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57.1 以正治國하고 以奇用兵하니 以無事取天下하니라
[注]以道治國하면 則國平하고 以正治國하면 하니 以無事하면 則能取天下也
上章云 其取天下者 常以無事하니 及其有事하여는 又不足以取天下也라하니라
故以正治國하면 則不足以取天下하여 而以奇用兵也
夫以道治國 崇本以息末이요 以正治國 立辟以攻末이니 本不立而末淺하고 民無所及이라
故必至以奇用兵也
57.2 吾何以知其然哉리오 以此로다
하고 民多利器 國家滋昏하고
[注]利器 凡所以利己之器也 民强則國家弱하니라
57.3 人多 滋起하고
[注]民多智慧 則巧僞生하니 巧僞生하면 則邪事起하니라
[注]立正欲以息邪 而奇兵用하고 多忌諱欲以貧者也 而民彌貧하고 利器欲以强國者也 而國愈昏하니
皆舍本以治末이라 故以致此也
57.5 故 聖人云 我無爲而民自化하고 我好靜而民自正하고 我無事而民自富하고 이라하니라
[注]上之所欲 民從之速也
我之所欲 唯無欲이면 而民亦無欲而自樸也니라
此四者 崇本以息末也


제57장은 두 가지 방식의 통치, 즉 어떠한 과업(tasks)도 가지지 않음으로써 천하를 인수하는 ‘무위無爲의 통치(nonactive rulership)’와 사회를 불안케 하고 문제를 일으키는 ‘유위有爲의 통치(active rulership)’를 대조시키고 있다.
훌륭한 통치는 소박함에 근거한다. 그것은 단순한 방식의 지배로써 지배당하는 사람들에게 단순하지만 만족스러운 삶을 가져다주는 것이다. 제49장과 제55장에서 말하듯 백성들로 하여금 무지無知한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어린이나 갓난아기와 같이 되게 한다. 백성들을 우쭐거리게 하지 않고 가혹하게 다루지도 않는다.
군주의 의무란 백성들로 하여금 자연 상태 속에서 어떠한 이기적 욕망 - 물론 식욕食欲과 같이 자연스러운 생리적 욕구는 제외하고 - 도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다. 군주 자신이 무욕無欲의 상태에 있을 때에만, 군주는 오로지 백성들이 그러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군주가 만약 욕망을 내보이게 되면 백성들 또한 마찬가지로 그러한 욕망들을 발전시키게 될 것이다.
그리고 만약 군주가 어떤 종류의 지배나 규칙을 도입하게 되면 군주는 사회의 자연스러운 조화와 소박함을 손상시키게 될 것이다. 군주가 사회를 더욱 복잡하게 하면 할수록 질서를 유지하기란 더욱 더 어려워질 것이다. 규칙이 많다고 해서 삶이 더 나아지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더 많이 다투게 할 뿐이다. “줄일수록 늘어난다.(less is more)”는 것이야말로 도가적道家的 통치술의 핵심이다.
바름으로 나라를 다스리고 기이한 계책으로 군대를 운용하니 일삼음이 없음으로 하면 천하를 취할 수 있다.
로 나라를 다스리면 나라가 평안해지고, 바름으로 나라를 다스리면 기병奇兵이 일어나니, 일삼음이 없음으로 하면 천하를 취할 수 있다.
앞의 〈제48장에서〉 말하기를, “천하를 취하는 것은 늘 일삼음이 없음으로 하니, 일삼음이 있게 되면 또한 천하를 취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했다.
그러므로 바름으로 나라를 다스리면 천하를 취하기에 부족하여 기이한 계책으로 군대를 운용한다고 한 것이다.
대저 로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근본을 받들어 말단을 그치게 하는 것이요, 바름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법을 세워 말단을 다스리는 것이니, 근본이 서지 않으면 말단이 천박해지고 백성들이 미칠 곳이 없다.
그래서 반드시 기이한 계책으로 군대를 운용하는 데에 이르는 것이다.
내가 어떻게 그렇다는 것을 알겠는가? 이 때문이다.
천하에 꺼리고 피해야 할 것이 많으면 백성은 더욱 가난해지고 백성에게 이로운 기물이 많으면 국가는 더욱 혼란해진다.
이기利器는 무릇 자신을 이롭게 하는 기물이니 백성이 강하면 국가는 약해진다.
