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注]載 猶處也 營魄 人之常居處也
人之眞也
言人能處常居之宅하여 抱一淸神能常無離乎 則萬物自賓也니라
10.2 專氣致柔하여 能[若]嬰兒乎
[注]專 任也 極也
하여 致至柔之和하여 能若嬰兒之無所欲乎
則物全而性得矣리라
10.3 滌除玄覽하여 能無疵乎
[注]玄 物之極也
能滌除邪飾하여 至於極覽하며 能不以物介其明하여 疵之其神乎
則終與玄同也
[注]任術以求成하고 運數以求匿者 智也
玄覽無疵 猶絶聖也
治國無以智 猶棄智也
能無以智乎 則民不辟而國治之也
10.5 天門開闔이어늘
[注]天門 謂天下之所由從也 開闔 治亂之際也
或開或闔이어늘 經通於天下하니 故曰天門開闔也
應而不唱하고 因而不爲하니
言 天門開闔이어늘 能爲雌乎
則物自賓而處自安矣리라
[注]言 至明四達하여 無迷無惑하여 能無以爲乎 則物化矣
所謂道常無爲하니 侯王若能守 則萬物自化니라
10.7 生之하고
[注]不塞其原也
10.8 畜之호대
[注]不禁其性也
10.9 生而不有하며 하며 長而不宰하니 是謂玄德이니라
[注]不塞其原하면 則物自生하니 何功之有리오
不禁其性하면 則物自濟하니 何爲之恃리오
物自長足하여 不吾宰成하니 有德無主
非玄잇가 凡言玄德 皆有德而不知其主하니 出乎幽冥


첫 번째 세 문장은 신체 수양修養의 방법을 논하고 있으니, 이는 초기 도교道敎에 그러한 수행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기술이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에 대해 말하기는 쉽지 않다. 그렇다 해도 영아嬰兒의 형상이 언급되는 것에 주목해보는 것은 재미있다. 제20장, 제28장 그리고 제55장과 같이 이 장에서도 성인은 영아를 모방하고자(emulate) 노력한다. 이러한 상태는 자의식으로부터 자유롭고, 완전히 자발적이며(spontaneous), 어떠한 의도도 개입되지 않는다는 것을 우리는 추론할 수 있다. ‘양신養神(nourishing the soul)’과 ‘포일包一(embracing unity)’ 같은 도가적 수행은 갓난아이와 같은 상태에 도달하곤 했을 듯하다.
이어지는 글은 성격상 보다 정치적이다. 명백히 신체 수양은 성인 군주가 되는 데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되었다. 서로가 꼬여 있는 신체 수련[치신治身]과 통치[치국治國 혹은 주술主術]를 상관적으로 이해하는 사상은 선진유가先秦儒家에서도 나타나며, 《노자老子》 제13장과 제54장 또한 그것을 인유引喩하고 있다. 다섯 번째 문장에 나오는 천문天門과 여성성의 형상은 이 장을 제6장과 연관시켜 준다. 성인 군주는 여성적 자질에 근거하여 다스리며 아마도 자연의 재생산 과정의 열리고 닫힘에서 그 비어 있는 문의 지위를 계속 유지할 것이다.
늘 머무는 곳에 살면서 하나를 끌어안아 능히 떠나지 않을 수 있는가?
는 거처하다[]는 뜻이다. 영백營魄은 사람이 늘 머무는 주거지이다.
은 사람의 ‘참된 본성[]’이다.
〈이 구절은〉 사람이 능히 늘 머무는 집에 거쳐하면서 하나를 끌어안고 정신을 맑게 하여 〈집과 하나를〉 항상 떠나지 않을 수 있다면, 만물이 스스로 손님으로 와서 〈그에게 복종할 것〉임을 말했다.
를 맡겨두고 부드러움을 이루어 능히 갓난아기처럼 될 수 있겠는가?
은 맡긴다[]는 뜻이다. 는 완벽한 상태에 도달하다[]는 뜻이다. 〈이 문장은 다음과 같은 뜻을〉 말한 것이다.
자연스러운 기운(숨결)에 맡겨 지극히 부드러운 조화가 완벽한 상태에 도달하여 갓 태어난 아이와 같이 어떠한 욕망도 없는 상태에 도달할 수 있겠는가.
만약 그렇게 된다면 만물이 온전해져서 〈본래의 참된〉 본성을 얻게 될 것이다.
현묘한 거울에 낀 〈사악함과 꾸밈을〉 깨끗이 닦고 제거해내어 능히 흠이 없게 할 수 있는가?
은 만물의 궁극이다. 〈이 문장은 다음과 같은 뜻을〉 말한 것이다.
