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童蒙先習

동몽선습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夫婦有別
夫婦 이라
是故 하되 하며 하되 하여 하고 婦人 居內而不言外하나니
昔者 어늘 하되하여 하니 夫婦之道 니라


부부유별夫婦有別
남편과 아내는 두 성이 합한 관계이다.
백성들이 태어난 시초이며 모든 복의 근원이니 중매를 시행하여 혼인을 의논하며 폐백을 들이고 친히 맞이하는 것은 그 구별區別을 두터이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아내를 맞아 들이되 같은 은 취하지 않으며, 집을 짓되 안과 밖을 구별하여 남자는 밖에 거처하여 안의 일에 대해 말하지 않고, 부인은 안에 거처하여 밖의 일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다.
[출전] ○ 厚其別也……不娶同姓 : 《예기禮記곡례상曲禮上》에 나오는데 내용과 문자가 다소 다르다.
남녀간에는 중매장이가 오가지 않으면 서로 이름을 알고 지내지 않으며, 폐백을 받은 경우가 아니면 서로 사귀거나 가까이 지내지 않는다. 그 때문에 날짜를 잡아 임금에게 아뢰며, 재계하고 귀신에게 아뢰며,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고을의 친구들을 부르니 그 구별을 두터이 하기 위해서이다. 아내를 맞이할 때는 동성인 사람은 취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첩을 살 때 성을 알지 못하면 점을 친다.[男女非有行媒 不相知名 非受幣 不交不親 故日月以告君 齊戒以告鬼神 爲酒食以召鄕黨僚友 以厚其別也 取妻不取同姓 故買妾不知其姓則卜之]○ 男子居外而不言內 婦人居內而不言外 : 《예기禮記내칙內則》에 “남자는 안의 일에 대해서 말하지 않고 여자는 바깥의 일에 대해서 말하지 않는다.[男不言內 女不言外]”고 했다.
[해설] 부부는 두 성씨가 합쳐서 이루어진 관계란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남편과 아내의 관계를 개인과 개인의 결합이라기보다는 집안과 집안의 결합으로 간주하는 전통사회의 가치관이 잘 드러나 있는 부분이다. 전통사회에서 부부관계는 모든 의 근원일 뿐만 아니라 자식을 낳아서 가정을 꾸려감으로써 인류 사회를 유지시키는 기본 조직으로 간주되었다. 특히 남편과 아내의 역할을 엄격하게 구분하고 각각이 자신의 역할에 충실할 때만이 가정의 행복이 보장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는 점에서 유교의 가부장家父長 중심의 가족관이 잘 나타나 있다.
만일 〈남편이〉 씩씩함으로써 대하여 하늘의 굳건한 도리를 체행體行하고 〈아내는〉 부드러움으로써 바로잡아 땅이 하늘에 순종하는 도리를 받든다면 집안의 도리가 바로 서게 될 것이다.
만약 이와 반대로 남편이 아내를 마음대로 제어하지 못하여 올바른 도리로 다스리지 못하고, 아내가 남편의 약점을 틈 타 올바른 도리로 섬기지 않아서 삼종三從의 도리를 알지 못하고 칠거七去에 해당하는 악행이 있으면 집안의 법도가 무너질 것이다.
