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童蒙先習

동몽선습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總論
이어든 하고 하여 하여 하며 하며 하며 하며 하며 하며 하며 하며 하며 不敢私其財니라
하며 不敬其親이요 而敬他人하며 하여 하며 하여 不顧父母之養하며 하며 하여 不顧父母之養하며 하여 하며 하여 니라
夫婦也 長幼也 朋友也 리오
이나 自非 無他
以前이라 로다
하며 造書契하여 하시고 하며 하시고 하며 하며 하며 하시니 是爲이니
是爲
하여 而堯舜之治 이라
하시니라
是爲이니
或四百하며 或六百하며 或八百하니 이요 皆賢臣也
周公 하시니 하더니
孔子以으로 하사 하여 하시며 하시며 하시며 하사 , 하시고
하니라
曾子之門人하니라
則曰魯 曰衛 曰晉 曰鄭 曰趙 曰蔡 曰燕 曰吳 曰齊 曰宋 曰陳 曰楚 曰秦이니 하여 하니 秦楚燕齊韓魏趙 이라
孔子之孫 하사하시고 하사 하여 하시되 盛行이라 하니라
하여 歷年四百하되하여 하여 하니라
歷年百餘하되 하니 이러니
하되 歷年三十하니라
하여 하여 歷年三百하니라
後梁 後唐 後晉 後漢 後周 是爲 하여
하여 歷年三百하니 하고하여 竭忠報宋하다가 하니라
滅宋하고 하여 하니 로다
하고 하더니 三代以後에는
亂日 常多하고 治日 常少하니
하여 國號 이라하니 이라
箕準 避衛滿하여 하여 하니 是爲이라
이어늘 하니 是爲이라
是爲三韓이라
始祖 都辰韓地하여 하고 始祖하여 로라하여 因姓高하고 始祖 都河南慰禮城하여 하여 三國 各保一隅하여 互相侵伐하더니
其後 滅百濟高句麗하고 分其地하여 하여 하니 百濟 歷年 六百七十八年이요 高句麗 七百五年이라
新羅之末 하여 國號 泰封이라하고 하여 自稱後百濟로라하다
新羅亡하니 하여 歷年 九百九十二年이라
하니 國號 라하여 하고 하여 이러시니
至于하여 하고 昏暴自恣하며하여 遂至於亡하니 歷年 四百七十五年이라
我國 하여 壤地褊小하나 禮樂法度 衣冠文物 하여 人倫 明於上하고 敎化行於下하여 風俗之美 하니


총론總論
이 다섯 가지 일은 하늘이 펼쳐 준 모범이고 사람이 본래부터 지니고 있는 도리이다.
사람의 행실이 이 다섯 가지에서 벗어나지 않지만 오직 효도가 모든 행실의 근원이 된다.
[해설]오륜五倫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인륜성은 하늘이 만들어 준 것일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고유의 이치이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타당하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부자 관계에서 자식이 실천해야 할 효임을 거듭 밝히고 있는 내용이다.
이 때문에 효자가 어버이를 섬길 때에는 첫닭이 울면 모두 세수하고 양치질하고, 부모님이 계신 곳으로 가서 기운을 낮추고 목소리를 부드럽게 하여 옷이 더운지 추운지를 여쭈며, 무엇을 잡수시고 마시고 싶은지를 여쭈며, 겨울에는 따뜻하게 해드리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해드리며, 저녁에는 잠자리를 돌봐드리고 새벽에는 안부를 여쭈며, 외출할 때는 반드시 아뢰고 돌아와서는 반드시 부모님을 대면하며, 멀리 나가 놀지 않으며 나가 놀되 반드시 일정한 장소를 두며, 감히 자기 몸을 자기 것으로 여기지 않으며 감히 재물을 자기 것으로 사유하지 않는다.
[출전] ○ 鷄初鳴……問何食飮 : 《예기禮記내칙內則》에 나온다.자식이 부모를 섬길 때에는 첫닭이 울면 모두 세수하고 양치질하며……며느리가 시부모를 섬길 때에는……부모님의 처소에 나아가 목소리를 부드럽게 하여 옷이 따뜻한지 추운지를 여쭈며……아직 관례冠禮계례笄禮를 올리지 않은 남녀들은……새벽에 문안 인사를 드리며 무엇을 드시고 싶은지 여쭌다.[子事父母 鷄初鳴 咸盥漱……婦事舅姑……以適父母之所 下氣怡聲 問衣燠寒……男女未冠笄者……昧爽而朝 問何食飮矣]○ 冬溫而夏凊 昏定而晨省 : 《예기禮記곡례상曲禮上》에 나온다.무릇 남의 자식된 자의 예는 겨울에는 따뜻하게 해드리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해드리며, 저녁에는 잠자리를 돌봐드리고 새벽에는 안부를 여쭈며 동배들과 싸우지 않는 것이다.[凡爲人子之禮 冬溫而夏凊 昏定而晨省 在醜夷不爭]○ 出必告(곡) 反必面 : 《예기禮記곡례상曲禮上》에 나오는데 줄여서 출곡반면出告反面이라고도 한다.남의 자식된 사람은 외출할 때는 반드시 아뢰고 돌아와서는 반드시 부모님을 대면하며 나가는 곳은 일정한 장소가 있어야 하며 익히는 일에도 일정한 직업이 있어야 한다.[夫爲人子者 出必告 反必面 所遊必有常 所習必有業]○ 不遠遊 遊必有方 : 《논어論語이인里仁》에 나온다.
부모님께서 생존해 계시면 멀리 나가 놀지 않으며, 나가 놀되 반드시 일정한 장소를 두어야 한다.[父母在 不遠遊 遊必有方]○ 不敢有其身 不敢私其財 : 《예기禮記방기坊記》에서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부모님에게 효도하는 도리로 임금을 섬기고 형을 공경하는 도리로 관장을 섬기는 것은 백성들에게 두 마음을 품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3년 동안 을 치르고 임금이 돌아가셔도 3년 동안 상을 치르는 것은 백성들에게 의심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부모님이 생존해 계시면 감히 자기 몸을 자기 것으로 여기지 않으며, 재물을 사유하지 않는 것은 백성들에게 상하上下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라고 한 데서 유래하였다.[子云 孝以事君 弟以事長 示民不貳也……喪父三年 喪君三年 示民不疑也 父母在 不敢有其身 不敢私其財 示民有上下也]
[해설] 앞 문단에서 효도의 중요성을 강조한 다음 여기서는 효도를 실천하는 구체적인 조목을 제시하고 있다. 어린 사람이 부모를 모시는 도리는 먼저 부모님의 의식주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혹시라도 불편한 것이 없는지 살피는 데 있다. 아울러 출입할 때 항상 부모님께 행선지를 분명하게 알려야 하며 일정한 곳에 머물러 있으면서 예기치 못한 변고가 일어날 경우에 대비해야 한다. 특히 자기 몸을 자기 것이라고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서 자신의 신체를 함부로 손상시키는 행위를 금기시하는 태도를 엿볼 수 있다.
부모님께서 나를 사랑해 주시거든 기뻐하되 잊지 않으며 미워하시거든 두려워하되 원망하지 않으며, 부모님께서 과실을 저지르시면 말리되 거스르지 않으며 세 번 간했는데도 들어주지 않으시거든 부르짖고 울면서 따르며, 부모님께서 하여 종아리를 때려 피가 흐르더라도 감히 미워하거나 원망치 않으며, 거처할 때에는 공경함을 극진히 하고, 봉양할 때는 즐거움을 극진히 하고, 병환이 드셨을 때는 근심을 극진히 해야 하고, 을 당해서는 슬픔을 극진히 하고, 제사 지낼 때는 엄숙함을 극진히 해야 한다.
