중輜重혁거革車이다.” 하였으니, 모두 잘못이다.
여기에서는 멀리 수송하는 폐해를 말했으니, 그렇다면 대거大車는 바로 군량을 멀리 수송하는 수레이다.
황황굉黃皇肱이 말하기를 “군량을 수송하는 방법은 열을 허비하여야 비로소 그 하나를 얻는다.
더구나 적이 1과 1을 잃으면 우리는 또 1과 1이 많아진다.
그러므로 ‘20과 20을 당해낼 수 있다.’고 한 것이다.” 하였으니, 이 말이 공교한 듯하나 천착穿鑿된 것이다.


역주
역주1 曹公曰……今從之 : 《孫子》 본편의 ‘役不再籍 糧不三載’에 대한 주석이다.
역주2 (遂)[邃] : 저본에는 ‘遂’로 되어있으나, 文理에 따라 ‘邃’로 바로잡았다.
역주3 曹公曰……而遂置不辨也 : 《孫子》 본편의 ‘國之貧於師者……則百姓財竭’에 대한 주석이다.
역주4 呂惠(鄕)[卿] : 저본에는 ‘鄕’으로 되어있으나, ‘卿’의 誤字이므로 ‘卿’으로 바로잡았다. 呂惠卿은 北宋의 晉江 사람으로 神宗 때 王安石에 의해 재상이 되었으나 王安石이 실패한 뒤에는 王安石을 적극 모함한 小人으로, 그의 이 말은 출처가 미상이다.
역주5 舊註云……卽輸糧之車也 : 《孫子》 본편의 ‘急於丘役’의 丘役에 대한 주석이다.
역주6 黃皇肱曰……似巧而鑿 : 《孫子》 본편의 ‘食敵一鍾……當吾二十石’에 대한 주석이다.

손자수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