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4)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撰次封君墓表 此爲最調
嘉祐四年冬 天子旣受之福하야 推恩群臣하야 竝進爵秩하고 旣又以及其親若在若亡하야 無有中外遠邇
於是 天章閣待制尙書戶部員外郞唐君 得贈其皇考驍衛府君하야 爲右羽林將軍하다
府君 諱拱이요 字某 其先이러니 後徙爲이라
曾祖諱休復 擧明經하야 爲建威軍節度推官이요
祖諱仁恭하야 爲唐山縣令하고 累贈諫議大夫 父諱謂 官至尙書職方郞中하고 累贈禮部尙書
府君以父廕으로 補太廟齋郞하고 改三斑借職하고 再遷右斑殿直하고 監舒州孔城鎭 澧州酒稅하고 巡檢泰州鹽場 漳州兵馬監押이라가
乾興元年七月某日 以疾卒于官하니 享年四十有六이라
府君孝悌于其家하며 信義於其朋友하며 廉讓於其鄕里 其居於官 名公鉅人 皆以爲材로대 而未及用也 享年不永하니 君子哀之
有子曰介 字子方이요 擧進士하야 러라
自子方爲祕書丞으로 始贈府君爲이요 其爲尙書主客員外郞 殿中侍御史裏行 又贈府君爲右監門衛將軍이요
其爲尙書工部員外郞 直集賢院 權開封府判官 又贈府君爲右屯衛將軍이요 其遷戶部員外郞 河東轉運使 又贈府君爲驍衛將軍하니
蓋自登于朝 以至榮顯 遇天子有事于天地宗廟 必及焉이라
府君初娶博陵崔氏 贈仙游縣太君이요 後娶崔氏 贈淸河縣太君이니 皆衛尉卿之女 生一男하니 介也
五女 長適太子中舍盧圭하고 次適歐陽昊하야 早卒하고 次適橫州推官高定하고 次適進士陸平仲하고 次適著作佐郞陳起하다
慶曆三年八月某日 以府君及二夫人之喪하야 合葬于江陵龍山之東原하고 後十有七年 廬陵歐陽脩乃表於其墓曰
嗚呼 余於此 見朝廷所以褒寵勸勵臣子之意하니 豈不厚哉
又以見士之爲善者 雖湮沒幽鬱이라도 其潛德隱行 必有時而發하니 而遲速顯晦 在其子孫이라
然則爲人之子者 其可不自勉哉 蓋古之爲子者 祿不逮養이면 則無以及其親矣
今之爲子者 有克自立이면 則尙有榮名之寵焉하니 其所以敎人之孝者 篤于古也深矣
子方進用於時하야 其所以榮其親者 未知其止也하니 姑立表以待焉하노라


09. 右班殿直 贈右羽林軍將軍 唐君墓表
자식이 귀해짐으로 인하여 증직된 이의 묘표를 찬술함에 있어 이 작품이 가장 뛰어나다.
嘉祐 4년(1059) 겨울에 천자가 祫享의 복을 받으시고서 신하들에게까지 은택을 미루시어 爵秩을 아울러 올려주시고, 이윽고 다시 생존해 있거나 죽은 어버이에게까지 미쳐서 中外遠近의 구분이 없었다.
이에 天章閣待制 尙書戶部員外郞 唐君(唐介)의 皇考驍衛府君이 증직을 받아 右羽林將軍이 되었다.
府君이고 이다. 그 선조는 晉原 사람이었는데 후에 이주하여 錢塘 사람이 되었다.
증조부 休復나라 天復 연간에 明經科에 급제하여 建威軍節度推官이 되었고,
조부 仁恭吳越王에게 벼슬하여 唐山縣令이 되고 여러 차례 증직되어 諫議大夫가 되었고, 부친 는 관직이 尙書職方郞中에 이르고 여러 차례 증직되어 禮部尙書가 되었다.
부군은 부친의 蔭德으로 太廟齋郞에 보임되고 三斑借職으로 改差되었으며 다시 승진하여 右斑殿直이 되고 監舒州孔城鎭澧州酒稅가 되고 巡檢泰州鹽場漳州兵馬監押이 되었다가,
乾興 원년(1022) 7월 某日에 병으로 관직에 있으면서 졸하니 향년 46세였다.
부군은 집안에서는 孝悌를 행하고 붕우와는 信義로 사귀었으며 鄕里에서는 廉讓하였다. 관직에 있을 때에는 名公大人들이 모두 부군을 인재로 여겼으나 미처 등용하기 전에 장수를 누리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니 군자들이 슬프게 여겼다.
아들 子方이고 진사에 급제하여 皇祐 연간에 御史가 되었는데, 言事直切하게 하였다가 春州別駕貶職되었다.
