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8-2-13 飢飽之不節하여 百姓之道疾病而死者 不可勝數
喪師多不可勝數 喪師盡不可勝計하니 則是鬼神之喪其主后
與後字이라 王制 云 天子諸侯之在其地而無主後者라한대
鄭注 云 絶無後하면 爲之祭主者 卽此義
洪云 后 當作石이니 卽祏字省文이라 左氏昭十八年傳 使祝史徙主祏于周廟라한대
杜預 廟主石函이라하고 說文 宗廟主也 周禮 有郊宗石室이라
一曰 大夫以石爲主 從示從石이요 亦聲이라하다
案 洪說이라


굶주림과 포식이 절도에 맞지 않아 길에서 질병에 걸려 죽는 백성을 이루 헤아릴 수가 없다. 군사를 많이 잃은 것을 이루 헤아릴 수가 없고,
군사를 전부 잃은 것을 이루 계산할 수가 없다. 이러한 형편이니 鬼神이 그 〈제사를〉 주관할 후사를 잃은 것을
’는 ‘’자와 통한다. ≪禮記≫ 〈王制〉에 “天子諸侯 祭因國之在其地而無主後者(天子諸侯는 자신의 나라 안에 있는 〈제사를〉 주관할 후사가 없는 因國을 제사한다.)”라 하였는데,
이 구절에 대한 鄭玄에 “因國의 선왕에게 후손이 끊겨 없으면 그를 위해 제사를 주관한다.”라고 한 것이 곧 이 의미이다.
洪頤煊:‘’는 응당 ‘’이 되어야 하니, 곧 ‘’자의 省文이다. ≪春秋左氏傳昭公 18년 조에 “使祝史徙主祏于周廟(祝史에게 主祏周廟로 옮기게 하였다.)”라 하였는데,
이 구절에 대한 杜預에 “廟主를 모셔두는 石函이다.”라 하였다. ≪說文解字≫에 “宗廟主이다. 나라 郊宗石室이 있다.
一說에 ‘大夫는 돌로 神主를 만든다.’라 하였다. 을 합한 것이고, 은 또한 聲音이다.”라 하였다.
詒讓案:洪頤煊은 확실치 않다.


역주
역주1 因國 : 지금의 나라 땅에 있었던 前代의 나라를 가리킨다. 지금의 나라의 都邑이 前代의 나라의 都邑을 인습했다는 뜻이다.
역주2 : ‘確’의 古字이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