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韓愈(2)

당송팔대가문초 한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한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按唐書 于公多刻하니라 退之文多托之以諷이라
累數百言이러니 其大要言 先達之士得人而託之 則道德彰而名聞流하고
後進之士得人而託之 則事業顯而爵位通이어니와 下有矜乎能하고 上有矜乎位 雖恒相求而不相遇니라
于公不以其言爲不可하고 復書曰 足下之言是也라호라 于公身居方伯之尊하고
之材로되 而能與卑鄙庸陋相應答如하니
是非忠乎君而樂乎善하야 以國家之務爲己任者乎
愈雖不敢私其大恩이나 抑不可不謂之知己하야 恒矜而誦之호라
情已至而事不從 小人之所不爲也 故於之行 道刺史之事하야 以爲于公贈하노라
凡天下之事 成於自同而敗於自異하나니라 爲刺史者恒私於其民하야 不以實應乎府하고
爲觀察使者恒急於其賦하야 不以情信乎州 繇是刺史不安其官하고 觀察使不得其政하야
財已竭而斂不休하고 人已窮而賦愈急하니 其不去爲盜也亦幸矣
誠使刺史不私於其民하고 觀察使不急於其賦하야 刺史曰 吾州之民天下之民也 惠不可以獨厚라하고
觀察使亦曰 某州之民天下之民也 斂不可以獨急이라하면 如是而政不均令不行者 未之有也니라
于公旣已信而行之矣 今之言者 其有不信乎
縣之於州 猶州之於府也하야 有以事乎上하고 有以臨乎下하니 同則成하고 異則敗者 皆然也
非使君之賢이면 其誰能信之리오 愈於使君 非燕遊一朝之好也 故其 不以頌而以規하노라
曰 此文作二段하야 後總하니라


03. 許郢州를 전송한
唐書≫를 고찰컨대, 于公(于頔)은 刻薄한 행위가 많았으니, 韓退之의 글은 대체로 이를 가탁해 諷刺한 것이다.
내 일찍이 수백 자나 되는 長文의 편지를 于公에게 보낸 적이 있는데, 그 要旨는 “먼저 벼슬에 올라 영달한 선비가 어진 사람(後進)을 만나 의탁하면 도덕이 드러나고 명성이 전해지며,
後進의 선비가 어진 사람(先達)을 만나 의탁하면 사업이 드러나고 爵位通暢(막힘없이 통함)하지만, 下位에 있는 자가 자기의 재능을 자랑하고, 上位에 있는 자가 자기의 地位를 과시한다면, 비록 항상 서로 〈만나기를〉 구하여도 서로 만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우공은 나의 말을 그르게 여기지 않고, “足下의 말이 옳소.”라는 答書를 보내주었다.
于公은 그 몸이 존귀한 方伯의 자리에 계시고
세상에 흔치 않은 才能을 가지셨으면서도 도리어[] 비루하고 용렬한 사람의 말에 이처럼 신속히 응답해주었으니,
이것이 임금께 충성하고 善人을 좋아하여 국가의 일을 자기의 임무로 여기는 것이 아니겠는가?
내 비록 우공의 큰 은덕을 감히 私有할 수 없으나, 知己라고 이르지 않을 수 없어서, 항상 자랑스러워하며 그 말씀(答書의 말)을 읊조렸다.
이 이미 지극한데도 行事가 따르지 않는 것은 소인도 하지 않는 바이다. 그러므로 使君(許仲輿)이 길을 떠날 때에 刺史로서 해야 할 일을 말하여 于公에게 드리게 한다.
무릇 천하의 일은 자기가 남과 뜻을 함께하는 데서 이루어지고 남과 뜻을 달리하는 데서 실패한다. 그런데 刺史가 된 자들은 항상 자기 의 백성만을 편애하여 觀察使를 진실로써 응대하지 않으며,
觀察使가 된 자들은 항상 賦稅 징수만을 급하게 여겨 진정으로 의 자사를 믿지 않는다. 그러므로 자사는 관직을 편안히 지키지 못하고, 관찰사는 政事를 잘 처리하지 못하여,
재물이 이미 고갈되었는데도 부세의 징수를 그치지 않고, 백성들의 생활이 이미 곤궁한데도 부세를 더욱 급하게 징수하니, 백성들이 도망가서 도적이 되지 않는 것만도 다행이다.
가령 자사가 자기 의 백성만을 편애하지 않고, 관찰사가 부세 징수만을 급하게 여기지 않고서, 자사는 “내 의 백성도 천하의 백성이니 유독 이들에게만 施惠를 두터이 할 수 없다.”라고 하고,
관찰사도 “아무 의 백성도 천하의 백성이니 유독 그곳에만 徵稅를 급하게 할 수 없다.”라고 한다면, 이렇게 하고서 정사가 공평하지 않고 명령이 시행되지 않은 경우는 없었다.
내가 전에 했던 말을 于公이 이미 믿고 실행하였으니, 지금 하는 말을 어찌 믿지 않겠는가?
의 관계가 의 관계와 같아서, 上司를 섬기는 일도 있고 下官을 다스리는[] 일도 있으니, 뜻을 같이하면 성공하고 달리하면 실패하는 것은 모두 그러하다.
그러나 현명하신 使君이 아니면 그 누가 이 말을 믿겠는가?
나는 사군과 술이나 마시며 즐겁게 논 한때의 벗이 아니다. 그러므로 그가 길을 떠날 때에 주는 말에 칭송하지 않고 規勸(경계하고 권면함)하였다.
唐荊川이 말하였다. “이 문장은 兩端構造로 지어, 〈前段에 한 말들을〉 後段에서 모두 收斂하였다.”