[출전] ○ 父母愛之……諫而不逆 : 《예기禮記제의祭義》에 나오는 구절을 그대로 인용하였다. 또 《맹자孟子만장상萬章上》에도 만장萬章이 묻는 말 가운데 “父母愛之 喜而不忘 惡之 懼而無怨”이라는 대목이 나온다.○ 三諫而不聽 則號泣而隨之 : 《예기禮記곡례하曲禮下》에 나온다.신하된 는 〈임금에게〉 드러내 놓고 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세 번 간했는데도 듣지 않으면 그 나라에서 도망친다. 자식이 어버이를 섬길 때는 세 번 간했는데도 듣지 않으면 울면서 따른다.[爲人臣之禮 不顯諫 三諫而不聽 則逃之 子之事親也 三諫而不聽 則號泣而隨之]○ 怒而撻之流血 不敢疾怨 : 원래 《예기禮記내칙內則》에 나오는 내용이다.부모님께서 과실을 저지르시면 기운을 낮추고 얼굴색을 온화하게 하고 목소리를 부드럽게 하여 말린다. 간하는 말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계속해서 공경하고 효도하여 부모님이 기뻐하시면 다시 간한다. 만약 부모님께서 기뻐하지 않으시더라도 부모로 하여금 고을에서 죄를 짓게 하느니 차라리 끊임없이 말리는 것이 낫다. 부모님께서 노하여 나를 매질하여 피가 흐르더라도 감히 미워하거나 원망해서는 아니되며 계속해서 공경하고 효도해야 한다.[父母有過 下氣怡色 柔聲以諫 諫若不入 起敬起孝 說則復諫 不說 與其得罪於鄕黨州閭 寧孰諫 父母怒不說而撻之流血 不敢疾怨 起敬起孝]○ 居則致其敬……祭則致其嚴 : 《효경孝經7章》에 나온다.子曰 孝子之事親 居則致其敬…… 祭則致其嚴 五者備矣 然後 能事親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효자가 어버이를 섬김에 거처할 때에는 공경함을 극진히 하고 …… 제사 지낼 때는 그 엄숙함을 극진히 해야 하니 이 다섯 가지가 갖추어진 뒤에야 어버이를 잘 섬긴다고 할 수 있다.
[해설] 앞에서 말한 것처럼 부모와 자식의 관계는 하늘이 정해준 관계이기 때문에 끊을 수 없는 절대적인 관계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부모의 잘못을 그대로 보고 넘기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부모님으로 하여금 불의에 빠지게 하는 것은 더 큰 불효를 저지르는 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모님이 과실을 저질렀을 때는 적극적으로 말리는 것이 자식된 도리이다.하지만 말리는 데는 일정한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논어論語이인里仁》에는 “부모님을 섬길 때는 기간幾諫해야 한다. 부모님이 따르지 않으시더라도 또 공경하여 어기지 않으며 수고로워도 원망하지 않아야 한다.[事父母 幾諫 見志不從 又敬不違 勞而不怨]”고 했는데 여기서 기간幾諫이란 은미하게 간하는 것으로 부모님의 잘못을 직접 지적하지 않으면서 고칠 수 있도록 은근하게 말리는 태도를 뜻한다.
부모님께 불효하는 자식은 자기 어버이는 사랑하지 아니하고 다른 사람은 사랑하며, 자기 어버이는 공경하지 않으면서 다른 사람은 공경하며, 사지四肢를 게을리 하여 부모님에 대한 봉양을 돌아보지 않으며, 장기나 바둑, 술 마시는 것을 좋아하여 부모님에 대한 봉양을 돌아보지 않으며, 재물을 좋아하고 처자식만을 사랑해서 부모님에 대한 봉양을 돌아보지 않으며, 이목耳目의 욕망을 좇아 부모를 욕되게 하며, 용맹을 좋아하여 싸우고 사나워서 부모님을 위태롭게 한다.
[출전] ○ 不愛其親……而敬他人 : 《효경孝經6章》에 다음과 같이 나온다.
자기 어버이는 사랑하지 않으면서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것을 패덕悖德이라 일컫고 자기 어버이는 공경하지 않으면서 다른 사람을 공경하는 것을 패례悖禮라고 일컫는다.[不愛其親而愛他人者 謂之悖德 不敬其親而敬他人者 謂之悖禮]○ 惰其四肢……以危父母 : 《맹자孟子이루하離婁下》에 맹자가 세속에서 불효라고 일컫는 다섯 가지를 조목별로 열거한 내용이다.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세속에서 이른바 불효라고 하는 것은 다섯 가지가 있다. 사지四肢를 게을리하여 부모님에 대한 봉양을 돌아보지 않는 것이 첫 번째 불효이며, 장기나 바둑, 술 마시는 것을 좋아하여 부모님에 대한 봉양을 돌아보지 않는 것이 두 번째 불효이며, 재물을 좋아하고 처자식만을 사랑해서 부모님에 대한 봉양을 돌아보지 않는 것이 세 번째 불효이며, 이목耳目의 욕망을 좇아 부모를 욕되게 하는 것이 네 번째 불효이며, 용맹을 좋아하여 싸우고 사나워서 부모님을 위태롭게 하는 것이 다섯 번째 불효이다.[孟子曰 世俗所謂不孝者五 惰其四肢 不顧父母之養 一不孝也 博奕好飮酒 不顧父母之養 二不孝也 好貨財私妻子 不顧父母之養 三不孝也 從耳目之欲 以爲父母戮 四不孝也 好勇鬪狠 以危父母 五不孝也]
[해설] 이 부분은 원래 맹자가 세속에서 불효라고 일컫는 다섯 가지를 인용한 것인데 크게 나누면 부모님을 봉양하지 않는 것, 부모를 욕되게 하는 것, 부모를 위태롭게 하는 것의 세 가지로 다시 나눌 수 있다. 모두 자식의 게으름이나 방종한 생활을 경계한 것으로 부모님에 대한 봉양뿐만 아니라 부모를 욕되게 하거나 위태롭게 하지 않는 것이 도리라고 설명하고 있다.
아!
그 사람의 행실이 착한지 아닌지를 살펴보고자 한다면 반드시 먼저 그 사람이 효도하는지 아닌지를 살펴볼 것이니, 삼가지 않을 수 있겠으며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만일 그 어버이에게 효도한다면 그 마음을 군신간과 부부간과 장유간과 붕우간에 미루어감에 어떤 경우에 적용한들 옳지 않음이 있겠는가.
