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詩三百首(1)

당시삼백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시삼백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感遇〉 其三
張九齡
滯虛洗孤淸
持此謝
因之傳遠情
日夕懷
人誰感至精
何所慰吾誠


〈感遇〉 네 수중 세 번째 시
장구령
그윽한 숲에 돌아와 홀로 누워
虛靜한 곳에 오래 사니 고적감마저 씻긴다
이 마음 높이 나는 새에게 말해주노니
멀리 있는 이에게 진심 전해다오
밤낮으로 맑은 뜻 품고 있는데
사람 가운데 뉘라서 지극한 정성을 알겠는가
높이 나는 새 물 속의 고기처럼 저절로 형세 다른 법
어느 곳이 내 참마음 위로해주려나


역주
역주1 幽林歸獨臥 滯虛洗孤淸 : 이 구절은 일반적으로 ‘幽人歸獨臥 滯慮洗孤淸’으로 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四部叢刊》本의 《曲江張先生文集》에 따라 바로잡았다. 전체 구절의 뜻은 ‘홀로 돌아와 은둔한 후 오래도록 마음 비우고 고요하게 지내니 마음속의 고적함을 씻어낼 수 있다.’는 말이다. ‘滯’는 오래 머문다는 뜻이다.
역주2 高鳥 : 임금의 총애를 받아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을 비유한다.
역주3 空意 : 淸虛한 心情이다.
역주4 飛沈理自隔 : 높이 나는 새와 물 속의 고기처럼 저절로 형세가 다르다는 것은, 한쪽은 조정에 있고 한쪽은 재야에 있어 형편이 서로 다름을 가리킨다.
동영상 재생
1 003 감우 기3 366

당시삼백수(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