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9-3-6 植心不堅하면 與國諸侯疑하고 與國諸侯疑하면 則敵生慮而意羸矣 偏具此物하여
畢云 偏 當爲徧이라하다
王云 古多以偏作爲徧하니 不煩改字 非儒篇 遠施周偏이라하고 公孟篇 今子偏從人而說之라하니 皆是徧之借字
大戴記勸學篇 偏與之而無私라하고 魏策 偏事三晉之吏라하고 漢書禮樂志 海內偏知上德이라하니 皆以偏爲徧이라
又漢書郊祀志 其遊以方徧諸侯라하고 張良傳 天下不足以徧封이라하고
張湯傳 徧見貴人이라한대 史記 竝作偏이라 若諸子書中 以偏爲徧者 則不可枚擧
漢三公山碑 興雲膚寸偏雨四海라하니 亦以偏爲徧이라 然則徧之爲偏 非傳寫之譌也라하다


마음을 세움이 견고하지 않으면 동맹국의 제후가 의심하고, 동맹국의 제후가 의심하면 敵對의 마음이 생겨나 뜻이 약해진다. 가령 이렇게 不利條件을 두루 갖추고서
畢沅:‘’은 응당 ‘’이 되어야 한다.
王念孫:옛날에 ‘’자를 ‘’의 뜻으로 쓴 경우가 많으니, 번거롭게 굳이 글자를 바꿀 것 없다. ≪墨子≫ 〈非儒 〉에 “遠施周偏(멀리로는 두루 베푼다.)”이라 하였고, ≪墨子≫ 〈公孟〉에 “今子偏從人而說之(지금 그대가 두루 사람을 따라 설득한다.)”라 하였으니, 이 〈‘’자는〉 모두 ‘’의 假借字이다.
周易益卦象傳에 “莫益之徧辭也(유익하게 해주는 이가 없다는 것은 모두에게 해당하는 말이다.)”라 하였는데, 어떤 본에는 〈‘’이〉 혹 ‘’으로 되어 있다. ≪禮記≫ 〈檀弓〉에 “二名不偏諱(두 자의 이름은 하나하나 휘하지 않는다.)”라 하였고,
大戴禮記≫ 〈勸學〉에 “偏與之而無私(두루 주어서 사사로움이 없다.)”라 하였고, ≪戰國策≫ 〈魏策〉에 “偏事三晉之吏(三晉의 벼슬아치들을 두루 사귀겠다.)”라 하였고, ≪漢書≫ 〈禮樂志〉에 “海內偏知上德(온 천하가 천자의 덕을 두루 알고 있다.)”이라 하였으니, 모두 ‘’자를 가지고 ‘’자의 뜻으로 사용하였다.
또 ≪漢書≫ 〈郊祀志〉에 “其遊以方徧諸侯(李少君이 유람하기를 方術로 하여 제후들을 두루 방문하였다.)”라 하고, 〈張良傳〉에 “天下不足以徧封(천하는 두루 하기에 부족하다.)”이라 하였고,
張湯傳〉에 “徧見貴人(귀인을 두루 만나보았다.)”이라 하였는데, ≪史記≫에는 〈‘’이〉 모두 ‘’으로 되어 있다. 諸子書 가운데 ‘’자를 ‘’의 뜻으로 쓴 곳으로 말하면 일일이 열거할 수 없다.
나라 〈三公山碑〉에 “興雲膚寸 偏雨四海(한 조각 구름을 일으켜 온 천하에 두루 비를 내린다.)”라 한 것 또한 ‘’자를 ‘’의 뜻으로 쓴 예이다. 그렇다면 ‘’자가 ‘’으로 된 것은 傳寫 과정의 訛傳이 아니다.


역주
역주1 益象傳……本或作偏 : 孔穎達은 ‘偏’을 “이쪽에서 구해도 저쪽에서 응하지 않는다.[此有求而彼不應]”라는 의미로 풀이하였고, 이를 계승하여 朱子는 이 문장을 “유익하게 해주는 이가 없다는 것은 한쪽만 말한 것이다.[莫益之 偏辭也]”라고 해석하였다. 그런데 삼국시대 경학자 虞翻은 ‘徧’의 의미로 보아 ‘周匝’으로 풀었다. 孫詒讓은 虞翻 이래 ‘周匝’의 풀이를 正解로 간주한 것이다.
역주2 檀弓 二名不偏諱 : ‘偏’에 대해 孔穎達의 正義에서 “兩字不一一諱之(두 글자를 하나하나 휘하지 않는다.)”라고 해석하여 ‘徧’의 의미로 보았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