그렇다면 는 사람에게 중대한 것이면서 또한 고원高遠하여 실행하기 어려운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해설] 부모에게 효도하는 사람은 어떤 인간관계든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는 대목이다. 전통 유교 윤리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오륜사상五倫思想은 핏줄 의식에 그 근본을 두고 있다. 그 중에서도 부모는 자녀를 내 몸같이 아끼고 자녀도 부모를 내 몸처럼 아껴야 한다는 부자유친父子有親이라는 덕목이 특별히 강조되었다. 부모가 자녀를 내 몸처럼 아끼는 것은 모성애 또는 부성애로 불리는 자연의 정에 의해서 가능했다면, 자녀가 부모를 내 몸처럼 아끼도록 하는 데 큰 힘이 된 것이 효사상孝思想이었다. 이 때문에 어떤 사람을 평가할 때 가장 우선시했던 척도가 부모에게 효도하는지 아닌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효는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근본으로서 숭상을 받았으며 때로는 여기서처럼 개인을 평가할 때 사회적 능력보다도 우선시했던 가장 중요한 척도로 간주되었다.근래 들어 흔히 유교의 효사상을 가족 이기주의 또는 집단 이기주의의 온상으로 매도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원래 유교에서 강조하는 효는 자기 어버이만을 사랑하는 데 머무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어버이도 자기 어버이처럼 존중하고 사랑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테면 《예기禮記예운禮運》에서는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大道가 행해지는 세상에서는 천하의 모든 사람들이 공익公益을 위해서 일하고 어진 사람과 능력있는 사람을 뽑아서 신의信義를 강론하고 화목和睦을 닦기 때문에 사람들이 자기 어버이만을 사랑하지 않으며 자기 자식만을 사랑하지 않는다.[孔子曰……大道之行也 天下爲公 選賢與能 講信脩睦 故人不獨親其親 不獨子其子]”고 했으며 《예기禮記제의祭義》에서도 “효에는 세 가지가 있다. 작은 효는 힘을 이용해서 하고 중간 정도의 효는 수고로움을 극진히 하며 큰 효는 〈효를 자기에게만〉 감추어 두지 않고 남에게 물려 준다. 부모님의 사랑을 생각하여 힘든 것을 잊는 것은 힘을 썼다고 할 만하고, 어진 사람을 존중하고 올바른 도리를 편안히 여기는 것은 수고로움을 극진히 했다고 일컬을 만하고, 백성들에게 널리 베풀고 온갖 재화를 갖추는 것은 〈효를 자기에게만〉 감추어 두지 않았다고 일컬을 만하다.[孝有三 小孝用力 中孝用勞 大孝不匱. 思慈愛忘勞 可謂用力矣 尊仁安義 可謂用勞矣 博施備物 可謂不匱矣]”고 하여 자기 어버이만을 사랑하고 자기 자식만을 사랑하는 좁은 범위의 효에서 벗어나는 것이 큰 효임을 강조하고 있다.아울러 《맹자孟子양혜왕상梁惠王上》에서도 “우리 어버이를 어버이로 사랑하여 다른 사람의 어버이에게 미쳐가며 우리 아이를 아이로 사랑하여 다른 사람의 아이에게 미쳐가면 천하를 쉽게 다스릴 수 있을 것이다. ……은혜를 미루어 가면 사해를 보존할 수 있고, 은혜를 미루어 가지 못하면 처자식도 보존하기 어렵다.[老吾老 以及人之老 幼吾幼 以及人之幼 天下可運於掌……推恩足以保四海 不推恩無以保妻子]”고 하여 사랑은 그 대상을 넓혀가는 것이 중요함을 누누이 강조하고 있다.다만 그와 같은 대효大孝를 실천할 수 있는 자질은 생물학적으로 타고나는 것이라기보다는 자신의 어버이를 사랑해 나가는 과정에서 저절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므로 일종의 사회적인 학습을 필요로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立愛 自親始 : 사랑을 확립하는 일은 어버이로부터 시작된다.”는 《예기禮記제의祭義》의 구절이나, 《서경書經이훈伊訓》의 ‘立愛惟親 : 앞의 입애立愛 자친시自親始와 같은 뜻’과 같은 말이 전통적으로 중시되었다. 곧 사랑이라는 보편적 감정을 형성하는 기본적인 정서는 부모를 사랑하는 데서 비롯된다고 생각한 것이 전통 유학자들의 기본적인 태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스스로 나면서부터 이치를 아는 이가 아니라면 반드시 학문에 의지하여 알 수 있으니 학문하는 목적은 다른 데에 있는 것이 아니다.
장차 고금古今사리事理를 통달하여 마음 속에 보존하며 몸으로 실천하고자 하는 데 있는 것이니 학문하는 힘을 더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이 때문에 역대의 중요한 의리를 뽑아서 다음과 같이 기록해 둔다.
[출전] ○ 生知 : 생지生知는 태어나면서부터 도덕적 이치를 안다는 뜻인데 《논어論語》에 두 곳, 《중용中庸》에 한 곳 보인다.《논어論語술이述而》 나는 태어나면서부터 아는 사람이 아니다. 옛것을 좋아하여 재빨리 그것을 추구한 사람이다.[子曰 我非生而知之者 好古敏以求之者也]《논어論語계씨季氏》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태어나면서부터 아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배워서 아는 것이 그 다음이고 막혀서 배우는 것이 또 그 다음이다. 막히는데도 배우지 않으면 그런 사람은 하등下等의 인간이 된다.[孔子曰 生而知之者 上也 學而知之者 次也 困而學之 又其次也 困而不學 民斯爲下矣]《중용中庸‧20》 어떤 사람은 나면서부터 알고 어떤 사람은 배워서 알며 어떤 사람은 막힌 다음 〈배워서〉 그것을 알지만 알게 됨에 이르러서는 마찬가지이다.或[生而知之 或學而知之 或困而知之 及其知之 一也]
[해설] 여기서 인간의 도덕적인 능력은 반드시 학문을 통해서 계발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물론 나면서부터 도덕적 이치를 아는 생지자生知者인 경우에는 예외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유학에서 비록 지나간 성인聖人을 생지자로 인정한 경우가 있기는 했지만 생지자로 자처한 사람은 없었다. 이를테면 공자의 경우도 자신은 생지자가 아니며 옛것을 좋아하여 재빨리 그것을 추구한 사람이라고 했을 뿐이다. 따라서 생지자가 실제로 존재한다고 생각한 것이라기보다는 사람이면 누구나 학문을 통해서 자신의 도덕적 능력을 계발하고 인격을 수양해야 하며 그렇게 해서 바람직한 인격을 형성할 때 모두 동등한 존재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강조한 부분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태극이 처음으로 판별되어 음과 양이 비로소 나누어진 시기로부터 오행五行이 서로 생성됨에 먼저 가 있었다.
사람과 물건이 많이 생성되더니 이에 성인聖人이 먼저 나타나서 하늘의 뜻을 계승하여 인간의 표준을 세웠으니, 천황씨天皇氏지황씨地皇氏인황씨人皇氏유소씨有巢氏수인씨燧人氏가 태고시절의 성인이다.
서계書契문자가 나타나기 이전이기 때문에 상고할 수가 없다.
[출전] ○ 繼天立極 : 주희朱熹의 《중용장구中庸章句》에 나온다. 상고시대의 성인들께서 천도를 이어 인도를 세움으로부터 도통의 전수에 유래가 있게 되었다.[自上古聖神 繼天立極而道統之傳 有自來矣]
[해설] 태극이나 음양, 오행, 이기와 같은 용어는 주자학의 세계관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태극은 이기理氣에 해당하며 음양, 오행은 모두 에 해당한다. 또 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이며 는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이다. 따라서 이 책의 저자인 박세무朴世茂의 경우처럼 태극과 음양, 오행이 차례대로 발생했고 그 이전에 가 있었다는 설명은 주자학의 세계관을 제대로 설명한 것이라고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따라서 이 부분에서 주자학의 세계관을 설명하려고 했다고 간주하기보다는 다만 초학자들을 위해 관련 용어를 간단히 설명함으로써 태극, 이기 등의 용어가 생경하게 느껴지지 않도록 미리 알려주는 정도의 효과를 의도한 것으로 보는 것이 무난하겠다. 이어지는 내용은 모두 중국 또는 고대 동아시아의 전설에 기초한 것으로 역사로 기록되기 이전의 내용을 간추린 것이다.
복희씨가 처음으로 팔괘八卦를 긋고 서계書契문자를 만들어 결승結繩문자로 시행하던 정사를 대신했고, 신농씨가 쟁기와 보습을 만들며 의술과 약을 만들고, 황제씨가 방패와 창을 사용하며 배와 수레를 만들었으며 달력과 산수를 만들며 음률音律을 제정하셨으니 이들을 삼황三皇이라 일컫는다.
이 때는 사람들의 본성이 지극히 순박했기 때문에 인위적인 정치를 베풀지 않고도 천하가 잘 다스려졌다.
[출전] ○ 伏羲氏……以代結繩之政 : 공영달孔穎達의 《상서정의尙書正義》에 나온다.
