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4)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序事亦鬯이라
諱元이요 字子春이요 姓許氏 宣州宣城人也 許氏世以孝謹稱鄕里러라
其父亡 一子當官이어늘 兄弟相讓이러니 久之曰 吾弟材 後必庇吾宗이라하니 乃以公補이라
徙居하야 力耕以養其母라가 이러니 戍兵千人 自海上亡歸한대
州守聞變 不知所爲 公爲詰其所以來하니 二三人出하야 前對어늘
公叱左右執之曰 惑衆者 此爾 其餘何罪오하고 勞其徒而遣之
이라 縣有練湖하니 決水一寸一尺이라 故法 盜決湖者 罪比殺人이러라
會歲大旱이라 公請借湖水漑民田하고 不待報決之하니 州守遣吏按問한대
公曰 便民이면 罪令可也라하니 竟不能詰이라 由是 漑民田萬餘頃하야 歲乃大豐이러라
再遷太子中舍 한대 所至 民愛思之러라
公爲吏 喜修廢壞하고 其術長於治財 兵出久無功하고 而天下勞弊
言公材하야 以主한대 公言 先時 賈人入粟塞下하니 京師錢不足以償이라
故錢償愈不足하면 則粟入愈少而價愈高하니 是謂內外俱困이라
이라하고 曰 此輕重之術也라한대 行之果便이러라
是時 京師粟少로되 而江淮不給이라 三司使懼하고 大臣以爲憂한대
參知政事范仲淹謂公獨可辦이라하니 乃以公爲江淮兩浙荊湖發運判官이라
公曰 以七十二州之粟으로 不能足京師者 吾不信也라하고
至則治千艘하야 浮江而上할새 所過州縣 留三月食하고 其餘悉發하니 而州縣之廩 遠近以次相補 由是 不數月 京師足食이라
旣而歎曰 此可爲於乏時 然歲漕不給者 有司之職廢也라하야
乃考故事하야 明約信令하야 發斂轉徙하고 至於風波遠近遲速賞罰하야도 皆有法하니
凡江湖數千里外 談笑治之하야 不擾不勞하되 而用以足이러라
每歲終 會計來朝어든 天子必加恩禮
特賜하야 官至工部郞中 天章閣待制
凡在職十有三年이러니 已而曰 臣憊矣 願乞臣一州라한대 天子顧代公者 難其人이라
其請至八九하니 久之 察其實病且老矣 乃以知揚州 居歲餘 徙知越州러니 公益病이라
又徙泰州한대 至州未視事 以嘉祐二年四月某日 卒于家하니 享年六十有九
曾祖諱稠 錄事參軍이요 祖諱規 贈大理評事 父諱逖 尙書司封員外郞 贈工部侍郞이라
公娶馮氏하니 封崇德縣君이요 先公卒이라 子男二人이니 長曰宗旦 揚子縣主簿 次曰宗孟 守將作監主簿
女一人이니 適太常寺太祝滕希雅
先是 江淮歲漕京師者常六百萬石이라가 其後十餘歲 歲益不充이러니
至公하야 爲之歲必六百萬이요 而常餘百萬하야 以備非常이러라
方其去職하야 有勸公進爲羨餘者하니 公曰 吾豈聚斂者哉 敢用此以希寵가하다
公爲人 善談論하고 與人交 久而益篤이라 於其家 尤孝悌하야 所得俸祿 分給宗族하야 無親疎之異
其孤宗旦等 以某年某月某日 葬公於眞州揚子縣甘露鄕之某原이라
其所與遊廬陵歐陽脩 誌於其墓曰 嗚呼 爲天下者 固當養材於無事之時 蓋必有事然後 材臣出이라
하니 奔走從事於其間者 皆號稱天下豪傑이라
其智者出謀하고 材者獻力하되 訖不得少如其志어늘
而公遭此時하야 用其所長하고 且久於其官이라 故得卒就其業而成此名하니 此其可以書矣라하고
乃爲之銘曰 材難矣 有蘊而不得其時 時逢矣 有用而不盡其施
功難成而易毁 雖明哲或不能以自知 公材之敏兮 用適其宜 志方甚壯兮 力則先衰
行著于家하고 而勞施于國이로다 永幽其閟兮 銘以哀之하노라


05. 尙書工部郞中 充天章閣待制 許公墓誌銘
사실을 서술한 것이 또한 훌륭하다.
공은 이고 子春이고 許氏이니 宣州 宣城 사람이다. 허씨는 대대로 孝行謹愼으로 鄕里에서 일컬어졌다.
부친이 돌아가셨을 때 한 명의 아들에게 관직이 내려지게 되었는데, 형제가 오랫동안 서로 사양하다가 형이 말하기를 “우리 아우가 재주가 있으니 뒷날 반드시 우리 종족을 보호할 것이다.”라고 하니, 드디어 공을 郊社齋郞補任하였다.
