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2)

한비자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1-10 漆其首以爲𣸈器
○先愼曰 說苑建本篇 作酒器 說文 𣸈 浸沃也라하니 浸沃 若今人之𣸈麪이라
士虞禮 明齊𣸈酒 鄭注 明齊 新水也 言以新水𣸈釀此酒也라하니라 𣸈器 卽釀酒之器
淮南道應訓 作飮器라하니 飮器亦酒器也 左傳 行人執榼承飮하야 造於子重이라하니라
褚少孫補大宛傳 飮器 韋注 椑榼也라하니 皆爲酒器 後人不識𣸈字本義하야 遂以晉語少𣸈於豕牢而得文王注+韋注 少𣸈 小便이니 言其易也라하니라之𣸈釋之


그의 두개골은 옻칠하여 술 담는 그릇으로 만들었다.
王先愼:≪說苑≫ 〈建本篇〉에 ‘酒器’로 되어 있다. ≪說文解字≫에 “𣸈는 담그는 것[浸沃]이다.”라고 하니 ‘浸沃’은 지금 사람들이 면을 씻는 것과 같다.
儀禮≫ 〈士虞禮〉의 “明齊로 술을 빚는다.”라는 내용에 대한 鄭玄에 “明齊新水이니 新水로 이 술을 빚는다는 것을 말한다.”라고 하였다. ‘𣸈’는 곧 술을 빚는 그릇이다.
淮南子≫ 〈道應訓〉에 ‘飮器’로 되어 있으니 飮器 또한 酒器이다. ≪春秋左氏傳成公 16년 조에 “行人이 술통에다 술을 담아서 子重에게 바쳤다.”라고 하였다.
褚少孫이 보완한 ≪史記≫ 〈大宛傳〉의 ‘飮器’에 대한 韋昭에 ‘椑榼(술통)’이라고 했으니 모두 酒器를 뜻한다. 후대 사람이 ‘𣸈’자의 본뜻을 알지 못하고 마침내 ≪國語≫ 〈晉語〉에 “〈太任文王을 잉태했을 적에〉 화장실에서 𣸈(소변)를 보듯이 쉽게 문왕을 낳았다.”注+韋昭의 주석에서 “𣸈는 소변이니 쉽게 낳았다는 것을 말한다.”라고 하였다.에 나오는 𣸈의 뜻으로 해석하였다.



한비자집해(2) 책은 2021.01.12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