옛날 복희씨가 천하를 다스릴 때에 처음으로 8괘를 긋고 서계書契문자를 만들어 결승結繩문자로 시행하던 정사를 대신했으니 이로 말미암아 문적文籍이 나타나게 되었다.古者 伏犧氏之王天下也 始劃八卦 造書契 以代結繩之政 由是文籍生焉○ 無爲而治 : 《논어論語위영공衛靈公》에 나온다.하는 일 없이 천하를 다스린 사람은 순임금일 것이다. 대체 무엇을 하셨던가? 자신을 공손히 하고 남쪽만 바라보고 계셨을 뿐이다.[子曰 無爲而治者 其舜也與 夫何爲哉 恭己正南面而已矣]
[해설] 역시 고대의 전설을 소개한 부분인데 그 중 복희씨와 신농씨에 대한 내용은 우리나라에도 널리 분포되어 있었던 내용이다. 일례로 고구려 고분의 벽화에도 복희씨와 신농씨가 그려져 있으며 민요 가사나 설화에도 수인씨나 신농씨가 자주 등장한다.
소호少昊전욱顓頊제곡帝嚳과 요임금, 순임금을 오제五帝라 일컫는다.
고요皐陶이 요임금과 순임금을 보좌했으니 요임금과 순임금의 다스림이 모든 왕의 으뜸이 되었다.
공자께서 서경書經산정刪定하심에 시대로부터 단정하셨다.
[해설] 전설의 시대를 지나 역사 기록이 존재하는 시기로 접어드는 부분이다. 공자가 산정했다고 전해지는 《서경》에는 요임금부터 기록하기 시작하고 있다. 이 책의 저자는 그 이전에도 여러 성인들이 존재했지만 공자가 《서경》을 산정할 때 요임금 때부터 기록하였다고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요임금과 순임금에 대한 기록은 공자 이후 전국시대에 《서경》에 추가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 그 이전의 전설은 모두 나라 이후의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으므로 이 내용을 모두 역사적 사실로 믿기는 곤란하다.
나라 우왕과 나라 탕왕과 나라 문왕‧무왕을 삼왕三王이라 일컫는다.
왕조의 수명이 어떤 경우는 400년이며 어떤 경우는 600년이며 어떤 경우는 800년이었으니 삼대三代 시절에 융성했던 문물을 후세에는 미치지 못했고 상나라의 이윤伊尹이나 부열傅說, 주나라의 주공周公소공召公이 모두 뛰어난 신하였다.
주공周公예악禮樂을 제작하셨으니 전장典章과 법도가 지극히 찬란하게 갖추어졌다.
[해설]임금이 다스렸다는 나라까지는 기록만 있고 실제로 존재했다는 물증은 아직까지 없다. 또 나라에 대한 것도 원래는 기록뿐이었으나 은허殷墟가 발굴됨으로써 역사 시대로 인정받게 된 것은 1928년 이후의 일이다. 하지만 역사적 실재 여부와는 별도로 유학에서는 하‧은‧주 삼대三代를 삼대 또는 삼왕三王의 시대로 일컬으며 이상적인 정치, 곧 왕도정치王道政治가 구현되었던 시기로 간주하였는데, 특히 상나라의 이윤과 부열, 그리고 주나라의 주공과 같은 뛰어난 신하들에 의해 그와 같은 이상 정치가 가능하였다고 생각하였다.
나라가 쇠미함에 미쳐 오패五覇가 제후들을 이끌어 왕실을 바로 세웠으니 이를테면 제나라 환공桓公, 진나라 문공文公, 송나라 양공襄公, 진나라 목공穆公, 초나라 장왕莊王이 차례대로 돌아가면서 중국의 맹약을 주도하였으니 왕실의 위엄이 떨쳐지지 못했다.
[출전] ○ 五覇摟諸侯 : 원래 《맹자孟子고자하告子下》에서 맹자가 “오패五覇는 제후들을 이끌어 제후들을 공격한 자이다. 그 때문에 오패는 삼왕三王의 죄인이라고 하였다.[五覇者 摟諸侯 以伐諸侯者也 故曰 五覇者 三王之罪人也]”고 오패를 낮추어 평가한 내용에서 비롯되었다.
[고사] ○ 宋襄之仁 : 송나라 양공襄公의 어짊. 쓸데없는 인정이나 무익한 동정 등을 베푸는 것을 비유한다. 자신의 처지를 모르고 분수도 없이 남을 동정하는 것을 빗대어 일컫는 말로 많이 쓰인다. 춘추시대 나라 양공襄公이 쓸데없는 인정을 베풀었던 고사에서 유래한 말이다. 《십팔사략十八史略 1》,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희공僖公22 》 등에 소개되어 있다.송나라 양공이 패자가 될 야심을 품고 초나라의 군대와 홍수泓水를 사이에 두고 대치했을 때의 일이다. 초군은 이 때 양공을 얕잡아 보고는, 적군을 앞에 둔 채 무모하게 강을 건너오기 시작했다. 그것을 바라만 보고 있던 양공에게 재상 목이目夷가 진언했다.“적은 대군大軍이고 아군은 가 약합니다. 그러므로 저들이 다 건너 전열戰列을 가다듬기 전에 치면 이길 수 있습니다.”그러나 양공은 듣지 않고 초군이 다 건너기를 기다렸다. 홍수를 다 건넌 초군의 진영이 채 정돈되지 않은 틈을 보고 목이目夷가 또 공격을 권했지만 양공은 여전히 듣지 않고 있다가 초군의 전열이 완전히 갖추어진 후에 비로소 출격했다. 결과는 물론 열세劣勢였던 송군의 참패였고, 양공 자신도 허벅다리에 부상을 깊게 입었다. 여러 사람이 원망하자 양공은 이렇게 말했다.“군자君子가 어찌 남의 약점을 노리는 비겁한 짓을 하겠는가!”양공은 결국 이때 입은 상처로 이듬해 죽고 말았다.
세상에서는 이 일을 빗대어 ‘양공의 부질없는 어짊[宋襄之仁]’이라고 말하게 되었다.
[해설] 《맹자孟子》에서 “공자를 배우는 사람은 오패五覇에 대해 거론하는 것을 수치스러워했다.”고 말한 것처럼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지향했던 유학에서는 패도覇道를 천시하였다. 그 때문에 《동몽선습童蒙先習》의 필자도 춘추전국시대를 주나라 천자天子의 위엄이 떨쳐지지 못한 무도한 시대였다고 평가절하하고 있다. 하지만 《논어論語》에서는 오패의 첫번째 인물인 제환공齊桓公을 보좌하여 패도를 이루었던 관중管仲을 높이 평가하고 있는데, 그것은 관중이 오랑캐를 물리쳐 중국의 문화를 보존하는 데 기여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공자는 하늘이 내신 성인으로서 수레를 타고 천하를 주유하셨으나 가 세상에서 시행되지 않아서 《시경》과 《서경》을 산정刪定하시며 을 결정하시며 《주역》을 해설하시며 춘추를 편수하셔서 지나간 성인을 계승하고 후세의 학자들을 인도하셨고, 그 도를 전수받은 이는 안자顔子증자曾子이다.
이런 사실에 대한 기록은 《논어》에 있다.
증자의 문인이 대학을 기술하였다.