[출전] ○ 乾健之道, 坤順之義 : 줄여서 건건곤순지의乾健坤順之義라고도 한다. 《주역周易》에서 은 각각 하늘과 땅을 상징하는 의 명칭이며 은 ‘건실하다, 성실하다’는 뜻으로 하늘의 운행이 쉼없이 일정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하늘의 운행 법칙을 의미한다. 또 은 ‘따른다, 순종한다’는 뜻으로 땅의 운행이 하늘의 운행을 따라 움직인다는 점에 착안하여 땅의 운행 법칙을 의미하는 것으로 규정한 데서 비롯된 것이다.○ 三從之道 : 삼종지의三從之義와 같다. 원래 《의례儀禮상복喪服》에서 “부인에게는 세 가지 따라야 할 도리가 있다……시집가기 전에는 아버지를 따르고 시집가서는 남편을 따르며 남편이 죽으면 아들을 따라야 한다.[婦人有三從之義……未嫁從父 旣嫁從夫 夫死從子]”고 한 데서 유래된 말이다. 또 《대대례大戴禮본명해本命解》와 《공자가어孔子家語》에도 “부인은 사람에게 복종하는 존재이다. 이 때문에 제멋대로 처리할 수 있는 일이 없고 세 가지 따르는 도리가 있다. 집에 있을 때에는 아버지를 따르고, 남에게 시집가서는 남편을 따르고, 남편이 죽으면 아들을 따라서 감히 스스로 이루는 바가 없어서 가르침과 명령이 규문을 나가지 않으며 일은 음식을 마련하는 데 있을 뿐이다.[婦人伏於人也 是故 無專制之義 有三從之道 在家從父 適人從夫 夫死從子 無所敢自遂也 敎令不出閨門 事在饋食之間而已矣]”라고 하였다.○ 七去之惡 : 남편이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일곱 가지 악행을 지칭. 줄여서 칠거七去라고도 하며, 칠기七棄 또는 칠출七出이라고도 한다. 원래 《대대례大戴禮본명해本命解》와 《공자가어孔子家語》에 삼불거三不去와 함께 나오는 말이다.부인에게는 일곱가지 내쫓김이 있으니, 시부모에게 순종하지 않으면 내쫓기며, 자식이 없으면 내쫓기며, 음란하면 내쫓기며, 나쁜 질병이 있으면 내쫓기며, 말이 많으면 내쫓기며, 도둑질하면 내쫓긴다. 또 세 가지 내쫓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맞이해 온 곳은 있고 돌아갈 곳이 없으면 내쫓지 않으며, 함께 3년상을 치렀으면 내쫓지 않으며, 전에는 빈천하다가 뒤에 부귀해졌으면 내쫓지 않는다.[婦有七去 不順父母去 無子去 淫去 妬去 有惡疾去 多言去 竊盜去 有三不去 有所取 無所歸 不去 與更三年喪 不去 前貧賤後富貴 不去]
[고사] ○ 牝鷄無晨 : 암탉은 새벽에 울지 않는다는 뜻. 원래 《서경書經목서牧誓》에서 무왕이 나라의 마지막 임금 를 정벌하기 직전 목야牧野에서 군사를 모아놓고 훈시하는 내용 중에 “옛 사람들이 말하기를 암탉은 새벽에 울지 않으니 만약 암탉이 새벽에 울면 집안이 무너진다고 했다.[古人有言曰 牝鷄無晨 牝鷄之晨 惟家之索]”고 해서 임금이 달기妲己라는 여자를 총애하여 그녀의 말을 따라 충신들을 죽이고 있다고 비난한 데서 유래되었다.
[해설] 유교적 전통사회에서는 남편의 역할과 아내의 역할이 엄격하게 구분되어 있었다. 남편이라는 존재는 집안의 존장尊長으로서 식솔들을 다스리는 통치자의 성격에 가깝고 아내는 남편의 뜻을 따라 그를 보좌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 때문에 삼종三從의 도리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여성이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을 금기시하였다. 그러나 여기에 나타난 칠거지악七去之惡과 같은 내용은 유교의 근간이라 할 인도주의에 비추어볼 때 타당성이 결여되어 있다. 실제로 많은 주자학자朱子學者들이 칠거지악七去之惡에 대해서는 내용의 타당성이 의심스럽다는 기록을 남기고 있기도 하다. 이에 관한 자세한 언급은 《소학小學》의 주석에 나와 있다.
모름지기 남편은 자기 몸을 삼가서 아내를 잘 거느리고, 아내는 자기 몸을 공경하여 남편을 잘 받들어서 내외가 화순해야 부모님께서 편안하고 즐거워하실 것이다.
[해설] 화목한 가정이 부부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다를 것이 없다. 그런데 전통사회에서는 이 부분에서 말하고 있는 것처럼 부모님을 즐겁게 모시기 위한 방법으로 가정의 화목이 강조되었다. 가정의 역할 중에 자녀를 낳아서 양육하는 것 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연로年老하신 부모님을 모시는 일이다. 현대 사회와는 달리 대부분의 경제적 문제를 자신의 육체적 노동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전통사회에서는 노후를 대부분 자식들에게 맡길 수밖에 없었다. 이 경우 원만한 부부관계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부모를 편안히 모실 수 없기 때문에 부부간의 화목이 특별히 강조된 것이다.
