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詩三百首(1)

당시삼백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시삼백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子夜四時歌 冬歌〉
李白
明朝
一夜絮
素手抽鍼冷
那堪把剪刀
裁縫寄遠道
幾日到
[集評] ○ 有味外味 每結二語餘情 餘韻無窮 - 明 陸時雍, 《唐詩鏡》 卷17
○ 語逼淸商 擣衣篇 尙帶初唐綺習 不及此之眞摯 - 淸, 《唐宋詩醇》 卷4


〈자야사시가 겨울 노래〉
이백
내일 아침 驛吏가 떠난다기에
하루 밤새 솜 넣어 征袍를 지었다오
맨손은 바늘을 뽑기에도 시리거늘
가위를 또 어찌 잡으랴
옷을 지어 먼 길에 부치노니
어느 날에나 臨洮에 당도할까
[集評] 맛 이외의 또 다른 맛이 있다. 매양 결구 두 구절에는 남겨진 정이 있어 여운이 무궁하다.
시어가 에 가깝다. 은 初唐의 綺麗한 習氣를 띠고 있어 이 편의 진정성에는 미치지 못한다.


역주
역주1 驛使 : 역에 소속된 관리로서, 문서 등을 전달하는 일을 맡았다.
역주2 征袍 : 出征한 將兵이 입는 겨울옷이다.
역주3 臨洮 : 옛 지명으로, 오늘날 甘肅省 岷縣에 있다. 〈塞下曲〉 제2수의 주3)에 자세하다.
역주4 淸商曲 : 악부가곡의 명칭이다. 相和三調(平調‧淸調‧瑟調)에서 유래한 것으로 南朝民歌가 많이 수록되어 있다.
역주5 擣衣篇 : 이백의 작품으로 《이태백집》 권6에 실려 있다. 元代의 胡應麟은 《詩藪》(〈內篇〉 卷3)에서 “太白의 〈擣衣篇〉은 초당의 格調이다.”라고 평하였다.
동영상 재생
1 042 자야사시가 동가 235

당시삼백수(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