[출전] ○ 天縱之聖 : 《논어論語자한子罕》에서 “태재大宰가 자공에게 이렇게 물었다. 선생님(공자)은 성인이십니까? 어쩌면 그렇게도 재능이 많으십니까? 자공이 이렇게 대답했다. 본래 하늘이 거의 성인으로 놓아주셨고 또 재능도 많으시다.[大宰問於子貢曰 夫子聖者與 何其多能也 子貢曰 固天縱之將聖 又多能也]”라고 했다.○ 轍環天下 : 한유韓愈의 《진학해進學解》에서 “옛적에 맹자가 변론을 좋아해서 공자의 도가 그 때문에 밝혀졌지만 천하를 두루 돌아다녀서 마침내 길에서 늙었다.[昔者孟軻好辯 孔道以明 轍環天下 卒老于行]”고 한데서 유래되었다.○ 刪詩書……修春秋 : 《사기史記공자세가孔子世家》에 “敍書傳禮記 刪詩正樂 序易彖繫象說卦文言 : 《서경書經》과 《예기禮記》를 서술하고 를 산정하고 음악을 바로잡았으며 《주역》의 단전, 계사전, 상전, 설괘전, 문언전을 차례지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繼往聖 開來學 : 공자의 공로를 높이 평가한 내용으로 주희의 《중용장구中庸章句》에 나온다.지나간 성인의 를 잇고 후세의 학자들을 인도해 주신 것은 그 공이 도리어 요순보다 더 높다.[所以繼往聖 開來學 其功反有賢於堯舞者]
[해설] 공자는 이전의 성인들, 곧 요임금이나 순임금과는 달리 임금이 아니었고, 또 주공과 같은 지위도 얻지 못했기 때문에 자신의 이념을 당대에는 시행하지 못했다. 그러나 제자들을 양성함으로써 지나간 성인의 를 이어서 후세의 학자들을 인도한 계왕개래繼往開來의 공로는 이전의 성인들이 이루지 못한 업적으로 평가받았다. 특히 여기서는 공자의 도를 전수하고 전수한 사람으로 안연과 증삼을 들고 있는데 이는 주자학자들의 도통관을 보여주는 내용이기도 하다.실제로 《논어論語》에 기술되어 있는 제자들 중에서 안연의 경우는 공자가 스스로 인정한 가장 뛰어난 제자였다. 그러나 안연은 공자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도를 이어주었다고 말하기는 곤란하다. 또 증삼의 경우에는 ‘노둔하다’는 평가를 받은 만큼 도통의 중심에 서기는 어렵다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증삼은 맹자에 의해 지속적으로 추존받았으며 당대의 한유韓愈가 〈원도原道〉에서 “자사子思의 학문이 증자에게서 나왔다.”고 규정한 이후 공자의 정통을 계승한 인물로 존중되었다. 또 송나라의 정이천程伊川 같은 학자는 “증삼은 노둔魯鈍함으로써 를 얻었다.[曾參以魯得之]”고 높이 평가하기도 하였다.
열국은 나라 등이니 방패와 창이 날마다 이어져 전쟁이 끊이지 않아 마침내 전국시대가 되었으니 의 일곱 나라를 전국칠웅戰國七雄이라 일컫는다.
[출전] ○ 干戈日尋 戰爭不息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소공昭公 1》에 나온다. 일심간과日尋干戈 이상정토以相征討 : 창과 방패가 날마다 이어져 서로 공격하였다.
[해설]열국列國은 모두 주나라에 조공을 바치고 있었던 제후국들을 지칭한 것이다. 주나라는 천자국이 이들 열국과의 유대와 결속을 유지하면서 천하를 다스리는 봉건제를 시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춘추시대에 이르러 주나라가 쇠미하게 되자 전쟁이 끊임없이 일어나 작은 제후국들이 멸망당하게 되는데 그 결과 전국시대에 이르렀다. 여기서는 그와 같은 과정을 혼란 무도한 상황으로 파악하고 있다.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가 이 시기에 태어나 《중용中庸》을 저술하셨고, 그 문인의 제자인 맹가孟軻가 제나라와 양나라에서 왕도정치를 진술하셨는데 도가 또 시행되지 못하여 《맹자孟子》 7편을 저술하셨으나, 이단과 종횡과 공리의 학설이 성행해서 우리 유학의 도가 전해지지 못하였다.
[해설] 전국시대에는 자사와 맹자가 활동했지만 당시 제후들의 현실적인 요구는 부국강병을 통해 천하를 통일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왕도주의를 내걸었던 유학의 이념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당시 제후들의 요구에 가장 적절하게 부합되었던 사상은 춘추전국시대의 사회적 변화를 역사적인 발전으로 파악했던 법가法家의 사상이었으며 결국 법가의 정치를 표방한 나라가 천하를 통일하게 된다.
진시황 시대에 이르러서는 두 주나라를 병탄하고 여섯 제후국을 멸망시키며, 봉건제도를 폐지하고 군현제를 시행하며 시서詩書를 불태우고 유생들을 구덩이 속에 파묻어 죽이니 2만에 멸망하였다.
[고사] ○ 焚書坑儒 : 분서갱유의 시작은 기원전 213년, 시황제가 함양궁咸陽宮에 신하를 모아 주연을 베풀었던 일에서 비롯되었다. 그 자리에서 승상 이사李斯가 정치에 대한 일체의 논의를 엄금하고 유교의 경전經典을 포함한 정치성을 띤 서적을 몰수하여 태워 없애야 한다고 건의했다. 진시황은 이 건의를 받아들여 책을 소지하고 다니기만 해도 처벌하는 협서율挾書律을 반포하고, 《진기秦記》 이외의 역사서와, 박사관博士官에 속하지 않고 개인 소유로 되어 있는 《시경詩經》, 《서경書經》 등도 지방관에게 제출하여 30일 이내에 태워 버리라고 명령했다. 이로써 명령이 내려진 후 한 달만에 정부를 제외하고는 어떤 사람도 금서禁書를 소장하거나 연구, 토론할 수 없게 되었다. 이 때 의약醫藥복서卜筮농경農耕에 관한 서적은 소각을 면하였다. 이것이 분서焚書사건인데, 이 협서율은 한대漢代에 이르러 혜제惠帝가 철폐할 때까지 계속되었다.이듬해에는 갱유坑儒의 사건이 일어났는데, 그 경위는 다음과 같다. 시황제는 불로장생을 꿈꾸어 신선술神仙術에 열중하였다. 그는 숱한 방사方士(도교의 수행자)들을 후대하는 한편 그들을 해외로 파견하여 신선과 불사약不死藥을 구해오도록 하였으나, 비용만 들 뿐 돌아오는 자가 없었다. 특히 총애하던 방사인 후생侯生노생盧生은 시황제의 행위에 불만을 품은 나머지 그를 비난하고는 도망하여 버렸다. 이 때에 또 그 밖의 다른 방사와 유생儒生들이 진시황의 분서를 공박하자 진노한 진시황은 그의 명령에 이번에는 함양성의 방사와 유생들을 소환하여 엄하게 문초하라고 명하였다. 그 중 정부의 일을 비난하는 등 법령을 어겼다는 죄목으로 460여 명을 체포해 산 채로 땅을 파고 묻어 버렸는데 이 때 묻힌 이들은 거의가 유학자였으므로, 이 일을 갱유坑儒라고 한다.
[해설] 법가의 통치술을 이용하여 천하를 통일했던 진시황은 사상 유례 없는 가혹한 학술탄압 정책을 시행하여 이후 두고 두고 지식인들의 비판을 받는다. 여기서도 마치 분서갱유 때문에 두 세대만에 망한 것처럼 기록하고 있는데 폄하貶下하여 기록한 것이다.
한나라 고조가 포의布衣로 일어나 황제의 위업을 이루어서 왕조의 수명이 4백년에 이르렀는데 명제明帝 때에 서역西域의 불교가 처음으로 중국에 유통하여 세상을 미혹시키고 백성들을 속였다.
촉한蜀漢의 세 나라가 솥발처럼 대치하고 있었는데, 제갈량이 의리를 지켜 한나라를 부지하다가 병이 들어 전쟁터에서 죽었다.
