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1)

묵자간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1-14 君子之道也 貧則見廉하며 富則見義하며
畢云 字當爲羛 說文 云 墨翟書義從弗이라하니 則漢時本如此하다 今書義字 皆俗改也라하다
王引之云 弗 於聲義 均有未協이니 弗當作하니 古文我字 與弗相似 譌作弗耳
周晉姜鼎銘 我字作하니 是其明證이라 之從 與義之從我聲으로 一也
說文 我字下重文未載하고 古文하다 於此亦不知爲字之譌하니 蓋鍾鼎古篆 漢人亦不能遍識也


군자의 는 가난할 때는 그의 청렴함을 보고 부유할 때는 그의 의로움을 보며,
畢沅:‘’자는 마땅히 ‘’가 되어야 한다. ≪說文解字≫에 “墨翟의 글에서 ‘’자는 ‘’을 부수로 한다.”라 하였으니, 나라 때의 판본도 이와 같았던 것이다. 지금 ≪墨子≫의 ‘’자는 모두 세상 사람들이 고친 것이다.
王引之:‘’은 소리나 뜻에서 모두 어울리지 않는다. ‘’자는 마땅히 ‘’로 써야 한다. ‘’자는 古文에서 ‘’자이니, ‘’자와 서로 비슷하기 때문에 ‘’로 잘못 쓴 것일 뿐이다.
나라 ≪晉姜鼎銘≫에 ‘’자가 ‘’자로 되어 있으니, 이것이 그 명백한 증거이다. ‘’자가 ‘聲韻을 따르는 것이 ‘’자가 ‘聲韻을 따르는 것과 같다.
說文解字≫에 ‘’ 아래에 重文(異體字)은 싣지 않았고, 古文에는 ‘’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도 ‘’자의 誤記임을 알지 못한 것이다. 아마도 鍾鼎古篆나라 사람조차도 다 알지는 못한 듯하다.



묵자간고(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