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詩三百首(1)

당시삼백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시삼백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初發
韋應物
泛泛入煙霧
殘鐘廣陵樹
今朝此爲別
何處還相遇
世事波上舟
安得住
[集評] ○ 寫離情不可過于凄惋 含蓄不盡 愈見情深 此種可以爲法 - 淸 沈德潛, 《唐詩別裁集》 卷3
○ 唐人興趣天然之句 如左司秋山起暮鐘 楚雨連滄海 歸棹洛陽人 殘鐘廣陵樹……
此等落句 每一諷咏 眞有成連移情之嘆 - 淸 葉矯然, 《龍性堂詩話讀集》


〈양자진을 떠나면서 교서랑 원대에게 부치다〉
위응물
서글프게도 사랑하는 그대를 떠나
안개 자욱한 곳으로 아득히 들어간다
돌아가는 배를 탄 낙양사람에겐
광릉 숲 속의 아련한 종소리 들리는구나
오늘 아침 여기서 이별하면
어디에서 다시 만나랴
세상일은 물결 위의 배와 같아
물결 따르다보면 어찌 머물 수 있겠는가
[集評] 이별의 정을 묘사하면서 지나치게 凄惋해서는 안 된다. 그래야 함축한 것이 다함이 없어서 더욱더 정이 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법으로 삼을 만하다.
唐人의 흥취가 天然한 구절은, 左司(위응물)의 ‘秋山起暮鐘 楚雨連滄海’, ‘歸棹洛陽人 殘鐘廣陵樹’ …… 등이 있다.
이러한 구절은 매양 한번 읊조리면 참으로 이 담겨있다.


역주
역주1 揚子 : 長江에 있는 揚子津을 말한다. 江蘇省 揚州 남쪽에 있다.
역주2 元大校書 : 元大는 元氏 문중의 항렬이 첫 번째인 사람인데, 누구인지는 미상이다. 校書郞을 지낸 元結(723~772)이라는 설도 있으나, 분명하지 않다.
역주3 悽悽去親愛 泛泛入煙霧 : 앞구는 벗과 이별하는 슬픔을, 뒷구는 강 위의 연무가 가득함을 묘사하였다. ‘悽悽’는 슬픈 모양이고, ‘泛泛’은 아득한 모양이다.
역주4 歸棹洛陽人 殘鐘廣陵樹 : 낙양은 지금의 河南省 洛陽이고, 광릉은 지금의 江蘇省 揚州이다. 위응물은 원대가 있는 광릉을 떠나 낙양으로 향하고 있다.
역주5 沿洄 : 물을 따라 내려가는 것을 ‘沿’이라 하고, 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것을 ‘洄’라 한다. 이백의 시에, “물결 따라 오르고 내려 정처가 없으니, 홀연히 슬프게 떠나갈 뿐[沿洄且不定 飄忽悵徂征]”이라는 구절이 있다.
역주6 成連이……감탄[成連移情之嘆] : 成連은 춘추시대 저명한 琴師이다. 伯牙는 성련에게 琴을 배웠는데, 3년이 되어도 精通하지 못하자, 성련은 백아를 東海 蓬萊山에 데리고 가서 바닷물이 파도치는 소리와 숲 속의 새가 구슬피 우는 소리를 듣게 하였다. 그때 백아는, “선생께서 내게 정을 옮겨 주셨구나.[先生移我情矣]”라고 감탄하였는데, 이때부터 계발되어 천하의 妙手가 될 수 있었다.
참고자료
[참고자료]신흠申欽은 〈청창연담상晴窓軟談上〉(《象村先生集》 58)에서 평소 읊은 위응물의 시를 열거하면서 〈기원교서寄元校書〉라는 제목으로 시 전문을 실었다.
동영상 재생
1 028 초발양자기원대… 252

당시삼백수(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