[고사] ○ 三顧草廬 : 초가집을 세 번 방문함. 삼국시대 유비劉備제갈공명諸葛孔明을 세 번씩이나 찾아갔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이다.후한 말 한실漢室 부흥을 기치로 군사를 일으킨 유비가 사마휘司馬徽에게 군사軍師로 추대할 만한 인물을 천거해 달라고 청했다. 사마휘는 복룡伏龍이나 봉추鳳雛 중 한 사람을 얻으라고 권했는데 후에 양양襄陽 땅에 사는 제갈량諸葛亮의 별명이 복룡이란 것을 알게 된 유비는 당장 예물을 가지고 제갈량의 초가집을 찾아갔다. 그러나 제갈량은 마침 집에 없었다. 며칠 후 유비는 다시 찾아갔으나, 역시 제갈량은 집에 없었다. 일부러 피하는 것이라고 짐작되었다. 같이 갔던 관우와 장비가 불평하면서 유비를 만류했는데도 불구하고 유비는 세 번째로 제갈공명의 초가집에 찾아갔다. 제갈량은 유비의 열의에 감동하여 마침내 군사軍師가 되기를 허락하였다. 이후로 제갈공명은 과연 기대대로 적벽대전赤壁大戰에서 조조의 100만 대군을 격파하는 등 수 많은 전공을 세웠다. 제갈량이 후주後主 유선劉禪에게 올린 〈출사표出師表〉에는 이 부분이 “三顧臣於草廬之中 : 〈선제先帝(劉備)께서 세 번이나 초가집에 있는 을 찾아오셨다.”고 표현되어 있다.○ 死諸葛走生仲達 : 《삼국지三國志촉지蜀志제갈량전諸葛亮傳》과 《자치통감資治通鑑》에 나오는 내용이다. 죽은 제갈공명諸葛孔明이 산 사마중달司馬仲達을 달아나게 했다는 뜻으로 오장원五丈原에서 죽음을 맞이하게 된 제갈공명은 자신이 죽은 뒤 의 군대가 공격해 올 것을 알고, 미리 자신의 모양을 본떠 나무인형을 만들게 하여 위군의 공격에 대비하게 했다. 이윽고 제갈공명이 죽은 뒤, 천문을 관측하던 사마중달은 공명이 죽었다는 사실을 알고 의 진영으로 공격해 들어갔는데, 촉의 군사들은 미리 준비했던 제갈공명의 목각인형을 맨 앞의 수레에 태우고 그들을 맞이했다. 죽은 줄 알았던 공명이 살아 있다고 생각한 사마중달[司馬懿]은 혼비백산魂飛魄散하여 군사를 돌려 도망쳤다. 이 일을 두고 사람들은 죽은 제갈공명이 산 사마중달을 도망치게 했다고 말한 것이다. 뒤에 이 말을 전해 들은 사마중달은 “산 사람의 계책이야 내가 헤아릴 수 있지만 죽은 사람의 계책이야 어찌 헤아릴 수 있었겠는가?”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水魚之交 : 역시 유비와 제갈량의 관계에서 비롯된 말. 물과 물고기의 만남. 곧 물고기가 물을 만난 듯이 군주와 신하의 사이가 친밀한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일반적으로는 서로 큰 도움이 되는 사이를 수어지교라고도 한다. 《삼국지三國志촉지蜀志제갈량전諸葛亮傳》의 기록이다. 제갈공명이 은둔해 있을 때 유비는 예의를 다해 세 번 씩이나 그의 집을 찾아감으로써[三顧草廬] 제갈공명을 맞이해 오는 데 성공했다.그런데 관우와 장비가 아직 어린 제갈공명(삼고초려 후 나왔을 때 그의 나이는 27세밖에 되지 않았다)에게 대한 예우가 너무 지나친 것이라고 불평한 적이 있었다. 그 때 유비가 자신이 공명을 얻은 것은 마치 고기가 물을 얻은 것이나 같다고 함으로써 그들의 불만을 잠재웠다. 그후 군주와 신하 사이가 서로 다시없이 친밀한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였다.
[해설]나라의 성립과 함께 불교의 수입을 중요한 변화로 다루면서 불교를 혹세무민하는 종교라고 비판하고 있다. 조선조의 건국이 이전 왕조의 통치이념이었던 불교적 사유思惟를 극복하면서 이루어졌고 또 불교적 사유를 대항 이념으로 파악하는 유학자의 한 사람인 저자著者가 불교의 수입을 부정적으로 파악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 하겠다.이어지는 삼국시대의 역사를 서술하는 부분에서는 유비劉備촉한蜀漢을 정통으로 간주하는 역사관을 적용하고 있는데 이는 진수陳壽가 기록한 정사인 《삼국지三國志》의 역사관을 따르지 않고 원말명초元末明初나관중羅貫中이 지은 《삼국연의三國演義》의 역사관을 따른 것으로 역사는 항상 승리자를 중심으로 쓰여지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나라가 천하를 다스림에 왕조의 수명이 100여 년에 이르렀는데 다섯 오랑캐나라가 중화를 어지럽히니 에 남북으로 분열되었다.
나라가 천하를 통일하였으나 왕조의 수명이 30년에 그쳤다.
[해설] 삼국시대 이후 나라가 패권을 차지했다가 이른바 오호五胡에 의해서 중국이 통치되는 상황에 이르렀음을 설명하고 있다. ‘중화를 어지럽혔다’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 최초의 이민족 지배를 달가워하지 않는 저자의 역사관이 드러나 있는 부분이다. 또 나라의 경우 왕조의 수명이 30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았고 그 때문에 그에 관한 기록도 소략한 편이다.
당나라 고조와 태종이 나라 왕실의 어지러움을 틈타 일개 집안을 변화시켜 나라로 만들어 왕조의 수명이 300년에 이르렀다.
후량後梁후당後唐후진後晉후한後漢후주後周오계五季라고 하니, 아침에 나라를 얻었다가 저녁이면 잃어버려서 크게 혼란함이 극도에 이르렀다.
[해설] 당나라의 통치를 정통으로 받아들여 일개 집안을 변화시켜 나라로 만들었다고 표현한 반면 이어지는 오계五季는 왕조의 수명이 짧다는 이유로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고 말세末世 곧 혼란한 시대였다는 뜻으로 ‘季’자를 붙이고 있다. 특히 조득모실朝得暮失이라고 표현할 만큼 흥망이 거듭되면서 혼란이 극도에 이르렀다고 기술함으로써, 한족漢族으로서 중국 전역을 통치하고 또 오랫동안 유지한 왕조라야 정통성을 인정할 수 있다는 당시 지식인들의 사대적 역사관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송나라 태조가 국가를 세운 초기에 다섯 별이 규성奎星에 모여 에 여러 현인들이 배출되었으니, 주돈이周敦頤정호程顥정이程頤사마광司馬光장재張載소옹邵雍주희朱熹 같은 학자들이 서로 이어 나타나 이 유학의 도를 밝히는 것으로 자신의 임무로 삼았지만 자기 몸조차도 용납받지 못했다.
주자가 제가諸家의 학설을 모아서 사서와 오경을 주해하셨으니 배우는 자들에게 크게 공을 세웠다.
[해설] 조선조의 건국이념인 유학은 구체적으로는 중국 송대에 일어난 성리학을 지칭한다. 그 때문에 역사를 서술할 때도 송나라에 대해 가장 많은 분량을 할애한 것이다. 특히 송나라의 문치文治를 높이 평가하여 오성취규五星聚奎와 같은 표현을 쓰는가 하면 성리학자들의 이름을 구체적으로 거론하면서 그들의 학문적 성과를 드러내 밝히고 있다.
그러나 국가의 힘이 강하지 못하여 왕조의 수명이 300년에 그쳤으니 거란과 몽골과 이 차례대로 침략하고 망조를 드리움에 미쳐 문천상文天祥이 충성을 다하여 송나라에 보답하다가 마침내 연경의 옥에서 죽었다.
[해설]나라의 정통성을 인정하여 그 멸망을 아쉬워하는 저자의 의도가 잘 드러나 있는 부분이다. 그 때문에 다른 나라의 경우와는 달리 멸망의 순간까지 비교적 자세히 기록하고 있는데 나라에 끝까지 항전했던 문천상文天祥을 거론하면서 그의 충절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오랑캐 나라가 나라를 멸망시키고 천하를 통일하여 면면히 백년을 이어갔으니 오랑캐가 세력을 떨침이 이 때만한 적이 없었다.
하늘이 더러운 덕을 싫어하셨는지라 대명大明이 하늘 한 가운데로 떠올라 성인聖人신인神人이 계승하였으니 아! 천만년을 이어가리로다.