〈만약 군주가〉 능히 사악하고 꾸며낸 것을 깨끗이 닦고 제거해내어 완벽한 거울과 같은 〈상태에〉 이를 수 있어 어떤 외물도 그 밝음을 훼손하여 그 정신에 흠이 나지 않게 할 수 있는가.
만약 그렇게 된다면 결국에는 현묘함 그 자체와 같아지게 된다는 뜻이다.
백성을 아끼고 나라를 다스림에 능히 꼼수를 쓰지 않을 수 있는가?
〈군주가〉 술책을 부려 성공을 추구하고 술수를 부려 숨겨진 것을 찾고자 하는 것이 ‘꼼수’이다.
전혀 더럽혀지지 않은 현묘한 거울 같은 마음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바로 《노자》에서 말하는〉 “성스러움을 끊는다.”는 것과 같다.
나라를 다스림에 있어 꼼수로 하지 않는다는 것은 〈바로 《노자》가 말하는〉 “앎을 버린다.”는 것과 같다.
군주가 꼼수를 쓰지 않을 수 있는가. 만약 그럴 수 있다면 백성들이 그를 피하지 아니하고 나라가 잘 다스려질 것이다.
하늘의 문이 열리고 닫히는데 능히 암컷과 같이 할 수 있는가?
‘하늘의 문’이란 하늘 아래 모든 만물이 거쳐서 나오는 곳이다. ‘열림과 닫힘’이란 천하가 다스려질 때와 천하가 혼란스러울 때이다.
그 문이 열리고 닫히는데 하늘 아래 모두에게 두루 통하여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하늘의 문이 열리고 닫힌다.”고 한 것이다.
암컷은 응하기만 할 뿐 먼저 울지 않고, 따르기만 할 뿐 먼저 나서지 않는다.
〈이 문장이 말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만약 군주가〉 하늘의 문이 열리고 닫히는데 능히 암컷과 같이 할 수 있는가.
만약 그럴 수 있다면 만물이 스스로 손님이 되어 복종하고 거처가 저절로 편안해질 것이다.
사방에 두루 밝으면서도 능히 함이 없게 할 수 있는가?
〈이 문장이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군주가〉 사방에 두루 밝아 분간하지 못함이 없고 혹하는 게 없어 무언가를 가지고서 함이 없게 할 수 있는가? 만약 그렇게 한다면 만물이 교화될 것이다.
〈이것이 바로 《노자》 37.1-3에서〉 이른바 “도는 늘 함이 없으니 후왕侯王이 만약 이것을 지킬 수 있다면 만물이 저절로 교화될 것이다.”라고 한 말의 의미이다.
〈도는 만물을〉 낳고
〈도가〉 만물의 근원을 막지 않는다는 뜻이다.
〈만물을〉 길러주되
〈도가〉 만물의 본성을 속박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낳으면서 〈그 공로를〉 자기 것으로 하지 않고, 하면서도 〈지은 것에〉 의존하지 않고, 장성케 하면서도 주재하지 않으니, 이것을 현묘한 덕이라 한다.
〈도가〉 만물의 근원을 막지 않으면 만물이 스스로 살아가게 되니, 어찌 〈군주의〉 공이 있겠는가?
만물의 본성을 속박하지 않으면 만물이 저절로 가지런해지니, 어찌 의존함이 있겠는가?
〈이런 식으로〉 만물은 스스로 자라나고 풍족해져서 내가 주재하여 이루지 않았으니, 〈만물에 베풀어진〉 덕은 있는데 그 주재가 없다.
〈이러한 상황을〉 신비롭다 하지 않으면 무엇이라 하겠는가? 무릇 신비한 덕을 말한 것은 모두 덕은 있으나 그 주재를 알지 못하는 것이니, 그윽하고 어두운 곳에서 나온다고 하는 것이다.


역주
역주1 載營魄抱一…… 能[若]嬰兒乎 : 저본에는 ‘若’이 없으나 바그너는 아래 注文을 근거로 ‘能若嬰兒乎’라 보았는데 이를 따른다. 《淮南子》 〈道應訓〉에는 《莊子》 〈大宗師〉에도 나오는 유명한 공자와 안회의 ‘坐忘’ 이야기를 통해 이 부분을 해석하는데 내용은 조금 다르다. 《회남자》에서 顔回는 仲尼(공자)에게 坐忘을 이루었다고 하면서, “몸과 사지를 잊고 총명을 물리쳤으니 형체를 떠나고 지식을 벗어나 자신을 텅 비운 채 자연의 변화와 통하게 되었다.[隳支體 黜聰明 離形去知 洞於化通]”고 말한다. 그러자 공자는 안회를 따르겠다고 고백하는 이야기로 끝난다. 그리고 《노자》의 이 구절을 인용한다. 즉 《회남자》는 ‘專氣致柔’를 형체와 지식에서 벗어나 스스로를 비워 자연의 변화에 통한다는 뜻으로 풀이하고 있다.