옛적에 극결郤缺이 밭에서 김을 매고 있을 때, 그 아내가 새참을 내왔는데 서로 공경하여 상대하기를 마치 손님 모시듯 하였으니, 부부간의 도리는 마땅히 이와 같아야 한다.
자사子思께서 말씀하시기를 “군자의 도리는 부부 사이에서 비롯된다.”고 하셨다.
[출전] ○ 相待如賓 : 춘추시대 진나라의 극결郤缺과 관련된 고사에서 유래되었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희공僖公 33》의 다음과 같은 기록에서 유래되었다.애초에 구계臼季(구계 : 진문공晉文公의 신하)가 다른 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땅을 지나게 되었을 때 기결冀缺(郤缺)이 농사짓는 것을 보았다. 그 때 극결의 아내가 그에게 새참을 가져 왔는데 공경하여 서로 대우하기를 손님과 같이 했다. 구계는 그를 데리고 와 문공에게 이렇게 말했다. “이 모인 것입니다. 공경할 줄 알면 반드시 덕망을 지니고 있을 것입니다. 덕망은 백성들을 다스릴 수 있는 자질입니다. 임금께서는 그를 등용하시기 바랍니다. 신은 들으니 ‘집문을 나서서는 손님을 대우하듯 하고 일을 받들 때는 제사 받들 듯이 공경하는 것이 인을 실천하는 방법이다.’라고 했습니다.” 진문공은 이렇게 말했다. “그의 아버지가 죄를 지었는데 그래도 되겠는가?” 구계가 다시 이렇게 대답했다. “임금은 임금의 아버지였던 을 죄주어서 죽였지만 우임금을 등용했습니다. 또 관경중管敬仲(管仲)은 환공桓公을 해치려 했던 인물인데도 실제로는 환공을 도와 패자의 위업을 이룩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서경書經 강고康誥》에도 ‘부모가 자식을 사랑하지 않고 자식이 부모를 공경하지 않으며, 형이 아우를 사랑하지 않고 아우가 형을 공경하지 않으면 서로 함께 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아울러 《시경詩經》에서도 ‘순무를 캐는 것은 뿌리 때문이 아니다.’고 했습니다. 임금께서는 올바름을 취하시는 것이 옳습니다.” 이에 문공이 극결을 하군대부下軍大夫로 삼았다.[初臼季使過冀 見冀缺耨 其妻饁之 敬相待如賓 與之歸 言諸文公曰 敬 德之聚也 能敬必有德 德以治民 君請用之 臣聞之 出門如賓 承事如祭 仁之則也 公曰 其父有罪 可乎 對曰 舜之罪也殛鯤 其擧也興禹 管敬仲 桓之賊也 實相以濟 康誥曰 父不慈 子不祗 兄不友 弟不共 不相及也 詩曰 采葑采菲 無以下體 君取節焉 可也 文公以爲下軍大夫]○ 君子之道 造端乎夫婦 : 《중용中庸‧12》에서 “군자의 도리는 부부 사이에서 단서가 만들어지지만 그 지극함에 이르러서는 천지 사이에 드러난다.”고 한 데서 유래했다.[君子之道 造端乎夫婦 及其至也 察乎天地]
[해설] 극결의 고사故事에서 드러나듯이 원만한 부부 관계는 사랑 이전에 상대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성립될 수 있다. 특히 가까운 관계일수록 친압親狎하기 쉽다는 점에서 서로 함부로 대하기 쉬운 것이 부부 관계라고 보았기 때문에 더욱 상호 존중이 중시되었다.


역주
역주1 二姓之合 : 원래 姓이 다른 남자와 여자의 혼인을 의미하는데, 여기서는 인륜상 각기 다른 성을 가진 남녀만이 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려는 의도에서 두 성씨가 합한 것으로 규정한 것이다.
역주2 生民之始 : 生民은 본래 하늘이 뭇백성을 낳았다는 관념에서 비롯된 말로 백성, 인류를 의미하지만, 여기서는 어떤 사람이든 부부관계를 통해서 태어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지적한 것이다.
역주3 萬福之原 : 모든 복의 근원, 곧 인간이 태어나고 자손이 번창하는 것은 모두 부부관계를 전제한 뒤에 가능하다는 뜻.
