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7-8-8 反天之意하여 得天之罰者 誰也 曰 若昔者三代暴王桀紂幽厲者是也라하시니라
桀紂幽厲 焉所從事 曰 從事別하고 不從事兼이라하니라 別者 處大國則攻小國하며 處大家則亂小家하며
強劫弱하며 衆暴寡하며 詐謀愚하며 貴傲賤하니라 觀其事컨대 上不利乎天이요 中不利乎鬼
下不利乎人하니 三不利 無所利 是謂天賊이라하니 聚斂天下之醜名하여 而加之焉하니라
曰 此非仁也 非義也니라 憎人賊人하며 反天之意하여 得天之罰者也라하니라
不止此而已 又書其事於竹帛하고 鏤之金石하며 琢之槃盂하여 傳遺後世子孫하니라
曰 將何以爲 將以識夫憎人賊人하며 反天之意하여 得天之罰者也일새니라 大誓之道之
道藏本吳鈔本 竝作明하다
云 墨書引大誓 有去發하고 有大明이라 去發 當爲太子發하니 爲大誓上篇이라
大明 卽詩所謂會朝淸明也 詩書 皆曰 大明이라한대 明武王之再受命이니 爲中篇이라하다
案 此文 非命上中二篇 竝作大誓하다 塙爲譌字 蓋誓省爲折한대 卽隸古 折字之譌
引書湯誓 誓字 作𣂶하다 載古文甘誓 誓字하다
蓋皆二字 傳寫譌舛하니 與明形略相類일새라 莊說不足據


하늘의 뜻에 거슬러 하늘의 을 받은 자는 누구인가. 말하기를 “옛날 三代暴王桀王, 紂王, 幽王, 厲王과 같은 자가 이들이다.”라 하였다.
桀王, 紂王, 幽王, 厲王은 어떤 일을 하였는가. 말하기를 “구별 짓는 일을 하였고, 아우르는 일을 하지 않았다.”라 하였다. 구별 짓는다는 것은, 大國에 살면 小國을 공격하며, 大家에 살면 小家를 어지럽히며,
한 자가 한 자를 겁박하며, 다수가 소수에게 횡포를 부리며, 교활한 자가 어리석은 자를 속이며, 한 자가 한 자를 업신여기는 것이다. 그 일을 보건대, 위로는 하늘을 이롭게 하지 않으며, 가운데로는 귀신을 이롭게 하지 않으며,
아래로는 사람들을 이롭게 하지 않으니, 세 곳을 이롭게 하지 않으면 이로운 데가 없다. 이를 일러 ‘天賊’이라고 하니, 천하의 추악한 이름을 다 끌어모아 여기에 더한 것이다.
말하기를 “이것은 이 아니며, 가 아니다. 사람을 미워하고 사람을 해치며, 하늘의 뜻에 거슬러 하늘의 을 받는 자이다.”라 하였다.
여기에 그칠 뿐만이 아니다. 또 그 일을 竹帛에 쓰고 金石에 새기며, 에 새겨 넣어 後世子孫에게 전하여 남긴다.
말하기를 “장차 무엇 때문에 〈이렇게〉 하는가.”라 하였다. 장차 사람을 미워하고 사람을 해치며, 하늘의 뜻에 거슬러 하늘의 을 받는 자를 알리고자 해서이다. ≪書經≫ 〈周書 大誓(泰誓)〉에 이르기를
’는 道藏本吳寬鈔本에 모두 ‘’으로 되어 있다.
莊述祖:≪墨子≫에 인용된 ≪書經≫ 〈大誓〉는 ‘去發’로 된 곳이 있고, ‘大明’으로 된 곳도 있다. ‘去發’은 응당 ‘太子發’이 되어야 하니, ≪書經≫ 〈大誓 〉이다.
大明’은 곧 ≪詩經≫ 〈大雅 大明〉에서 말하는 “會朝淸明(會戰하는 날 아침 날씨가 청명하였다.)”의 뜻이다. ≪시경≫과 ≪서경≫에서 모두 ‘大明’이라 하였는데, 武王이 재차 을 받았음을 밝힌 것이니, ≪서경≫ 〈大誓 〉이다.
:이 글은 ≪墨子≫ 〈非命 〉과 〈非命 〉 두 에 모두 ‘大誓’로 되어 있다. ‘’은 확실히 와전된 글자이다. ‘’의 자획을 생략하여 ‘’이라 하였는데, ‘’은 곧 隷書로 쓴 古文에서 ‘’자를 잘못 쓴 것이다.
顔師古의 ≪匡謬正俗≫에서 ≪서경≫ 〈湯誓〉를 인용한 대목에 ‘’자는 ‘𣂶’로 되어 있다. 山井鼎의 ≪七經孟子考文≫에서 古文 ≪상서≫의 〈甘誓〉를 실은 곳에 ‘’자는 ‘’로 되어 있다.
아마도 ‘’와 ‘’ 2자는 모두 傳寫하는 과정에 잘못된 것이니, ‘’과 字形이 대략 비슷해서이다. 莊述祖은 근거로 삼기에 부족하다.


역주
역주1 莊述祖 : 1751~1816. 淸나라 江蘇 武進 사람이다. 字는 葆琛, 號는 珍藝이다. 백부 莊存與에게 금문경학을 수학하였다. 舛句와 訛字, 佚文, 脫簡 등을 교정하여 ≪尙書大傳≫, ≪逸周書≫, ≪白虎通義≫ 등을 바로잡았으며, 문자학에 조예가 깊어 古籒文字, 轉注諧聲, 偏旁體例 등을 고증하였으며, ≪爾雅≫와 ≪廣韻≫을 고증하여 ≪說文諧聲≫을 편찬하였다.
역주2 顔師古 : 581~645. 唐나라 京兆 萬年 사람이다. 字는 師古, 名은 籒, 시호는 戴이다. 經學과 文字學에 정통하였다. 저서에 ≪漢書序≫, ≪急就章注≫, ≪匡謬正俗≫이 있다.
역주3 匡謬正俗 : 顔師古가 訓詁‧校勘한 저서이다. 전8권으로, 諸經典과 群書 및 俗語의 음과 뜻을 풀이하고 오류를 바로잡았다.
역주4 山井鼎 : 1690~1728. 일본 紀伊 사람이다. 字는 君彛, 號는 崑崙, 일명 重鼎이다. 저서에 ≪崑崙山相生紀行≫, ≪七經孟子考文≫이 있다.
역주5 七經孟子考文 : 日本人인 山井鼎이 撰하였다. 淸나라 阮元이 ≪七經孟子考文≫과 ≪物觀補遺≫ 등 200권을 판각하여, 새로 편찬하는 四庫全書에 수록하였다. 傳注, 釋文, 正義 이 세 가지로 교감한 것이 번다하고 세쇄하며, 助語의 다과와 字劃의 증감이 있으나, 唐本을 보충하는 주요 자료라고 평가받는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