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8-4-6 今有醫於此하여 和合其祝藥之于天下之有病者而藥之어든
畢云 祝이라 或云 祝藥 猶言疰藥이라하니 一本 無祝字하니 非也라하다
案 畢說 非也 周禮瘍醫 掌腫瘍潰瘍金瘍折瘍之祝藥이라한대
鄭注 云 祝 當爲注 讀如注病之注 聲之誤也 謂附著藥이라한대
彼祝藥 爲劍瘍附著之藥이요 下文 云 食이라하니 則與彼義異
畢云 祝由 又與此書及周禮 義竝不合하니 不可信也 謂 祝藥 猶行藥이라하니 亦未知是否


지금 여기에 醫員이 있어 천하에 병든 자에게 藥劑를 조제하여 치료하거든
畢沅:‘’은 祝由라는 말이니, ≪黃帝內經≫ 〈素問〉에 보인다. 혹 祝藥疰藥과 같은 말이라 하니, 옳지 않다. 어떤 본에는 ‘’자가 없으니 옳지 않다.
詒讓案:畢沅은 옳지 않다. ≪周禮≫ 〈瘍醫〉에 “掌腫瘍潰瘍金瘍折瘍之祝藥(종양, 궤양, 金瘍(창상), 折瘍(골절상)에 약을 붙이는 것을 주관한다.)”이라 하였는데,
鄭玄에 “‘는 응당 ‘’가 되어야 하고, ‘注病’의 ‘’와 같이 읽어야 하니, 음이 〈비슷해서 생긴〉 오류이다. ‘’는 약을 부착하는 것을 말한다.”라 하였다.
그런데 저 ≪周禮≫에서 말한 祝藥劍瘍(創傷) 등에 붙이는 약이고, 이곳의 는 아래 글에 ‘복용한다.[]’라 하였으니, 저 ≪周禮≫의 뜻과 다르다.
畢沅이 말한 祝由는 또 本書 및 ≪周禮≫와 뜻이 모두 합치되지 않으니, 신빙할 수 없다. 惠士奇가 “祝藥行藥과 같은 말이다.”라 하니, 또한 옳은지 여부를 장담할 수 없다.


역주
역주1 祝由 : 祝術을 통한 요법으로 일종의 암시와 비슷한데, 환자의 심리 안정을 통해 병을 치유하는 치료법이다.
역주2 素問 : 의학서로, 9권 81편이다. ≪黃帝內經靈樞≫(≪靈樞經을 말함≫)과 함께 ≪黃帝內經≫에 수록되어 있다. ≪黃帝內經≫은 黃帝와 그 신하이자 명의인 岐伯이 醫術에 대해 토론한 내용, 즉 養生氣功의 이론 및 사람과 자연의 相參相應하는 學說, 불치병, 병의 예방법 등을 담고 있다.
역주3 惠士奇 : 1671~1741. 淸나라 經學家로, 江蘇 吳縣 사람이다. 字는 天牧‧仲孺이고 만년의 호는 半農이다. 사람들이 紅豆先生이라 불렀다. 부친인 惠周惕의 학문을 전수하여 ≪易說≫ 6권, ≪禮說≫ 14권, ≪春秋說≫ 15권, ≪大學說≫ 1권, ≪交食擧隅≫ 3권 ≪琴笛理數考≫ 4권을 지었으며, 漢儒의 經說들을 搜集하고 古代 史料를 征引하여 解釋을 하였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