역주4 行媒議婚 : 行媒는 원래 중매장이가 두 집안을 왕래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중매장이를 지칭하기도 하고 중매하는 행위를 지칭하기도 한다. 여기서는 뒤의 뜻으로 중매를 통해서 혼인에 관한 일을 의논한다는 뜻이다. 行媒는 원래 《禮記‧曲禮上》에서 “남녀간에는 중매를 통하지 않으면 서로 이름을 알지 않는다.[男女非有行媒 不相知名]”고 한 데서 유래했다.
역주5 納幣 : 납폐는 六禮의 하나로 納采와 같은데, 혼인할 때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혼인하기를 요청하며 보내는 예물이다.
역주6 親迎 : 원래 신분이 높은 사람이 몸소 신분이 낮은 사람을 맞이하는 행위를 표시하는데 여기서는 역시 六禮 중의 하나로 신랑이 신부집에 가서 신부를 직접 맞이해 오는 절차를 의미한다.
역주7 厚其別也 : 구별을 두터이 함. 바로 앞의 구절 納幣親迎者는 혼례의 절차이고 여기의 厚其別也는 所以厚其別也로 納幣親迎하는 까닭, 곧 앞의 절차가 지닌 의도와 목적을 나타낸다. 따라서 “납폐와 친영은 남녀간의 구별을 두터이 하기 위해서 치러지는 절차이다.”로 번역하는 것이 좋다.
역주8 娶妻 : 아내에게 장가듦, 곧 아내를 맞이함.
역주9 不娶同姓 : 성이 같은 사람은 아내로 맞아들이지 아니함. 동성동본간의 금혼을 규정하고 있는 내용으로 이와 같은 풍습은 중국의 춘추시대 이후 자리 잡은 것으로 추정된다. 일례로 《春秋左氏傳》에는 晉文公을 두고 同姓之人(동성간의 결혼으로 태어난 사람)이라고 지칭하고 있는데 이는 그 당시까지는 동성끼리의 결혼이 금지되지 않고 있었음을 밝혀주는 것이다.
역주10 爲宮室 : 爲는 동사이면서 서술어이고 宮室은 명사이면서 목적어 구실을 하고 있다. 대상이 되는 목적어에 따라 동사를 적절하게 번역해야 하므로 여기의 爲는 ‘짓다’로 번역하는 것이 옳다.
역주11 辨內外 : 內는 여자들이 거처하는 안채를 의미하며 外는 남자들이 거처하는 바깥채를 의미한다. 곧 안채와 바깥채를 구분한다는 뜻이다.
역주12 男子 居外而不言內 : 남자는 바깥채에 거처하면서 안채의 일에는 말하지 아니함. 곧 內는 안채에서 일어나는 여자들간의 일을 의미한다. 婦人 居內而不言外도 동일한 문장구조를 지니고 있다.
역주13 莊以涖之 : 莊은 엄숙한 모습, 以는 우리말 ‘~로써, ~을 가지고’에 해당하는 기구격 조사. 涖는 臨과 같은 뜻으로 ‘마주하다, 다스리다, 군림하다’는 의미. 之는 마주하는 대상, 곧 집안 사람들을 지칭하는 대명사.
역주14 以體乾健之道 : 以는 역시 기구격 조사. 體는 體行, 곧 ‘몸으로 실천한다’는 뜻. 목적어인 乾健之道는 하늘의 운행이 잠시도 쉬지 않고 健實하다는 뜻에서 남자가 실천해야 할 올바른 도리를 비유한 것이다.
역주15 柔以正之 : 남자가 지녀야 할 태도인 莊以涖之에 상대되는 말로 ‘여자는 부드러운 태도를 지니고 집안 사람들을 바로잡는다.’는 뜻이다.
역주16 以承坤順之義 : 역시 남자가 실천해야 할 乾健之道에 상대되는 말로 남자가 하늘이라면 여자는 땅에 해당한다는 관념에서 비롯된 말. 坤順之義는 땅이 하늘의 운행법칙에 순응하여 만물을 생장시키는 법칙이라는 뜻으로 여자의 도리를 비유한다.
역주17 家道正矣 : 집안의 도리가 바로섬.
역주18 反是 : 反於是의 줄임말. 是는 앞의 구절 전체를 받는 대명사. 反은 반대의 뜻.
역주19 夫不能專制 : 남편이 집안일을 독단적으로 처리하지 못함. 專制는 독단적으로 일을 처리한다는 뜻인데, 여기서는 남편이 뚜렷한 주관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집안의 일을 처리한다는 긍정적인 의미로 쓰였다.
