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7-9-6 下將以量天下之萬民爲文學하고 出言談也일새니라
觀其行하여 順天之意 謂之善이라하고 反天之意 謂之不善(意)[惪]行이라하니라
王校刪二意字하고 云 舊本 謂之善下 衍意字하며 謂之不善下 脫行字하고 又衍意非二字하니 今據下文改正이라하다
案 意 疑當作惪하니 與德通이라 善德行 不善德行 猶下云 善言談不善言談 善刑政不善刑政也
王謂衍文 未塙이라 下行字 舊本 譌非하니 今從王校正하다


아래로는 장차 천하의 온 백성이 학문을 하고 言談을 내는 것을 헤아리기 위함이다.
그 행위를 살펴보아 하늘의 뜻에 순응하면 이를 일러 선한 德行이라 하고, 하늘의 뜻에 거스르면 이를 일러 선하지 못한 德行이라 한다.
王念孫이 교감하면서 두 ‘’자를 빼고 말하기를 “舊本에는 ‘謂之善’ 아래에 ‘’자가 잘못 들어가 있으며, ‘謂之不善’ 아래에 ‘’자가 빠져 있으며, 또 ‘意非’ 두 자가 잘못 들어가 있으니, 이제 아래 글에 의거하여 고쳐서 바로잡는다.”라 하였다.
:‘’는 아마도 응당 ‘’이 되어야 하니, ‘’과 통용한다. ‘善德行’과 ‘不善德行’은 아래에서 ‘善言談’과 ‘不善言談’, ‘善刑政’과 ‘不善刑政’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王念孫衍文이라고 여긴 것은 확실하지 않다. 〈다만〉 아래의 ‘’자는 舊本에 ‘’로 잘못되어 있으니, 이제 王念孫의 교감대로 바로잡는다.


역주
역주1 (意)[悳] : 저본에는 ‘意’으로 되어 있으나, 孫詒讓의 주에 의거하여 ‘悳’으로 바로잡았다. 아래도 같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