唐介(≪古聖賢像傳略≫)唐介(≪古聖賢像傳略≫)
이때에 자방의 기풍이 천하를 놀라게 하였는데, 얼마 후 천자가 자신의 과오를 뉘우치고서 貶所에 도착하기 전에 다시 등용하였다. 지금은 侍從臣의 반열에 있으며 諫官이 되었다.
자방이 祕書丞이 되고서 비로소 부군을 太子右淸道率府率로 증직하였고, 자방이 尙書主客員外郞 殿中侍御史裏行이 되자 다시 부군을 右監門衛將軍으로 증직하였다.
그리고 자방이 尙書工部員外郞 直集賢院 權開封府判官이 되자 다시 부군을 右屯衛將軍으로 증직하였고, 자방이 戶部員外郞 河東轉運使로 승진하자 다시 부군을 驍衛將軍으로 증직하였으니,
조정에 오르고부터 현달한 관직에 이르기까지 천자가 天地宗廟에 제사할 때를 만나면 推恩이 반드시 미쳤다.
부군의 初娶 博陵崔氏仙游縣太君에 증직되었고 後娶 崔氏淸河縣太君에 증직되었으니, 모두 衛尉卿 仁冀의 여식들이다. 아들 하나를 낳았으니 이다.
딸 다섯 중에 장녀는 太子中舍 盧圭에게 시집갔고, 차녀는 歐陽昊에게 시집가서 일찍 죽었고, 3녀는 橫州推官 高定에게 시집갔고, 4녀는 進士 陸平仲에게 시집갔고, 5녀는 著作佐郞 陳起에게 시집갔다.
慶曆 3년(1043) 8월 某日에 부군을 두 부인의 喪事에 미쳐 江陵 龍山의 동쪽 언덕에 合葬하였고, 17년 뒤에 廬陵 歐陽脩가 마침내 다음과 같이 墓表를 짓는다.
오호라! 내가 여기에서, 조정에서 臣子를 총애하고 권면하는 뜻을 보았으니 어찌 두텁지 않겠는가.
또 선을 행한 선비가 비록 민몰되어 암울해지더라도 그 숨은 덕과 행실은 반드시 때가 되면 드러나는 법이니, 그것이 더디고 빠르고 드러나고 숨겨짐은 그 자손들에게 달린 것임을 보았다.
그렇다면 자식 된 자가 스스로 힘쓰지 않을 수 있겠는가. 옛날의 자식 된 자는 녹봉으로 어버이 생전에 봉양하지 못하면 어버이에게 효도를 미칠 방법이 없었다.
그러나 지금의 자식 된 자는 스스로 공적을 세우면 오히려 어버이가 돌아가시고 나서도 어버이에게 영예로운 이름이 내려지는 은총을 받을 수 있으니, 사람들에게 효도를 가르치는 것이 옛날보다 독실함이 깊다.
자방은 당세에 등용되어 어버이를 영예롭게 하는 것이 어디에 그칠지 알 수 없으니, 우선 묘표를 세워놓고 기다리노라.


역주
역주1 右班殿直贈右羽林軍將軍唐君墓表 : 이 글은 嘉祐 4년(1059)에 지은 것이다. 唐君은 唐拱(976~1022)이다.
역주2 祫享 : 宗廟에서 太祖廟에 천자의 멀고 가까운 조상의 신주를 함께 모아놓고 제사하는 것을 말한다.
역주3 晉原 : 治所가 지금의 四川 崇慶에 있었다.
역주4 錢塘 : 治所가 지금의 浙江 杭州에 있었다.
역주5 天復 : 唐 昭宗의 연호로 901년에서 904년 사이에 사용되었다.
역주6 吳越王 : 五代시대의 吳越國 太祖 錢鏐를 가리킨다.
역주7 皇祐中……貶春州別駕 : 唐介가 殿中侍御史가 되어 재상 文彥博과 諫官 吳奎를 탄핵하다가 말이 매우 直切하여 仁宗을 격노하게 하여 춘주별가로 폄직된 사실이 ≪宋史≫ 권316 〈唐介列傳〉에 보인다.
역주8 當是時……貶未至而復用之 : 仁宗이 당개를 폄직하고는 곧 뉘우치고서 英州로 당개를 옮기고, 당개가 혹시라도 중도에 죽어 直臣을 죽였다는 오명을 남길까 봐 中使에게 호위하도록 명한 사실이 ≪宋史≫ 권316 〈唐介列傳〉에 보인다.
역주9 太子右淸道率府率 : 東宮의 官屬으로 관직은 있으나 職司는 없다.
역주10 推恩 : 그 사람의 공적과 관직을 고려하여 가족에게 官爵이 내려지는 것을 말한다.
역주11 仁冀 : 崔仁冀이다. 錢唐 사람으로 字는 子遷이다. 처음에 吳越王 錢俶을 섬겨 通儒院學士가 되었고, 후에 송나라에 벼슬하여 尉衛卿이 되었다.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4)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