[출전] ○ 聖繼神承 於千萬年 : 한유韓愈가 지은 〈평회서비平淮西碑〉에 “[聖子神孫 繼繼承承 於千萬年].”이라고 했는데 이 표현을 축약한 것이다.
[해설]나라가 한족漢族이 아니라는 이유로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특히 예덕穢德이라고 일컬은 부분에서 원나라를 강도 높게 비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나라의 출현을 마치 하늘의 뜻인 양 표현하고 있는데, 이는 저자의 사대의식뿐만 아니라 조선왕조 수립 직후 국가의 기초가 다져지지 않은 상태에서 이웃 강대국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었던 당시 학자들의 한계와 고민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겠다.
아!
삼강오상三綱五常의 도리는 천지와 더불어 시종始終을 함께하니 삼대三代 이전에는 성스러운 임금, 명철한 군주와 어진 재상과 뛰어난 보좌관들이 서로 함께 강론하여 밝혔다.
그 때문에 다스려진 날이 항상 많았고 어지러운 날이 항상 적었는데 삼대三代 이후에는 용렬한 임금, 어두운 군주들과 국가의 기강을 어지럽히는 신하와 집안의 도리를 해치는 자식들이 서로 함께 그것을 무너뜨렸다.
그 때문에 어지러운 날이 항상 많고 다스려진 날이 항상 적었다.
세상이 다스려지고 어지러우며 편안하고 위태로운 것과 나라가 일어나고 폐지되며 보존되고 멸망하는 까닭은 모두 인륜人倫이 밝혀졌느냐 밝혀지지 않았느냐가 어떠한지에서 말미암는다.
살피지 않을 수 있겠는가.
[해설] 삼강 오상의 도리, 곧 인륜성人倫性이 천지와 함께 시작되었다고 강조하면서 그것을 드러내 밝히는 것이 통치자들의 의무라고 보고 있다. 특히 삼대시절까지는 통치자들이 인륜을 잘 드러내 밝혔기 때문에 세상이 잘 다스려졌고, 그 이후에는 통치자들의 무능으로 인륜을 밝히지 못했기 때문에 세상이 어지러워졌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어서 세상이 다스려지느냐 그렇지 않느냐는 전적으로 인륜이 밝혀졌느냐 아니냐에 따른 것이므로 인륜을 잘 살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동방에 처음에는 군장君長이 없었는데 신인神人이 태백산 박달나무 아래로 내려오자 나라 사람들이 〈그의 아들을〉 임금으로 삼았다.
임금과 동시대에 즉위하여 국호를 조선朝鮮이라고 했으니 이가 단군檀君이다.
[출전] ○ 우리나라 고대의 역사를 다루고 있는 내용 중 대부분은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나온다.
[해설]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나오는 내용을 요약하여 단군조선의 건국 과정을 간략하게 서술하고 있다. 특히 신인神人이 태백산 박달나무 아래로 내려왔다는 기록을 그대로 실은 것으로 보아 저자는 단군신화를 기록하지 않은 《삼국사기三國史記》보다는 《삼국유사三國遺事》를 근거로 우리나라의 고대사를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라 무왕이 기자箕子를 조선에 봉하자 〈기자가〉 백성들에게 예의를 가르쳐서 여덟 조목의 가르침[八條之敎]을 베풀었으니 어진 사람 기자의 교화가 있었다.
[고사] ○ 箕子朝鮮 : 중국에서 나라가 나라에 의해 멸망당하자 은의 신하였던 기자箕子가 조선에 와서 세웠다고 전해지는 나라이다. 기자가 조선에 와서 왕이 되었다는 기록은 《사기史記》와 《한서漢書》 등에 나타나는데 내용은 조금씩 다르다. 하지만 기자조선에 대해서는 조선시대까지는 거의 인정하였으나 최근에 와서는 대부분의 학자들에 의해서 부인되고 있다. 왜냐하면 기자가 활동했던 시기는 주나라가 은나라를 멸망시키는 기원전 1211년 경인데 《사기史記》와 《한서漢書》는 모두 기원전 3세기 이후에 저술된 것이기 때문에 기록의 신빙성이 떨어진다. 또 기자가 조선에 와서 왕이 되었다면 본국이 자리잡고 있었던 황하유역의 문명을 전파했을 것이므로 한반도의 문명에 그런 요소가 있어야 하는데, 한반도의 문명은 황하유역의 그것과는 분명히 구분되는 독립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기자동래설箕子東來說은 중국인들이 자신들을 중심으로 보고 고대에 조선까지 지배했다는 중화사상에 입각하여 조작해 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해설] 지금은 기자조선의 존재가 부인되고 있지만 이 글의 저자는 기자조선의 실체를 인정하는 입장에서 기자가 조선에 와서 다스렸다고 기록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지식인들은 대부분 기자조선을 인정했는데 그 이유는 본문에 나와 있는 것처럼 공자가 기자를 인자仁者로 인정했기 때문에 그런 인물의 통치를 받았다는 사실을 부끄러워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나라 사람 위만衛滿노관盧綰의 난리를 피하여 망명해 와서 기준箕準을 유인하여 쫓아내고 왕검성王儉城을 차지하였는데 손자인 우거왕右渠王대에 이르러 한나라 무제가 토벌하여 멸망시키고 그 영토를 분할하여 낙랑樂浪임둔臨屯현도玄菟진번眞蕃사군四郡을 만들었다.
소제昭帝평나平那와 현도를 합쳐서 평주平州로 만들고 임둔과 낙랑을 동부의 두 도독부都督府로 만들었다.
[해설] 위만조선의 성립과 멸망, 그리고 한사군漢四郡의 설치를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한나라와 위만조선의 대립을 놓고 위만조선의 입장에서 글을 쓰기보다는 한나라 무제를 중심으로 기술하고 있다. 저자의 역사인식이 중국 중심이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하며 그 때문에 우리 역사에 대한 주체적인 인식이 결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준箕準이 위만을 피해 바다에 떠서 남쪽으로 내려와 금마군金馬郡에 정착했으니 이것이 마한馬韓이다.
나라에서 망명한 사람이 노역을 피하여 나라로 들어오자 나라가 동쪽 영토를 분할하여 제공하니 이것이 진한辰韓이다.
변한弁韓나라의 영토에 나라를 세웠으니 그 시조와 연대를 알 수 없다.
이것이 삼한三韓이다.
[해설]삼한三韓의 성립에 관해서 기록하고 있다. 삼한의 성립이나 그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대부분 중국의 기록에 의존하여 추측하고 있을 뿐으로 자세한 내용을 소개하는 데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신라의 시조 혁거세赫居世는 진한의 영토에 도읍을 정하여 을 성씨로 삼고,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朱蒙졸본卒本땅에 이르러 스스로 고신高辛씨의 후예라고 일컬어 그에 따라 를 성씨로 삼았고 백제의 시조인 온조溫祚하남河南위례성慰禮城을 도읍지로 정하여 부여扶餘를 성씨로 삼아서 삼국이 각각 한 모퉁이를 차지하여 서로 공격하였다.
[해설] 신라와 고구려, 백제의 성립에 관 : 명하고 있다. 특히 삼국의 시조에 관해 소략하게나마 언급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기록은 대부분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삼국유사三國遺事》를 근거로 삼아 서술한 것이다.
그 뒤에 당나라 고종이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그 영토를 분할하여 도독부都督府를 설치하여 유인원劉仁願설인귀薛仁貴로 하여금 머물러서 진무케 하였으니 백제는 왕조의 수명이 678년에 이르렀고 고구려는 705년이었다.
[해설]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을 기록하고 있는데 두 나라를 멸망시킨 주체가 당나라인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실제로 백제와 고구려는 신라와 당나라의 연합군에 의해 멸망되었는데 이런 사실을 기술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이 역시 저자가 중국중심 사관에 얽매여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신라의 말기에 궁예弓裔가 북경에서 반란을 일으켜 국호를 태봉泰封이라 하였고 견훤甄萱이 반란을 일으켜 완산주完山州를 점거하여 스스로 후백제後百濟라고 일컬었다.
