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5-11-4 昔者 越之東 有輆沐之國者한대
畢云 輆 舊作하니 不成字 據太平廣記引作輆하고 音善愛反하니 今改라하다
盧云 列子湯問篇 作輒才하고 新論 作軫沐이라하다
顧云 世德堂列子 作木하고 影宋本 作沐이라하다
詒讓案 意林引列子 及道藏本劉子風俗篇 竝作輒沐하며 博物志五 引作駭沐하다
宋本列子한대 云 又休라하다 及盧重元注本 竝作輒休하다
殷云 輒 說文 作𦔮하니 諸涉切이요 耳垂也 美也之類是也
諸家本沐者 誤耳라하다
案 諸文舛互 此無文義可校 集韻十九代 云 輆沭이니 國名이라 在越東이라하니 是北宋本 實作輆沭이라
依殷說컨대 則輆 當作輒이라 後魯問篇 以食子爲啖人國俗이라한대 與此復不同이라
後漢書南蠻傳 說噉人國在交阯西라하니 交阯 卽南越이요 而國名及方域 竝異 未知孰是


옛날에 의 동쪽에 輆沐이라는 나라가 있었다.
畢沅:‘’는 舊本에 ‘’자로 되어 있는데 글자를 이루지 못한다. ≪太平廣記≫에서 ≪墨子≫를 인용한 대목에는 ‘’로 되어 있고 〈그 아래 本注에〉 은 ‘反切이다.’라 하였으니, 지금 〈이에 따라〉 고친다.
盧文弨:≪列子≫ 〈湯問〉에 ‘輒才’로 되어 있고, ≪新論≫에는 ‘軫沐’으로 되어 있다.
顧廣圻:世德堂本列子≫에 ‘’으로 되어 있고, 影宋本에는 ‘’으로 되어 있다.
詒讓案:≪意林≫에서 인용한 ≪列子≫와 道藏本劉子≫ 〈風俗〉에는 모두 ‘輒沐’으로 되어 있고, ≪博物志≫ 5에서 인용한 곳에는 ‘駭沐’으로 되어 있다.
宋本列子≫에는 ‘’으로 되어 있는데 에 “〈‘’은〉 또 ‘’이다.”라 하였다. 道藏本 殷敬順의 ≪列子釋文≫과 盧重元를 단 판본에는 모두 ‘輒休’로 되어 있다.
殷敬順은 “‘’은 ≪說文解字≫에 ‘𦔮’으로 되어 있으니, ‘’와 ‘’의 反切이며, 귀가 늘어진 것이다. 는 ‘’의 뜻이다. 대개 儋耳의 부류가 이것이다.
諸家에 ‘’으로 되어 있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라 하였다.
:여러 글들이 다 제각각이라, 여기에서는 교감할 만한 글의 뜻이 없다. ≪集韻≫ 19 ‘’에 “〈‘’는〉 ‘輆沭’이니 國名이다. 의 동쪽에 있다.”라 하였으니, 이 北宋本은 실로 ‘輆沭’로 되어 있다.
殷敬順의 설에 의하면 ‘’는 응당 ‘’으로 되어야 한다. 뒤에 나오는 ≪墨子≫ 〈魯問〉에서 “長子를 먹는 것은 啖人國風俗이다.”라 하였는데, 여기와 또 같지 않다.
後漢書≫ 〈南蠻西南夷列傳〉에 “噉人國交阯의 서쪽에 있다.”라 하였으니, ‘交阯’는 바로 南越이다. 國名方域이 모두 다르니, 어느 것이 옳은지 모르겠다.


역주
역주1 道藏本殷敬順釋文 : 唐나라 殷敬順의 ≪列子釋文≫을 말하는데, ≪正統道藏≫ 〈洞神部 玉訣類〉에는 ≪沖虛至德眞經釋文≫이란 이름으로 실려 있다.
역주2 儋耳 : 고대 남쪽의 여덟 이민족(天竺, 咳首, 僬僥, 跛踵, 穿胸, 儋耳, 狗軹, 旁春) 중의 하나이다. 지금의 海南道 儋縣에 해당한다. ‘離耳’라고도 한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