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6-8-5 敢用玄牡하여 告於上天后
論語 作敢昭告于皇皇后帝라한대 孔注 云 殷家尙白하나 未變夏禮 用玄牡
君也 大君이요 謂天帝也라하다
白虎通義三正篇 云 論語曰 予小子履云云하니 湯伐桀 告天以夏之牲也라하니 與論語孔注 說同이라
書湯誥孔疏 云 鄭玄解論語云 用玄牡者 爲舜命禹事
於時 總告五方之帝할새 莫適用하고 用皇天大帝之牲이라하니 其意 與孔異
國語周語 皇天嘉禹하여 胙以天下라한대 韋注 亦引論語帝臣不蔽二語하고
又詩閟宮孔疏 云 論語曰 皇皇后帝라하니 論語說帝受終文祖하니 宜總祭五帝也라하니
竝從鄭以此爲禹事하니 與墨子尸子說異
御覽八十三引帝王世紀하여 載此文한대 作告于上天后土하니 疑此后下 亦脫土字
畢云 孔書 作上天神后라하다


감히 검은 소를 바쳐 天地神明께 고합니다.
論語≫에 “敢昭告于皇皇后帝(감히 거룩하신 상제께 아룁니다.)”라 하였는데 孔安國에 “나라 왕실은 흰색을 숭상하였지만, 〈이때에는〉 아직 夏禮를 바꾸지 않았기 때문에 검은 소를 희생으로 쓴 것이다.
’은 ‘(크다)’이고 ‘’는 ‘(임금)’이다. ‘’는 大君이고, ‘’는 天帝를 이르는 것이다.”라 하였다.
白虎通義≫ 〈三正〉에 “≪論語≫에 ‘予小子履’ 운운하였으니, 이것은 임금이 放伐하면서 나라의 희생을 올려 하늘에 고유한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論語孔安國이 같다.
尙書≫ 〈湯誥孔穎達에 “鄭玄이 ≪論語≫를 해설하면서 ‘검은 소를 쓴 이유는 에게 명했던 일 때문이다.
그 당시에는 五方에게 모두 고하면서 玄牡를 쓰지 않고 皇天大帝의 희생을 썼다.’고 하였으니 그 뜻이 孔安國과 다르다.”고 하였다.
國語≫ 〈周語〉에 “皇天嘉禹 胙以天下(皇天를 좋게 여겨 천하를 내려주었다.)”라 하였는데, 이에 대한 韋昭에 또 ≪論語≫의 ‘帝臣不蔽(상제의 신하를 제가 감히 가리지 못한다.)’ 두 말을 인용하였고,
또 ≪詩經≫ 〈閟宮孔穎達에 “≪論語≫에 ‘皇皇后帝’라 하였는데, ≪論語≫에서는 ()가 文祖()에게 제위를 물려받았으니, 의당 五方를 모두 모아 제사 지내야 한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라 하였다.
모두 鄭玄이 이 일을 임금 때의 일로 여긴 것을 따르니, ≪墨子≫와 ≪尸子≫의 과 다르다.
太平御覽≫ 83에서 ≪帝王世紀≫를 인용하면서 이 글을 실었는데 “告于上天后土”로 되어 있으니, 아마도 이 ‘’ 아래에 또한 ‘’자가 빠진 것 같다.
畢沅:≪僞古文尙書≫에는 ‘上天神后’로 되어 있다.


역주
역주1 [土] : 저본에는 ‘土’자가 없으나, 孫詒讓의 주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