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6.1 하니 이요
玄牝之門 是謂이니 이니라
[注]谷神
無形無影하고 無逆無違하며 處卑不動하고 守靜不衰
處卑而不可得而名이라 故謂하니라
天地之根 綿綿若存하여 用之不勤이라하니 玄牝之所由也
本其所由컨댄極同體 故謂之天地之根也니라
欲言存邪 則不見其形이요 欲言亡邪 萬物以之生이라 故曰綿綿若存也하니라
故曰 用之不勤也라하니라


제6장은 전통적傳統的 해석과 현대적現代的 해석이 크게 다르다. “골짜기의 신령은 죽지 않는다.”는 말로 시작되는 이 장은 현대의 모든 철학들과 종교들이 다루는 주요한 실존적 문제, 즉 삶의 일시성 혹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죽음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것으로 독해하기도 한다. 또는 제28장과 연결하여 원시종교原始宗敎여성女性 생식기生殖器 숭배崇拜, 남성성에 대해 여성성을 강조하는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노자老子》의 독특한 철학이 드러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하지만 전통적인 맥락에서 보면 제6장은 《노자》의 고유한 사상인 ‘부드러움[]’, ‘스스로를 낮춤[]’을 강조하는 처세處世의 태도로 보거나 도교적道敎的 양생養生의 의미를 설명說明한 것으로 본다.
특히 어떤 의미에서 는 ‘불사不死’하는 것이기에 를 본받으려고 하는 것은 인간이 불사不死불멸不滅이 되기를 열망하는 것을 의미한다. 후대의 도교에서 《노자》를 이해한 방식은 정확하게 이런 것이며, 흔히 종교적인 도교道敎의 역사는 그러한 해석을 위한 충분한 증거를 제공한다. 도가적 실천은 몸을 영원히 지속되는 ‘유기체’로 변형하려는 시도를 의미할 수도 있고, 도가적 실천가는 이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수많은 구제책들을 개발하기도 했다. 이런 점에서, 텍스트로서 《노자》는 죽음을 극복하기 위한 매뉴얼로 읽힐 수 있었으며, 《노자》의 저자로 추정되는 노자 자신은 그 기술을 성공적으로 숙달했던 불멸의 모델로 존경받을 수 있었다.
골짜기의 신령은 죽지 않으니, 이를 신비한 암컷[현빈玄牝]이라 일컫는다.
이 신비한 암컷의 문을 하늘과 땅의 뿌리라 일컬으니, 마치 있는 듯 없는 듯하면서 면면히 이어져 그것을 아무리 써도 수고롭지 않다.
곡신谷神’이란 골짜기 한가운데의 빈 곳이다.
〈골짜기의 한가운데는〉 어떠한 형체나 그림자도 없고 거스름이나 어김도 없으며, 낮은 곳에 처해 움직이지 않고 고요함을 지켜 쇠하지 않는다.
만물은 그것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곡신은〉 그 형체를 보이지 않으니, 이는 지극한 존재[지물至物]이다.
낮은 곳에 처하여 〈어떤 것이라고〉 이름 지어 말할 수가 없기에 그것을 ‘현묘한 암컷’이라 일컫는다.
〈《노자老子》는〉 “하늘과 땅의 뿌리는 있는 듯 없는 듯하면서 면면히 이어져 그것을 아무리 써도 수고롭지 않다.”고 하였는데, 여기서 ‘’이란 현묘한 암컷이 유래한 곳이다.
그 유래한 곳에 근본해볼 때 태극太極과 한 몸을 이루었기에 그것을 ‘하늘과 땅의 뿌리’라고 일컬었다.
있다고 말하고자 하면 그 형체가 보이지 않고, 없다고 말하고자 하면 만물이 그에 의해 생겨난다. 그래서 “있는 듯 없는 듯하면서 면면히 이어진다.”고 했다.
어떤 만물이든 이루어지지 않는 게 없는데 아무리 써도 수고롭지 않으므로 “그것을 아무리 써도 수고롭지 않다.”고 했다.


역주
역주1 谷神不死 : 골짜기의 신령에 비유한 道의 작용이 영원하다는 뜻이다. 저본, 河上公本에는 ‘谷’으로 帛書本에는 ‘浴’으로 되어 있다. ‘浴’은 ‘谷’의 假借字이다. 이 문장은 두 가지로 해석한다. 하나는 谷을 동사로 보아 穀(기르다)으로 풀이하는데, ‘穀神’을 五臟神을 ‘기른다[養]’고 풀이한 河上公의 예가 대표적이다. 또 하나는 골짜기[谷]와 신[神] 또는 골짜기의 신[谷神]으로 풀이하는 것으로 王弼이 대표적이다. 골짜기의 신은 뒤의 玄牝과 같은 은유로 볼 수 있는데, 골짜기는 그 안이 텅 비어 있어서 계곡을 흐르는 물과 그 양쪽에 수많은 草木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것은 道의 놀라운 生成의 德을 형용한 것이며 동시에 그와 같이 포용력 있는 聖人의 處身을 비유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역주2 是謂玄牝 : 玄牝에 대해서는 두 갈래의 해석으로 갈라진다. 하나는 도교적 양생술로 보는 것으로 하상공에게서 두드러지고, 다른 하나는 《老子》가 강조하는 因順, 柔弱의 處世와 관련하여 보는 것으로 王弼이 이에 해당한다. 河上公은 “玄은 하늘로서 사람의 코에 해당하고, 牝은 땅으로서 사람의 입에 해당한다.[玄 天也 於人爲鼻 牝 地也 於人爲口]” 즉 道家의 呼吸術과 辟穀 등 양생술과 관련된다고 본 것으로 이후 道敎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이와 달리 《老子》의 덕목으로 해석하는 경향은 현대에 와서 페미니즘 학자들의 큰 호응을 받았다. 예컨대 서양 학자들은 玄牝을 ‘신비스러운 여성성(the mysterious female)’으로 옮기곤 했는데 아서 웨일리(Aythur Waley), 라우(D. C, Lau) 빅터 메이어(Victor H. Mair) 등이 모두 그러하다. 한편 郭沫若, 張松如, 에드먼드 라이덴(Edmund Lyden)은 ‘牝’이 본래 ‘匕’로서 여성의 생식기(cleft)이며 원시 종교의 흔적이라 보기도 했다. 이와 같이 여성성을 강조하는 것이라는 해석에 대해 묄러(Hans-Georg Moeller) 같은 학자는 中國語에서 牝牡, 雌雄과 같이 동물에 해당하는 표현으로 보면 가능한 해석이지만, 人間을 구분하는 男女를 성적으로 구분하는 표현은 나오지 않으므로 이를 페미니즘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보았다. 薛惠는 ‘牝’이 본래 ‘匕(비)’로 읽어 운을 맞추기 위한 것이라 보기도 했다. 이에 따르면 ‘牝’은 큰 의미가 없다.
