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集評] ○ 翡翠 卽今捕魚翠鳥쇠새 意其鳥腹下赤羽 而背上翠羽 故兩字名之
蓋釵有兩股 合有兩扇 玉眞寄釵而留一股 寄合而留一扇
又就其所寄之中 於釵擘 取黃金 於合分 取鈿飾而留於己 皆所以反復致意於離合 以爲後期也 - 朝鮮 金隆, 《勿巖集》 〈古文眞寶前集講錄〉
○ 樂天長恨歌一百二十句 讀者不厭其長 元微之行宮詩四句 讀者不覺甚短 文章之妙也 - 明 瞿佑, 《歸田詩話》 上
始則求其人而未得 旣得而愛幸之 卽淪惑而不復理朝政矣
不獨寵妃一身 而又遍及其宗黨 不惟不復早朝 益且盡日耽于絲竹 以致祿山倡亂 乘輿播遷
帝旣誅妃以謝天下 則宜悔過 乃復展轉懷思 不能自絶
至令方士遍索其神 得鈿合金釵而不辨其詐 是眞迷而不悟者矣 - 明 唐汝詢, 《唐詩解》
○ 其事本易傳 以易傳之事 爲絶妙之詞 有聲有情 可歌可泣 文人學士 旣嘆爲不可及 婦人女子 亦喜聞而樂誦之
是以不脛而走 傳遍天下 - 淸 趙翼, 《甌北詩話》
한나라 황제 여색을 중히 여겨 傾國之色 그리워했지만
천하 다스린 지 여러 해 동안 구하지 못하였네
눈동자 움직이며 한 번 웃으면 온갖 교태 피어나
어여쁘게 단장한 후궁의 여인들 광채를 잃었다오
온천물 매끄러워 엉긴 기름 같은 살결 씻어주네
시중드는 궁녀들 부축해 일으키는데 나른해 힘이 없으니
기쁘게 해드리고 잔치에서 뫼시느라 한가한 겨를 없어
봄이면 봄놀이 따르고 밤이면 밤을 독차지 하였네
玉樓에서 잔치가 끝나자 취기가 봄과 어우러지는구나
아들 낳는 것 중하게 여기지 않고 딸 낳는 것 중하게 여기도록 했네
부드러운 노래와 여유로운 춤 관현악 소리에 엉겨
밤비에 방울소리 들리면 소리에 애간장 끊어지네
하늘이 돌고 땅이 돌아 황제의 수레 돌아올 제
임금과 신하 서로 돌아보고 모두 눈물로 옷 적시고
동쪽으로 도성문 바라보며 말 가는대로 맡기고 돌아왔네
외로운 등불 심지 다 돋우어도 잠 못 이루었네
하늘에 오르고 땅에 들어가 그녀를 두루 찾았다네
구름 같은 머리채 반쯤 기운 채 막 잠에서 깨어
비녀는 황금을 쪼개었고 상자는 자개를 나눈 것입니다.
천상과 인간 세상에서 서로 만나 볼 것입니다.”
말 가운데 맹세 있었던 걸 두 마음만이 안다네
하늘은 영원하고 땅 유구해도 다할 때 있겠지만
1
071 장한가
627
2
071 장한가
648
3
071 장한가
518
4
071 장한가
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