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2)

한비자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1-117 耳目竭於聲色하고 精神竭於外貌 故中無主니라 中無主 則禍福雖如丘山이라도 無從識之니라
○顧廣圻曰 兩可以二字 今德經無 傅本有 與此合이라 皆無於字
下知字 今德經作見이요 傅本作知하니 與此合이라 淮南道應訓引有以字 無於字 下知字亦作見이라
先愼曰 闚 河上公及傅本作規 云 說文 小視也 閃也 闚頭門中也라하니라
方言 凡相竊視 南楚謂之闚라하니라 蓋穴中竊視曰窺 門中竊視曰闚 老子 楚人이니 用楚語作窺 韓子自作闚


귀와 눈은 聲色에만 다하고 정신은 외모에만 다하기 때문에 마음에 주체가 없게 된다. 마음에 주체가 없게 되면 禍福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더라도 그것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 때문에 ≪老子≫에 “문을 나서지 않더라도 天下를 알 수 있고, 창문으로 들여다보지 않더라도 天道를 알 수 있다.”라고 하였다.
顧廣圻:두 차례 나오는 ‘可以’ 두 자는 지금의 ≪德經≫에 없고, 傅奕本에는 있으니 이와 합치된다. 두 곳 모두 ‘’자가 없다.
아래의 ‘’자는 지금의 ≪德經≫에는 ‘’으로 되어 있고, 傅奕本에는 ‘’로 되어 있으니 이와 합치된다. ≪淮南子≫ 〈道應訓〉에 이 글을 인용하면서 ‘’자가 있고, ‘’자는 없고, 아래의 ‘’자 또한 ‘’으로 되어 있다.
王先愼:‘’는 河上公本傅奕本에 ‘’로 되어 있다. 畢沅의 ≪道德經考異≫에 이르기를 “≪說文解字≫에 ‘’는 작게 들여다보는 것[小視]이라 하였고 ‘’는 엿보는 것[]이라 하였으며, ‘’은 頭門을 통해서 엿보는 것이라고 하였다.
方言≫에 ‘서로 엿보는 것을 남쪽의 나라에서 「」라 한다.’고 했다.”라고 하였다. 구멍을 통해서 몰래 엿보는 것은 ‘’이고, 문을 통해서 몰래 엿보는 것은 ‘’이다. 老子는 초나라 사람이니 초나라 말을 사용하여 ‘’라고 한 것이고, ≪韓非子≫에는 본래 ‘’로 되어 있었다.


역주
역주1 不出於戶……可以知天道 : 통행본 ≪道德經≫ 41장에 보인다.
역주2 畢沅考異 : 畢沅의 ≪道德經考異≫를 가리킨다. 畢沅(1730~1797)은 字가 襄蘅‧秋帆, 自號가 靈岩山人으로 淸나라 학자이다. 章學誠, 孫星衍, 汪中, 段玉裁 등과 같은 淸나라를 대표할 만한 학자들이 모두 그의 제자였다. 그의 저술 가운데 ≪續資治通鑑≫ 220권이 가장 유명하다.

한비자집해(2) 책은 2021.01.12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