역주3 天地[之]根 : 河上公本에는 ‘天地之根’, 저본‧帛書本에는 ‘天地根’으로 ‘之’가 없다. 하상공본을 따라 ‘之’를 보충하였다. 그러나 의미상의 차이는 없다.
역주4 綿綿若存 用之不勤 : 帛書本은 ‘緜緜呵其若存’으로 되어 있는데 劉笑敢은 帛書本이 四字句 句文으로 다듬어지지 않은 때의 것을 반영하며, 이는 古代의 文獻이 정리되면서 전해지는 과정을 보여준다고 보았다. 대개의 주석들은 가늘게 이어지는 모양이 있는 듯 없는 듯 하다는 뜻으로 풀이한다. 美國의 道敎學者 해롤드 로스(Harold D. Roth)는 《管子》 〈內業〉, 〈心術〉 등의 편과 《老子》의 相關性을 지적하며 이런 표현들이 呼吸法을 중심으로 하는 養生術과 관련된 표현으로부터 유래한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한다. 河上公은 “코와 입으로 숨을 들이쉬고 내쉴 때에는 가늘고 미묘하게 하여 〈숨소리가 들리지 않을 정도로〉 있는 듯 없는 듯이 해야 한다.[鼻口呼吸喘息 當綿綿微妙 若可存 復若可無有]”라고 풀이하였으니 이에 해당한다. ‘勤’은 대체로 ‘다하다[窮 또는 盡]’로 풀이하기도 하고 ‘수고롭다[勞]’로 풀이하기도 한다. 이렇게 보면 ‘아무리 써도 다하지 않는다’고 풀이할 수도 있고, ‘아무리 써도 지치지 않는다’라고도 풀이할 수 있다. 王弼과 河上公 모두 ‘수고롭다’는 뜻으로 풀이하였는데, 왕필은 골짜기가 만물을 생성하는 작용이 수고롭지 않게 이루어진다는 뜻으로 풀이한 반면, 河上公은 이 구절을 呼吸術과 氣의 運用에 관련된 것으로 풀이한다.
역주5 谷中央無(谷)[者]也 : 저본에는 ‘者’가 ‘谷’으로 되어 있으나 陸德明의 《經典釋文》에는 ‘谷中央無’로 되어 있고, 아래 注文에서 ‘谷’에 대해 ‘中央無者也’라 하였다. 樓宇烈은 이를 근거로 ‘谷中央無者也’로 보았는데 이를 따른다. 하지만 루돌프 바그너는 王弼이 ‘無物’과 같은 표현을 쓰기도 하기에 ‘無谷’이란 표현도 왕필의 새로운 사유를 드러내는 용어로서 ‘谷中央無谷也’로 보아도 무방하다고 하면서 ‘골짜기 가운데의 〈골짜기라는 형체를 넘어선 것으로서〉 無谷(the non-valley)’이라 풀이하였다. ‘無者’로 보든 ‘無谷’으로 보든 萬物을 생성하는 ‘골짜기의 신묘한 작용[谷神]’의 의미를 부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면 큰 차이는 없다.
역주6 (谷)[物]以之成 而不見其形 : 저본에는 ‘物’이 ‘谷’으로 되어 있는데 樓宇烈은 陶鴻慶의 교감을 따라 ‘物’로 보았는데 이를 따른다. 루돌프 바그너는 ‘物’이 ‘谷’으로 골짜기의 신령한 작용이 만물을 이루어주지만 만물은 그 형체를 보지 못한다는 문장으로 보았다. 하지만 注1.2에서 ‘萬物以始以成 而不知其所以然’이라 한 것에 비추어보면 樓宇烈의 입장이 무리가 없기에 이를 따른다.
역주7 [之玄牝] : 저본에는 ‘之玄牝’이 없으나, 陶鴻慶 등은 《列子》 〈天瑞〉의 張湛 注에 의거하여 보완하였는데 이를 따라 보충하였다.
역주8 [太] : 저본에는 ‘太’가 없으나 樓宇烈은 《列子》 〈天瑞〉의 張湛 注에 의거하여 보완하였는데, 이를 따라 보충하였다.
역주9 無物不成 用而不勞也 : 樓宇烈은 《列子》 〈天瑞〉를 근거로 ‘無物不成而不勞也’로 보았으나, 따르지 않았다. 만물이 생장하는 과정에서 그 어느 것도 골짜기의 신령함, 즉 道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는 게 없는데, 그 작용이 신령해서 보이지도 않아 있는 듯 없는 듯하며 이러한 작용은 전혀 지치거나 힘들어 함이 없이 이루어진다는 뜻이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