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1-2-1 是故 古者 聖王 制爲節用之法하여 曰 凡天下群百工輪車鞼匏
畢云 鞼 說文 云 韋繡也 當爲鞄 說文 云 柔革工也 讀若朴이라
王云 鞼 卽攷工記函鮑韗韋裘之韗 非謂韋繡也 輪車梓匠爲攻木之工이요 陶爲摶埴之工이요 冶爲攻金之工이라
然則鞼匏卽韗鮑 爲攻皮之工也 凡文吻問 與脂旨至 古音多互相轉이라
韗字或作鞼 鞄之爲匏 亦借字耳 故攷工記 又借作鮑
案 王說 近是 說文革部 云 䩵 攻皮治鼓工也 或從韋作韗이라하고 又云 鞄 柔革工也
周禮 曰 柔皮之工鮑氏 卽鮑也 此假鞼匏字爲之 非儒篇 有鮑函車匠하니 字亦作鮑
或云 考工記設色之工畫繢라하니 卽繢之借字 亦通이라


이런 까닭으로 옛날에 聖王節用의 방법을 제정하여 말하기를 “무릇 천하의 여러 장인인 輪車鞼匏
畢沅:‘’는 ≪說文解字≫에 “韋繡이다.”라 하였다. ‘’는 응당 ‘’가 되어야 하니, ≪說文解字≫에 “柔革工(가죽을 부드럽게 만드는 장인)이니, ‘’과 같이 읽는다.”라 하였다.
王念孫:‘’는 바로 ≪周禮≫ 〈考工記〉에서 ‘函鮑韗韋裘(函人, 鮑人, 韗人, 韋氏, 裘氏)’라고 할 때의 ‘(가죽을 다루는 장인)’이니, ‘韋繡’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輪車梓匠은 나무를 다루는 장인이고, 는 진흙을 반죽하는 장인이고, 는 쇠를 다루는 장인이다.
그렇다면 ‘鞼匏’는 바로 ‘韗鮑’니 가죽을 다루는 장인이다. 무릇 ‘’, ‘’, ‘’과 ‘’, ‘’, ‘’는 古音에 서로 전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자를 ‘’자로 적기도 한다. ‘’가 ‘’로 된 것 또한 가차한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周禮≫ 〈考工記〉에 또 가차하여 ‘’로 적었다.
:王念孫이 거의 옳다. ≪說文解字≫ 〈革部〉에 “‘’은 가죽을 다루고 북을 만드는 장인이니, 혹 ‘’변을 따라 ‘’이라 하기도 한다.”라 하였고, 또 “‘’는 柔革工이다.”라 하였다.
周禮≫에 “柔皮工鮑氏”라 하였다. ‘’는 바로 ‘’이니, 이것은 ‘’와 ‘’자를 빌려 만든 것이다. ≪墨子≫ 〈非儒〉에 “鮑函車匠(鮑人, 函人, 車人, 匠人)”이라 한 것이 있으니, 글자가 또한 ‘’자로 되어 있다.
혹자는 “≪周禮≫ 〈考工記〉에 ‘設色하는 장인은 畫繢이다.’라 하였는데, 는 바로 ‘’자의 가차자이다.”라 하였으니, 또한 통한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