海陵으로 이주하여 힘써 농사지어 모친을 봉양하다가 明州 定海縣劍州 順昌縣縣尉, 泰州軍事推官으로 調用되었는데, 수자리 서던 병사 천 명이 바닷가에서 도망하여 돌아오는 일이 발생했다.
泰州知事事變을 듣고는 어찌할 줄을 몰라 했다. 공이 돌아온 까닭을 힐문하니 두세 사람이 나와서 공의 앞에서 대답하자,
공이 좌우를 질타하여 체포하게 하고서 말하기를 “무리를 미혹시킨 자들은 이들뿐이다. 나머지 사람들이 무슨 죄가 있겠는가.”라고 하고는 무리를 위로하고 수자리 서던 곳으로 돌려보냈다.
鎭東軍節度推官 知潤州丹陽縣으로 승진하였는데 현에 練湖라는 호수가 있었으니, 호수의 물을 한 치 터놓으면 漕渠에 한 자의 물을 채울 수 있었다. 그러므로 법률에 호수의 물을 몰래 터놓는 자는 살인죄와 같이 취급하였다.
당시 큰 가뭄이 들었으므로 공이 호수의 물을 백성들의 전답에 댈 것을 청하고서는 회신을 기다리지도 않고 호수의 물을 터놓으니, 知事가 관리를 파견하여 공을 심문하였다.
그러자 공이 “백성들을 편하게 하는 것이라면 죄를 받아도 좋다.”라고 하니, 마침내 힐책하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백성들의 전답 만여 이랑에 물을 대어 그해에 크게 풍년이 들었다.
다시 승진하여 太子中舍, 監揚州博鹽和糴倉, 知泰州如臯縣이 되었는데, 가는 곳마다 백성들이 좋아하고 사모하였다.
공은 관리가 되어 무너지고 쇠퇴한 것을 정비하는 일을 좋아하였고 재정 관리를 잘하였다. 元昊河西에서 반란을 일으킨 뒤로 군사가 출동하여 오랫동안 戰功을 거두지 못하고 천하는 피폐해졌다.
三司使가 공의 재주를 말하여 재화의 관리를 주관하게 하였는데, 공이 말하기를 “예전에는 商人이 변경으로 곡식을 들여왔으니, 京師에서는 그것을 보상할 돈이 부족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돈으로 보상해주는 것이 더욱 부족해지면 곡식이 들어오는 양은 더욱 적어지고 곡식 가격은 더욱 올랐으니, 이것을 일러 內外가 다 곤궁해지는 것이라고 합니다.
청컨대 변경의 곡식 가격을 높이고, 남쪽 지방의 소금 가격을 낮추어서 보상해주어, 동남 지방의 적체된 소금은 덜어지게 하고 서북 지방의 곡식은 가득차게 하십시오.”라고 하고는, “이것이 輕重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라고 하였는데, 그 방법대로 하자 과연 편리하였다.
이때에 京師의 곡식이 부족하였는데, 江淮歲漕가 공급되지 않았다. 三司使가 두려워하고 대신들이 걱정하였는데,
參知政事 范仲淹이 공만이 해결할 수 있다고 하니, 이에 공을 江淮兩浙荊湖發運判官으로 삼았다.
공이 말하기를 “6 72의 곡식을 가지고도 경사에 충분히 공급하지 못한다는 것은 내가 믿을 수 없다.”라고 하고는,
강회에 당도하여 천 척의 배를 마련하여 水路로 이동하면서 지나가는 州縣마다 3개월치의 곡식만을 남겨두고 나머지는 다 징발하니, 주현의 창고가 원근에서 차례로 양곡을 보충하였다. 이로 인해 몇 달이 안 되어 경사에 곡식이 충분해졌다.
얼마 지나 공이 탄식하면서 말하기를 “이것은 곡식이 부족할 때에 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세조가 공급되지 않았던 것은 담당 관리가 직무를 유기하였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그리고는 故事를 상고하여 규약과 법령을 분명하고 미덥게 하여 곡식을 징발하고 비축하고 수송하였고, 風波와 같은 자연환경, 遠近의 거리, 기한의 늦고 빠름, 賞罰 등에도 모두 법규를 두니,
江湖 수천 리 밖에서 담소하며 다스려서 소란스럽지도 수고스럽지도 않았는데 재용이 풍족해졌다.
공이 처음에 殿中丞으로 判官이 되었다가 얼마 후 副使가 되고 發運使가 되었다. 매해 연말에 세금을 결산하여 와서 조회하면 천자가 반드시 恩禮를 더하였다.
특별히 進士出身을 내려 관직이 工部郞中 天章閣待制에 이르렀다.