역주2 任自然之氣 : 《老子》에서 ‘氣’는 經10.2 “專氣致柔”, 經42.1 “沖氣以爲和”, 經55.8 “心使氣曰强”에서 단 세 차례 출현하는데, 《老子注》에서는 注10.2 “任自然之氣”, 注42.1 “雖有萬形 沖氣一焉”, 注43.1 “氣無所不入”, 注55.8 “使氣則强”에서 네 차례 보인다. 이 가운데 우주론적인 논의로 해석할 수 있는 용례는 없다. 《老子指略》과 《周易注》에서도 전혀 언급이 없다. 달리 말하면 왕필의 관심은 도가의 자연주의 철학과는 다르며, 단지 그가 의도하고자 했던 ‘無爲’와 ‘自然’이 매우 사회적, 정치적, 윤리적 함의를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왕필의 철학적 태도는 揚雄의 학문과 더불어 王充의 비판적 합리주의 정신에서 연원하는 것으로, 마치 그가 《周易注》를 통해 讖緯와 象數를 일소하고 철저하게 의리적인 해석으로 전환한 것처럼, 《老子注》에서도 그 이전의 기론적 해석을 전환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역주3 愛民治國 : 帛書本은 ‘治國’이 ‘栝國’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活’의 빌린 글자로 보거나 高明(《帛書老子校注》)처럼 ‘治國’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도 있는데, 그 뜻은 ‘治國’과 같다.
역주4 能無[以]知乎 : 저본은 ‘能無知乎’로 되어 있고 樓宇烈은 이를 받아들인다. 그러나 바그너에 따르면 아래 注文에서 “治國無以智 猶棄智也 能無以智乎 則民不辟而國治之也”라 하였으니 이는 마땅히 ‘能無以知乎’가 되어야 한다. 이는 經65.3의 ‘故以智治國 國之賊’에 대한 논의와 연관된다. 여기의 ‘智’에 대해 王弼은 ‘술수[術]’로 풀이한다. 따라서 바그너의 견해에 따라 수정하였다.
역주5 能爲雌乎 : 통행되는 王弼本에는 ‘能無雌乎’로 되어 있으나, 저본과 帛書本, 河上公本 모두 ‘能爲雌乎’로 되어 있다. 바그너, 이석명(《백서 노자》)은 王弼의 注에서 ‘能爲雌乎’라 한 것을 근거로 ‘能爲雌乎’가 본래의 글자였을 것이라 하였다.
역주6 明白四達 能無(知)[以爲]乎 : 저본에는 ‘能無知乎’라 되어 있다. 帛書本은 ‘能毋以知乎’, 河上公本은 ‘能無知’로 되어 있다. 樓宇烈은 이 부분을 ‘能無爲乎’로 보았는데, 아래 注文에 ‘能無以爲乎’로 되어 있으니 이를 따른다. 《淮南子》 〈道應訓〉, 《莊子》 〈知北遊〉에서는 齧缺과 被衣의 대화를 통해 의미를 설명하고 있는데, ‘能無以爲乎’가 《회남자》는 ‘能無以知乎’로 되어 있다. 《회남자》에서는 齧缺이 被衣에게 道를 물어 깨달음을 얻어 “형체는 마른 해골 같고, 마음은 다 타버린 재와 같다. 진실하지만 무지한 상태를 유지하고, 묵묵하면서 흐릿하지만 마음에 어떤 의향도 없는 상태[形若槁骸 心如死灰 直實不知 以故自持 墨墨恢恢 無心可與謀]”에 도달한다. 이 고사를 소개한 후 《老子》의 이 구절을 인용한다.
역주7 爲而不恃 : 帛書本에는 이 구절이 없다.
역주8 (如)[而] : 저본에는 ‘而’가 ‘如’로 되어 있으나, 樓宇烈과 바그너 모두 道藏集注本에 따라 ‘而’로 보았다. 이에 따른다.
역주9 [者] : 저본에는 ‘者’가 없으나 바그너는 道藏集注本과 《文選》 〈東京賦〉 李善 注에 의거하여 보완하였는데 이를 따라 보충하였다.
역주10 [者也] : 저본에는 ‘者也’가 없으나, 바그너는 《文選》 〈東京賦〉 李善 注에 의거하여 보완하였는데 이를 따라 보충하였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