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韓愈(2)

당송팔대가문초 한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한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此必牛堪不謝擧主 故昌黎爲文云云이라
擧者하고 又約通大義하며 하고 旁出入他經者 又誦數十萬言이니 其爲業也勤矣로다
於有司者 하고 由是進而累爲卿相者 常常有之하니 其爲獲也亦大矣로다
然吾未嘗聞有登第於有司而進謝於其門者하니 豈有司之待之也 抑以公不以情일새 擧者之望於有司也 亦將然乎
其進而謝於其門也 則爲私乎 抑無乃人事之未思어나 或者不能擧其禮乎
若牛堪者 思慮足以及之하고 材質足以行之로되 而又不聞其往者 ㄴ저
違衆而求識하고 立奇而取名 非堪心之所存也 由是而觀之컨대 若堪之用心 其至於大官也不爲幸矣리라
太學生也 博士也 博士 師屬也 於其登第而歸하야 將榮於其鄕也 能無說乎
唐荊川曰 此篇文字 意格異常이라


11. 牛堪을 전송한
는 필시 牛堪擧主(자기를 천거한 사람)에게 사례하지 않았기 때문에 昌黎가 글을 지어 이렇게 말한 듯하다.
明經科應試하는 자는 수십만 의 글을 외고 또 그 뜻을 대략 이해해야 하며, 고인의 言辭나 유사한 事例를 끌어다가 증거로 삼고 널리 다른 經書를 넘나드는 자는 또 수십만 자의 글을 외야 하니, 그 學業이 수고롭다 하겠다.
그러나 有司에게 뽑혀 급제한 자는 農地[民畝]를 떠나 관리가 되어 俸祿을 받고, 이로부터 승진을 거듭하여 卿相이 되는 자가 항상 있었으니, 얻는 것 또한 크다 하겠다.
그러나 나는 有司(考官)에게 뽑혀 과거에 급제하고서 그 有司(집)에 찾아가서 謝禮한 자가 있다는 말을 듣지 못하였으니, 이 어찌 有司擧子를 대함에 公的으로 대하고 사사로운 정으로 대하지 않았기 때문에 有司에 대한 擧子期望(기대) 또한 그런 것이 아니겠는가?
그 집에 찾아가서 사례하는 것을 사사롭다고 여긴 것인가? 아니면 人事를 생각지 못하였거나, 혹은 그 예를 행할 수 없어서가 아니겠는가?
牛堪으로 말하면 思慮人事에 미치기에 충분하고, 材質이 예를 행하기에 충분한데도 有司의 집에 찾아갔다는 말을 듣지 못한 것은 그에게 아마[] 까닭이 있어서일 것이다.
남달리 행동하여 알아주기를 구하고 기이하게 행동하여 명성을 취하는 것은 牛堪의 마음에 있는 것이 아니니, 이로써 보건대 牛堪의 마음 씀이라면 그가 大官에 이르는 것이 요행이 아닐 것이다.
牛堪太學生이고, 나는 博士이다. 博士는 스승이니, 그가 급제하고 돌아가서 장차 그 고향을 榮譽롭게 하고자 하는데, 내 어찌[] 말이 없을 수 있겠는가?
唐荊川이 말하였다. “이 文字는 뜻과 格式이 이상하다.”


역주
역주1 送牛堪序 : 牛堪은 太學生인데, 그 내력은 未詳이다. 이 序는 韓愈가 四門博士로 있던 唐 德宗 貞元 19년(803)에 지은 것이다.
역주2 明經 : 唐나라 과거 科目 중의 하나이다.
역주3 數十萬言 : 言은 字이다.
역주4 徵辭引類 : 고인의 言辭나 유사한 일을 끌어다가 증거로 삼음이다.
역주5 登第 : 及第와 같은 말이다.
역주6 去民畝而就吏祿 : 民畝는 백성이 경작하는 農地이니, 곧 농지를 떠나 관리가 되어 祿俸을 받아 생활하게 된다는 말이다.
역주7 其將有以哉 : 其는 牛堪을 이르고, 將은 ‘아마도’이고, 以는 ‘까닭’이니, 곧 그에게 아마도 까닭이 있어서일 것이라는 말이다.

당송팔대가문초 한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