관직에 13년 동안 재직하였는데 얼마 후 공이 천자에게 말하기를 “신은 지쳤습니다. 신에게 의 관직 자리 하나를 내려주시기 바랍니다.”라고 하였는데, 천자가 공을 대신할 사람을 찾아보았으나 적임자를 찾기 어려웠다.
공이 여덟아홉 차례 청하니, 한참 뒤에 공이 실제로 병들고 연로하였음을 살피고서 知揚州로 임명하였다. 그리고 1년 남짓 지나 知越州로 옮겼는데 공의 병세가 더욱 심해졌다.
다시 知泰州로 옮겼는데, 태주에 도착하여 일을 보기도 전에 嘉祐 2년(1057) 4월 某日에 집에서 하니, 향년 69세였다.
증조 池州錄事參軍이고, 조부 휘 大理評事에 증직되었고, 부친 휘 尙書司封員外郞을 지냈고 工部侍郞에 증직되었다.
공은 馮氏에게 장가들었는데 풍씨는 崇德縣君에 봉해졌고 공보다 먼저 졸하였다. 자식은 아들이 두 사람이니 장남 宗旦眞州 揚子縣主簿이고, 차남 宗孟守將作監主簿이다.
딸은 한 사람이니 太常寺太祝滕希雅에게 시집갔다.
이에 앞서 江淮에서 京師歲漕하는 곡식의 양이 600만 섬이었다가 그 후 10여 년 동안 해가 갈수록 더욱 양을 충당하지 못하였는데,
공이 임무를 맡게 되자 한 해에 반드시 600만 섬을 채우고 항상 100만 섬을 남겨두어 비상시에 대비하였다.
공이 직책을 떠날 때가 되어, 공에게 남겨둔 곡식을 진상할 것을 권하는 자가 있자, 공이 말하기를 “내 어찌 백성을 수탈하는 자이겠는가. 감히 이것으로 총애를 바라겠는가.”라고 하였다.
공은 사람됨이 談論을 잘하고 남과 교유할 때에 교유한 지 오래될수록 더욱 돈독하였다. 집에서는 더욱 효도하고 공경하여 받은 봉록을 종족들에게 나누어주어 親疏의 차이를 두지 않았다.
공의 아들 宗旦 등이 某年 某月 某日眞州 揚子縣 甘露鄕某原에 공을 장사 지냈다.
공과 교유한 廬陵 歐陽脩가 그 묘에 誌文을 지으니 다음과 같다. “아아! 천하를 다스리는 자는 진실로 국가에 사변이 없을 때 인재를 길러야 하니, 대개 반드시 일이 발생한 뒤에 재주 있는 신하가 나온다.
寶元慶曆 연간 이래로 한 방면에서 병사를 움직이니, 그 사이에서 분주히 종사했던 자들은 모두 천하의 호걸이라고 일컬어지던 사람들이다.
지혜로운 자는 계책을 내고 재주 있는 자는 힘을 바쳤으나 끝내 조금도 그들의 뜻대로 되지 않았다.
그런데 공은 이러한 때를 만나 그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고 또 그 관직에 오랫동안 있었다. 그러므로 그 사업을 성취하고 이러한 명성을 이루었으니 이는 기록할 만하다.”
그리고서 묘지명을 지으니 다음과 같다. 재주 있는 사람은 얻기 어려우니 쌓아둔 재주가 있어도 그 때를 얻을 수 없고 때를 만났어도 등용되어 그 능력을 다 베풀지 못하기도 하네
은 이루기는 어렵고 무너뜨리기는 쉬우니 비록 명철한 사람이라도 혹 스스로 알지 못하네 의 재주가 민첩함이여 적합한 자리에 잘 쓰였네 뜻은 바야흐로 매우 씩씩하였으나 힘은 먼저 쇠하였네
행실이 집안에서 드러나고 공로가 나라에 베풀어졌도다 영영 깊은 墓穴에 그윽히 안장됨이여 묘지명을 지어 슬퍼하노라


역주
역주1 尙書工部郞中充天章閣待制許公墓誌銘 : 이 묘지명은 嘉祐 2년(1057) 許元(989~1057)이 병으로 죽은 해에 지은 것이다. 歐陽脩는 慶曆 8년(1048)에 허원의 요청에 응하여 〈海陵許氏南園記〉를 짓고, 그 뒤에 또 〈眞州東園記〉를 지어준 일이 있다. ≪宋史≫ 299권에 허원의 열전이 있는데, 주목되는 것은 ≪송사≫에서는 세금을 혹독하게 거두어 權貴에 아첨하는 탐관오리에 가깝게 허원을 묘사하였으나, 같은 사안을 두고 이 묘지명에서는 재정 관리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역주2 郊社齋郞 : 宋나라 때에 太廟齋郞과 교사재랑의 관직을 두어 朝臣의 자제가 蔭補로 관직에 진출할 수 있는 길로 삼았다.