역주20 御之不以其道 : 올바른 도리로 집안 사람들을 다스리지 못함. 御는 원래 ‘말을 몬다’는 뜻인데, 말고삐를 조절, 통제한다는 뜻에서 ‘다스린다’는 의미로 바뀌어서 사용되었다. 之는 집안 사람을 지칭하는 대명사.
역주21 婦乘其夫 : 乘은 원래 말을 탄다는 뜻이지만 여기서는 남의 과실이나 약점을 틈탄다는 의미로 쓰였다. 또 이 구절은 婦乘其夫之過의 줄임말로 아내가 남편의 과실을 틈탄다는 뜻인데 과실의 구체적인 내용은 앞 구절에 나온 남편이 올바른 도리로 집안 사람들을 다스리지 못함을 지칭한다.
역주22 事之不以其義 : 올바른 도리[義]로 남편을 섬기지 못함. 이 때 之는 남편을 지칭하는 지시대명사.
역주23 昧三從之道 : 삼종의 도리에 어두움. 여자가 마땅히 따라야 할 삼종의 도리를 실천하지 않음을 의미.
역주24 有七去之惡 : 칠거의 악행을 저지름. 有는 있다는 뜻이지만 목적어가 惡이므로 악을 저지르다는 뜻으로 번역하는 것이 좋다.
역주25 家道索(삭)矣 : 집안의 도리가 무너짐. 索은 무너진다는 뜻. 원래 《書經‧牧誓》에 나오는 말이다.
역주26 須是 : 是는 須에 붙는 조사. 따라서 須是는 부사로 ‘모름지기’라는 뜻.
역주27 夫敬其身 : 敬은 敬愼으로 ‘삼간다’는 뜻이다. 따라서 지아비는 자기 몸을 삼가야 한다. 곧 행동을 삼간다는 의미.
역주28 以帥其婦 : 以는 기구격 조사. 帥은 率과 같은데 여기서는 ‘이끌다, 통솔하다, 인도하다’의 뜻. 따라서 남편이 아내를 이끈다는 의미이다.
역주29 婦敬其身 : 앞의 夫敬其身과 상대되는 말, 뜻도 같다.
역주30 以承其夫 : 역시 앞의 以帥其婦와 상대되는 말로 남편의 뜻을 받든다는 뜻이다.
역주31 內外和順 : 和順은 각각 外와 內, 곧 남편과 아내가 지켜야 할 태도를 의미한다. 남편은 집안 사람들을 화목하게 다스리고 아내는 남편의 뜻에 순종해야 한다는 뜻.
역주32 父母其安樂之矣 : 부모님께서 편안하고 즐거워하심. 之는 부모님이 편안하게 생각하는 대상을 지칭하므로 남편과 아내가 화합하고 순종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其~矣’는 ‘아마 ~할 것이다’는 뜻으로 추측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역주33 郤缺 : 郤은 姓이고 缺은 이름. 춘추시대 晉나라의 신하로 冀땅에 살았다고 해서 冀缺이라고도 불린다.
역주34 其妻饁之 : 其妻는 극결의 아내를 지칭하며 饁은 새참(들밥)을 내간다는 뜻. 之는 대명사로 극결을 지칭한다.
역주35 相待如賓 : 서로 대우하기를 손님과 같이 함 . 곧 夫婦之間에 손님을 모시듯이 서로 공경함을 뜻한다.
역주36 當如是也 : 마땅히 이와 같이 해야 함. 如是의 구체적인 내용은 郤缺 부부처럼 서로 상대를 공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역주37 子思 : 孔子의 손자로 이름은 伋. 높여서 子思子로 호칭한다. 《中庸》의 저자로 알려져 있으나 확실치는 않다. 공자의 제자였던 曾參에게 학문을 배워 孟子에게 전수해 주었다고 하는데 《史記‧孟軻荀卿列傳》에 따르면 맹자는 자사의 문인에게 배운 것으로 전해진다.
역주38 君子之道 造端乎夫婦 : 군자의 도리는 부부 사이에서 단서가 만들어짐. 곧 부부 사이에서 군자의 도리가 비롯된다는 뜻. 造端은 직역하면 ‘端緖(실마리)가 만들어진다.’는 의미이고 ‘비롯되다, 시초하다, 사물의 발단’ 등의 뜻으로 쓰인다.

동몽선습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