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1)

묵자간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0-4-7 何敬이리오 不刑 何度리오 不及가라하니
孔傳 云 在今爾安百姓兆民之道 當何所擇이리오 非惟吉人乎 當何所敬이리오 非惟五刑乎
當何所度리오 非惟及世輕重所宜乎아하고 釋文 引馬融云 度 造謀也라하다
案 以此下文推之 則墨子訓不及 爲不及堯舜禹湯文武之道 猶言何慮其不能逮也 與孔說異
畢云 孔書 兩不字 作非라하다


무엇을 삼가겠는가? 형벌이 아니겠는가! 무엇을 꾀하겠는가? 〈聖王에〉 미치는 일이 아니겠는가!’라고 하였다.
孔安國에 “지금 네가 백성들을 안정시키는 도리는 마땅히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가? 吉人이 아니겠는가? 마땅히 무엇을 삼가야 하는가? 五刑이 아니겠는가?
마땅히 무엇을 도모해야 하는가? 세간의 輕重에 마땅한 바에 미치는 것이 아니겠는가?”라 하였고, ≪經典釋文≫에서 馬融의 설을 인용하여 “‘’는 계책을 만드는 것이다.”라 하였다.
:이 아래 글로 미루어보면 墨子가 생각한 ‘不及’의 의미는 에 미치지 못한다는 뜻으로, “어찌 그 미치지 못함을 생각하지 않겠는가?”라는 뜻이니, 孔安國의 설과는 다르다.
畢沅:≪僞古文尙書≫에서는 두 ‘’자가 ‘’로 되어 있다.



묵자간고(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