역주3 海陵 : 송나라 때 淮南東路 泰州에 속하였던 곳으로 지금의 江蘇省 泰州이다.
역주4 調明州定海劍州順昌縣尉 泰州軍事推官 : 定海는 송나라 때 兩浙路에 속했던 곳으로 지금의 浙江省 鎭海이다. 順昌은 福建路에 속했던 곳으로 지금도 福建省에 속해 있다. 泰州는 淮南東路에 속하였으며 치소가 海陵에 있었다.
역주5 遷鎭東軍節度推官 知潤州丹陽縣 : 鎭東軍은 越州로 宋나라 때 兩浙路에 속하였으며 治所가 지금의 浙江省 紹興인 會稽에 있었다. 潤州 丹陽縣은 송나라 때에는 兩浙路에 속해 있었고 지금은 江蘇省에 속해 있다.
역주6 漕渠 : 배를 띄우기 위해 파서 만든 깊은 개울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문맥을 살펴보면 農水의 공급을 위해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역주7 監揚州博鹽和糴倉 知泰州如臯縣 : 揚州는 송나라 때 淮南東路에 속하였으며 치소가 지금의 江蘇省 揚州인 江都에 있었다. 博鹽은 미상이나, 뒤의 和糴이 관에서 돈을 내어 민간의 곡식을 매입하는 것을 뜻하고, ‘博’에 교역한다는 뜻이 있으므로 소금의 매매와 관련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如臯縣은 淮南東路 泰州에 속하였으며 지금은 江蘇省에 속해 있다.
역주8 自元昊叛河西 : 宋 仁宗 寶元 원년(1038) 겨울 10월에 趙元昊가 사신을 통해 글을 보내면서 스스로를 大夏皇帝라 칭하고 반란을 일으킨 사실이 있다.
역주9 三司使 : 北宋 때 최고 재정 집행기관인 三司의 장관이다.
역주10 榷貨 : 각종 재화의 專賣를 뜻하는 말로, 宋나라 때에는 榷貨務라는 기구를 두어 交易과 稅收를 관리하였다.
역주11 請高塞粟之價……使東南去積滯而西北之粟盈 : 조정에서 상인들에게 곡식 값으로 줄 돈이 부족하여 변경 지방으로 들어오는 곡식의 양은 줄고 이에 따라 가격은 폭등하는 상황에서, 차라리 변경의 곡식 가격을 높이면 상인들이 이익을 보기 위해 곡식을 서북 변경으로 많이 실어 나를 것이고, 이때 동남 지방에 적체되어 남아도는 소금의 가격을 낮추면 소금의 판매량이 늘어날 것이고 거기서 얻은 돈으로 상인들에게 보상해준다면 문제가 해결된다는 뜻이다.
역주12 歲漕 : 해마다 水路를 통해 곡식을 경사로 운반해 오는 것을 말한다.
역주13 六路 : 兩浙路, 淮南路, 江南東路, 江南西路, 荊湖南路, 荊湖北路이다.
역주14 公初以殿中丞……已而爲副爲使 : 宋나라의 관직은 봉록의 호봉과 위계 순위를 나타내는 官, 館職을 맡는 學士의 명예 직함인 職, 실제 업무가 있는 직책인 差遣으로 나뉘는데, 殿中丞은 이 가운데 官에 속한다. 殿中省의 屬員으로 각종 제사 업무를 관장하였으며, 송나라 초기에는 명함만 있고 실제 직무는 없는 寄祿官이었다. 判官은 앞서 許元이 맡았던 江淮兩浙荊湖發運判官을 말한다. ≪宋史≫ 299권 〈許元列傳〉에 허원이 직무를 잘 수행하여 發運判官에서 發運副使로 승진하고 다시 發運使로 승진했다는 내용이 있다.
역주15 進士出身 : 宋나라 때 과거 등급의 하나로, 세 번째와 네 번째 등급을 진사출신이라 하였다.
역주16 池州 : 宋나라 때 江南東路에 속하였으며 治所가 지금의 安徽인 貴池에 있었다.
역주17 眞州揚子縣 : 송나라 때 淮南東路에 속하였으며 지금의 江蘇省 儀征이다.
역주18 自寶元慶曆以來 兵動一方 : 寶元 원년(1038)에 趙元昊가 西夏에서 반란을 일으킨 이래로 벌어진 전쟁을 가리킨다. 이 전쟁의 여파로 국력이 피폐한 宋나라는 慶曆 3년(1043)에 參知政事 范仲淹을 중심으로 變法을 단행하여 부국강병을 꾀했는데 이를 慶曆新政이라 한다. 그러나 보수 세력의 반발로 개혁이 실행된 지 1년도 되지 않아 범중엄, 韓琦, 富弼 등이 차례로 쫓겨나고 개혁은 실패로 끝났다.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4)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