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5-11-11 其親戚死하면 聚柴薪而焚之燻上 謂之登遐하니
畢云 燻 卽熏字 俗寫 太平廣記 引作熏其煙上 謂之登煙霞라하다
詒讓案 列子 亦作燻則煙上 謂之登遐하며 新論 作煙上燻天 謂之昇霞하며 博物志之卽煙上 謂之登遐하다
呂氏春秋義賞篇 云 氐羌之民 其虜也 不憂其係累하고 而憂其死不焚也라하며
荀子大略篇說同하다 義渠 在秦西 亦氐羌之屬이라
登遐者 禮記曲禮라한대
鄭注 云 登 上也 已也 上已者 若僊去云耳라한대 釋文 云 假 音遐라하다
漢書郊祀志 云 世有僊人인댄 登遐倒景이라한대 顔注 云 遐 亦遠也라하다
案 依廣記所引及新論컨대 似皆以遐爲霞之叚字 非古義也


그 어버이가 죽으면 땔나무를 모아 시신을 태우고 그 연기가 위로 올라가는 것을 ‘登遐’라 하였으니,
畢沅:‘’은 바로 ‘’자이니 俗字로 이렇게 쓴다. ≪太平廣記≫에 이 대목을 인용한 곳에 “熏其煙上 謂之登煙霞(태워서 그 연기가 올라가는 것을 ‘煙霞에 오른다.’라 부른다.)”라 되어 있다.
詒讓案:≪列子≫에 또한 “燻則煙上 謂之登遐(태우면 연기가 올라가는 것을 ‘登遐’라고 한다.)”라 하였으며, ≪新論≫에 “煙上燻天 謂之昇霞(연기가 올라가 하늘에 연기가 끼는 것을 ‘昇霞’라고 한다.)”라 하였으며, ≪博物志≫에는 “勳之卽煙上 謂之登遐(태워서 곧바로 연기가 올라가는 것을 ‘登遐’라고 한다.)”라 하였다.
呂氏春秋≫ 〈義賞〉에 “氐族羌族의 백성들은 포로가 되었을 때 감옥에 갇히는 것을 걱정하기보다는 죽어서 태워지지 않을까를 더 걱정하였다.”라 하였으며,
荀子≫ 〈大略〉에 같은 말이 나온다. ‘義渠’는 의 서쪽 지역이니, 또한 氐族羌族의 무리이다.
登遐’라는 것은 ≪禮記≫ 〈曲禮〉에 “天子崩 告喪曰 天王登假(천자가 붕어함에 을 〈제후의 나라에〉 부고할 때에는 ‘天王登假’라고 한다.)”라 하였는데,
鄭玄에 “‘’은 ‘(오르다)’이며, ‘’는 ‘(다함)’이니, ‘上已’는 신선처럼 〈하늘로〉 떠나가는 것이다.”라 하였는데, 그 대목의 ≪經典釋文≫에서 “‘’는 음이 ‘(하)’이다.”라 하였다.
漢書≫ 〈郊祀志〉에 “世有僊人 登遐倒景(세상에 僊人이 있는데 멀리 하늘의 끝까지 오른다.)”이라 하였는데, 顔師古에 “‘’는 또한 ‘(멀다)’이다.”라 하였다.
:≪太平廣記≫과 ≪新論≫에서 인용한 것에 의거해보건대, 아마도 모두 ‘’를 ‘’의 假借字로 여긴 듯하나, 옛 뜻은 아니다.


역주
역주1 : ‘熏(태우다)’자와 통용하여 쓴 듯하다. ‘熏’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역주2 天子崩……天王登假 : ≪禮記≫ 〈曲禮 下〉와 글자의 출입이 있다. 원문은 다음과 같다. “崩曰天王崩 復曰天子復矣 告喪曰天王登假(천자가 붕어하면 ‘천왕이 붕하였다.’라고 일컫고, 招魂할 때에는 ‘천자의 혼은 돌아오소서.’라고 부르며, 천자의 喪을 부고할 때에는 ‘천왕이 승하하였다.’라고 칭한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