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1-3-9 啜於土形하고
畢云 太平御覽 引作鉶이라 鄭君注周禮云 鉶 羹器也라하고
後漢書注 引此云 堯舜堂高三尺이요 土階三等이요 茅茨不翦하고 采椽不斲하며
土簋하고 歠土鉶하며 糲粱之飯하고 藜藿之羹하며 夏日葛衣 冬日鹿裘 是約己也라하다
文選注에도 亦以爲此文이라 案 出韓非子라하다
顧云 秦本紀 正作土形하고 太史公自序 作刑이라
詒讓案 說文口部 云 啜 嘗也 竝鉶之叚字
史紀敘傳 司馬談論六家要指 云 墨者亦尙堯舜道하여 言其德行曰 堂高三尺이요 土階三等이요
茅茨不翦하고 采椽不刮하며 食土簋하고 啜土刑하며 糲粱之食하고 藜藿之羹하며 夏日葛衣 冬日鹿裘라하다
後漢書注所引 疑卽本史記文이라 史記正義引顔氏云 刑 所以盛羹也 謂燒土爲之 卽瓦器也라하다
秦始皇本紀 作啜土이라한대 集解引如淳云 土 飯器之屬이니 瓦器也
李斯傳 作鉶하고 韓非子十過篇同하며 韓詩外傳 又作型이라


土形(土鉶)에 물을 담아 마시고,
鉶
畢沅:≪太平御覽≫에 인용할 때 〈‘’은〉 ‘’으로 되어 있다. ≪周禮鄭君(鄭玄)의 에 “‘’은 국그릇[羹器]이다.”라 하였고,
後漢書注≫에 이를 인용하여 “堯舜의 높이가 3척이고, 흙으로 만든 섬돌이 3층이고, 지붕으로 얹은 띠풀도 자르지 않고, 떡갈나무로 서까래를 만들되 다듬지 않았으며,
土簋에 밥을 먹고 土鉶에 물을 마시며[飯土簋 歠土鉶], 거친 좁쌀로 밥을 지어 먹고 머위와 콩잎으로 국을 끓여 먹었으며, 여름에는 베옷을 입고, 겨울에는 사슴 가죽옷을 입었다.”라 하였으니, 이것은 자신에게 검약한 것이다.
文選≫의 에도 이 문장으로 되어 있다. 살피건대, 〈이 문장은〉 ≪韓非子≫에서 나온 것이다.
顧廣圻:≪史記≫ 〈秦始皇本紀〉에는 바로 ‘土形’으로 되어 있고, 〈太史公自序〉에는 ‘’으로 되어 있다.
詒讓案:≪說文解字≫ 〈口部〉에 “‘’은 ‘(맛보다)’이다.”라 하였다. 은 모두 ‘’의 가차자이다.
史紀≫ 〈敍傳〉에서 司馬談六家要指를 논한 것에 말하기를 “墨子 또한 堯舜의 도를 숭상하여 그 德行을 말하면서 ‘의 높이가 3척이고, 흙으로 만든 섬돌이 3층이고,
지붕으로 얹은 띠풀도 자르지 않고, 떡갈나무로 서까래를 만들되 다듬지 않았으며, 土簋에 밥을 먹고 土刑에 물을 마시며[食土簋 啜土刑], 거친 좁쌀로 밥을 지어 먹고 머위와 콩잎으로 국을 끓여 먹었으며, 여름에는 베옷을 입고, 겨울에는 사슴 가죽옷을 입었다.’라 하였다.”라 하였다.
後漢書注≫에 인용한 것은 아마 바로 ≪史記≫의 글에 바탕한 것으로 보인다. ≪史記正義≫에 顔師古의 말을 인용하여 “‘’은 국을 담는 것이다. ‘’는 흙을 구워 만든 기물을 이르니, 바로 瓦器이다.”라 하였다.
史紀≫ 〈秦始皇本紀〉에 “啜土形(土形에 마셨다.)”이라 하였는데, ≪史紀集解≫에 如淳의 말을 인용하여 “‘土形’은 밥그릇[飯器]의 종류이니, 瓦器이다.”라 하였다.
史紀≫ 〈李斯列傳〉에 ‘’이라 하였고, ≪韓非子≫ 〈十過〉에도 같으며, ≪韓詩外傳≫에는 또 ‘’으로 되어 있다.


역주
역주1 : 저본 傍注에 “‘飯’은 원문에 ‘飮’으로 잘못되어 있다. 살펴보건대, 畢沅이 말하는 ≪後漢書注≫는 ≪後漢書≫ 〈趙典傳〉 李賢의 注이니, 이제 이에 의거하여 개정한다.”라고 하였다.
역주2 : 저본 傍注에 “‘形’은 원문에 모두 ‘刑’으로 잘못되어 있다. 활자본에 의거하여 고치니, ≪史記≫와도 합치한다.”라고 하였다.
역주3 : 저본 傍注에 “‘形’은 원문에 모두 ‘刑’으로 잘못되어 있다. 활자본에 의거하여 고치니, ≪史記≫와도 합치한다.”라고 하였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