역주
역주1 送許郢州序 : 許郢州는 許仲輿이다. 貞元 19년(803)에 許仲輿가 郢州刺史로 나갔기 때문에 許郢州라 한 것이다. 郢州는 山南東道에 속한 州인데, 이때 山南節度使가 于頔이었다. ≪舊唐書≫ 〈于頔傳〉에 “멋대로 사람을 학살하고, 오로지 윗사람을 무시하고 아랫사람을 위압하기만을 일삼았다.”고 하였으니, 非行이 많은 人物이다.
그러나 한유는 元和 원년(806) 6월에 江陵法曹參軍에서 조정의 부름을 받고 돌아올 때에 襄陽에서 당시 山南節度使로 있던 于頔에게 환대를 받은 일이 있어, 서로 잘 아는 사이였다. 그러므로 郢州刺史로 가는 許仲輿에게 이 글을 주어 忠告하고, 아울러 于頔을 諷諫(넌지시 말하여 잘못을 깨우침)한 것이다.
역주2 愈嘗以書自通於于公 : 한유가 元和 원년(806) 6월에 江陵法曹參軍에서 조정의 부름을 받고 돌아오는 길에 襄陽을 지나니, 山南節度使 于頔이 한유를 환대하고 자기가 지은 詩文을 보여주었다. 한유는 이 시문을 받아 가지고 오다가 鄧州에 이르러 于頔에게 답신을 보냈다.
역주3 (喜) : 저본에는 ‘喜’자가 있으나, ≪韓文考異≫에 “여러 板本에 ‘喜’자 없다.”고 한 것에 의거하여 ‘喜’자를 衍字로 처리하였다.
역주4 不世 : 세상에 드문 재주를 이른다.
역주5 影響 : 그림자와 메아리인데, 反應이 迅速함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역주6 使君 : 漢代에는 刺史를 이르는 말로 쓰였는데, 후대에는 州郡의 長에 대한 존칭으로 쓰였다. 여기서는 許仲輿를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역주7 其前之言者 : 본서 권2 〈鄧州北寄上襄陽于相公書〉의 말을 이른다.
역주8 贈行 : 이별할 때 勸勉과 激勵의 뜻을 담아 주는 말이나 글을 이른다. 여기의 贈行은 바로 이 序를 이른다.
역주9 荊川 : 明나라의 學者 唐順之(1507~1560)의 호이다.
역주10 (較)[收] : 저본에는 ‘較’로 되어 있으나, 四庫全書本에 의거하여 ‘收’로 바로잡았다.

당송팔대가문초 한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