사람에게 지혜가 많아지면 사악한 일이 더욱 일어나고,
백성에게 지혜가 많아지면 교묘함과 거짓이 생기니, 교묘함과 거짓이 생기면 사악한 일이 일어난다.
법령이 많아지면 도적이 늘어난다.
바름을 세워 사악함을 없애려 하나 기병奇兵이 사용되고, 꺼리고 피해야 할 것을 많게 해서 가난을 그치게 하려 하나 백성은 더욱 가난해지고, 이로운 기물을 많게 해서 나라를 강하게 하려 하나 나라는 더욱 혼란스럽고 약해진다.
이 모두가 근본을 버리고 말단을 다스리는 것이기 때문에 이런 상태에 이르른 것이다.
그러므로 성인은 “내가 무위無爲하면 백성이 저절로 교화敎化되고, 내가 고요함을 좋아하면 백성이 저절로 바르게 되고, 내가 일삼음이 없으면 백성이 저절로 부유해지고, 내가 무욕無欲을 바라면 백성이 저절로 소박해진다.”고 했다.
윗사람이 원하는 것을 백성은 재빨리 따른다.
내가 바라는 게 오로지 무욕이면 백성 또한 욕심을 없애고 저절로 소박해진다.
이 네 가지는 근본을 숭상하여 말단을 그치게 하는 것이다.


역주
역주1 則奇(正)[兵]起(九)[也] : 저본에는 ‘兵’이 ‘正’으로 되어 있으나, 바그너는 張之象本에 따라 ‘兵’으로 교정하였다. ‘九’는 ‘也’의 誤記이므로 바로잡는다.
역주2 [於] : 저본에는 없으나, 東條弘의 설에 따라 ‘於’를 보충하였다.
역주3 天下多忌諱 而民彌貧 : 竹簡本에는 “夫天多忌諱 而民彌叛”으로 되어 있다. 이는 “꺼리고 피해야 할 것이 많을수록 백성이 모반하는 일이 더 많아진다.”는 뜻이니 의미의 차이가 크다.
역주4 (伎巧)[智慧] : 저본에는 ‘伎巧’로 되어 있으나, 아래 注文에서 王弼이 ‘民多智慧’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智慧’로 바로잡는다.
역주5 (奇物)[邪事] : 저본에는 ‘奇物’로 되어 있으나, 集注本과 王弼의 注에 의거하여 ‘邪事’로 바로잡는다.
역주6 法令滋彰 盜賊多有 : 河上公本, 帛書本, 竹簡本에는 ‘法令’이 ‘法物’로 되어 있다. 이때의 物은, 예컨대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말라.[不貴難得之貨](經3.1)” 할 때의 의미와 통한다. 이 구절에 대해 《呂氏春秋》 〈審應覽〉, 〈淫辭〉와 《淮南子》 〈道應訓〉은 梁 惠王과 翟煎의 이야기로 설명한다. 《淮南子》 〈道應訓〉에서 惠子는 양 혜왕을 위해 국법을 만든다. 혜자가 원로들에게 보이자 모두 좋다 하므로 양 혜왕에게 바쳤다. 양 혜왕은 매우 기뻐하며 적전에게 보여주었는데, 적전 또한 좋다고 하였으나 시행은 반대하였다. 그 까닭을 묻자 적전은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는 禮에 있지 〈법령의〉 문장의 세밀함에 있지 않다.[治國有禮 不在文辯]”고 답한다. 이 대화를 소개한 후 《회남자》는 《노자》의 이 문장을 인용한다.
역주7 (恥)[止] : 저본에는 ‘恥’로 되어 있으나, 波多野太郞의 설에 따라 ‘止’로 바로잡는다.
역주8 [多] : 저본에는 없으나, 바그너는 經57.2에서 “天下多忌諱 而民彌貧 民多利器 國家滋昏”이라 하였으므로 ‘多’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타당하게 여겨지므로 이를 따라 ‘多’를 보충하였다.
역주9 (多)[弱] : 저본에는 ‘多’로 되어 있으나, 陶鴻慶의 설에 따라 ‘弱’으로 바로잡는다.
역주10 我欲無欲而民自樸 : 帛書本, 竹簡本에는 모두 ‘我欲不欲而民自樸’으로 되어 있으나, 왕필의 경우에도 注에서 ‘我之所欲 唯無欲’이라 하였으니 의미상의 차이는 없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