신라가 멸망하니 의 세 성씨가 서로 왕위를 전수하여 왕조의 수명이 992년에 이르렀다.
[해설] 궁예와 견훤의 등장으로 이른바 후삼국이 성립되고 그에 따라 신라가 멸망하는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신라의 왕위계승 과정이 에 의해 이어졌다고 기록한 점이 이채롭다.
태봉泰封의 여러 장수들이 고려의 시조 왕건을 세워서 왕으로 삼으니 국호國號고려高麗라고 하여 여러 흉악한 인물들을 이겨 없애고 삼한三韓을 통합하여 도읍을 송악松嶽으로 옮겼다.
고려의 말년에 이르러 공민恭愍에게 후사後嗣가 없고 가짜 임금 신우辛禑가 어둡고 포악하며 스스로 방자하였으며 공양恭讓이 임금 노릇을 못하여 마침내 망하기에 이르니 왕조의 수명이 475년이었다.
[해설] 고려의 성립과 멸망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왕건이 흉악한 무리를 이겨 없앴다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고려의 성립 자체를 정당한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하지만 고려 말엽에 이르러 공민왕에게 후사가 없었다고 기록하면서 조선조 성립의 정당성을 옹호하고 있다. 실제로 공민왕에게는 아들인 왕우王禑가 있었지만 조선조 건국 세력들은 왕우王禑신돈辛旽의 자식이라고 강변하여 공민왕에게 후사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였다.그러나 왕우가 왕씨가 아니라 신돈의 아들이라는 내용은 의심의 여지가 많다. 왜냐하면 당시 우왕을 임금으로 섬겼던 이색이나 정몽주 같은 신하들은 모두 유학자로서 만약 우왕이 신돈의 자식이라는 의혹이 설득력 있는 것이었다면 그들이 신하로 자처했을 리 만무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우왕을 신돈의 자식으로 몰아간 것은 신왕조 성립의 정당성을 옹호하기 위한 세력들에 의해 조작된 것이라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
천명天命이 진정한 군주에게 돌아가니 나라 태조太祖 고황제高皇帝가 국호를 조선朝鮮이라고 고쳐 내리자 한양에 도읍을 정하여 성스럽고 신령스러운 자손들이 끊임없이 계승하여 거듭 빛내고 여러 차례 스며들어서 지금에 이르니 실로 만세토록 끝없을 아름다움이로다.
[해설] 조선조 건국 과정을 기술하고 있는 부분이다. 조선조 건국의 정당성을 믿어 의심치 않았던 저자로서 통치의 정당성을 부여해 주는 천명天命이 조선의 태조太祖에게 돌아갔다고 표현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어서 나라 태조에게 국호를 인가 받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데 이를 통해서 국가를 수립하는 초기에 이웃 나라이자 강대국이었던 중국과의 우호관계를 중시할 수밖에 없었던 당시의 현실적인 상황을 짐작할 수 있다.
아!
우리나라가 비록 궁벽하게 바다 모퉁이에 자리잡고 있어서 영토가 편소褊小하지만 예악법도와 의관문물을 모두 중화의 제도를 따라 인륜이 위에서 밝혀지고 교화가 아래에서 시행되어 풍속의 아름다움이 중화中華를 방불하였다.
이 때문에 중화인들이 우리를 소중화小中華라고 일컬으니 이 어찌 기자箕子가 끼쳐준 교화 때문이 아니겠는가.
아! 너희 소자小子들은 의당 보고 느껴서 흥기興起할지어다.
[해설] 앞에서 통치가 제대로 이루어지느냐 아니냐의 관건이 인륜人倫이 밝혀졌느냐 아니냐에 있다고 주장한 저자로서는 조선조의 초기에 인륜이 위에서 밝혀지고 교화가 아래 백성들에게서 시행되었다고 언급한 것은 통치의 성과에 대한 자신감의 표출이라 하겠다. 특히 국토가 편소함에도 불구하고 예악과 제도를 중화의 제도를 따랐다고 한 것은 당시의 지식인들이 지니고 있었던 문화적 자부심을 엿보기에 부족함이 없다. 그러나 그런 자부심의 근거가 중국인들이 우리나라를 소중화라고 일컫는다는 점을 부각시키는 데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주체적인 역사인식이 결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역주
역주1 五品 : 品은 物과 같은 글자로 등급을 의미하는데 여기서의 五品은 앞에 열거한 다섯 가지 일 곧 五倫을 지칭하고 있다.
역주2 天敍之典 : 하늘이 펼쳐 준 모범이 되는 법전. 典은 법전. 之는 관형격 조사.
역주3 人理之所固有者 : 원래 ‘사람이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이치[人之所固有之理]’인데 之자가 중복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뒤의 것을 생략하고 理 字를 앞으로 돌려 도치시킨 문장이다.
역주4 人之行 不外乎五者 : 사람의 행실이 다섯 가지 곧 오륜에서 벗어나지 않음. 外는 出과 같다.
역주5 : ‘오직~만’의 뜻으로 바로 뒤의 孝를 한정시키기 위한 부사로 쓰였다.
역주6 孝爲百行之源 : 孝가 百行(인간의 모든 행실)의 근원이 됨.
역주7 是以 : 이 때문에. 以는 때문. 是故 등과 같다.
역주8 孝子之事親也 : 효자가 어버이를 섬기는 것은. 之는 주격조사. 也는 이 구 전체를 주어로 만들어 주는 주격조사 구실을 한다.
역주9 鷄初鳴 : 닭이 처음 움. 곧 첫닭이 운다는 뜻.
역주10 咸盥漱 : 咸은 ‘모두’로 여기서는 어린 사람들을 지칭한다. 盥은 세수한다는 뜻. 漱는 양치질함.
역주11 適父母之所 : 適은 동사로 간다는 뜻. 父母之所는 부모님이 계신 곳. 之는 관형격 조사.
역주12 下氣怡聲 : 기운을 낮추고 목소리를 부드럽게 함.
역주13 問衣燠寒 : 옷이 따뜻한지 추운지를 여쭈어 봄.
역주14 問何食飮 : 무엇을 드시고 싶은지를 여쭈어 봄.
역주15 冬溫而夏凊 : 겨울에는 따뜻하게 해드리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해드림. 而는 순접을 나타내는 접속사.
역주16 昏定而晨省 : 昏定은 저녁에 이부자리를 깔아 드린다는 뜻. 晨省은 새벽에 부모님의 잠자리를 살펴본다는 뜻.
역주17 出必告(곡) : 부모님께 걱정을 끼치지 않기 위해서 집 밖으로 나갈 때는 반드시 행선지를 부모님께 아뢴다는 뜻.
역주18 反必面 : 자식의 얼굴을 확인하고 싶어하는 부모님의 마음을 살펴서 밖에서 돌아왔을 때는 반드시 부모님의 얼굴을 대면한다는 뜻.
역주19 不遠遊 : 집에 무슨 일이 있을 때 쉽게 연락할 수 있도록 멀리 나가 놀지 않음.
역주20 遊必有方 : 나가 놀 때는 반드시 일정할 장소가 있음. 역시 집에 무슨 일이 있을 때 기별이 쉽게 도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方은 方所로 일정한 장소를 의미.
역주21 不敢有其身 : 감히 자신의 몸을 사유하지 않음. 有는 私有한다는 뜻으로 바로 뒤에 나오는 私其財의 私와 같다. 자식의 신체는 부모님이 물려주신 것이므로 함부로 손상시켜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역주22 父母愛之 : 부모님께서 나를 사랑해 주심. 之는 자식을 지칭하는 대명사.
역주23 喜而不忘 : 기뻐하되 은혜를 잊어버리지 않음. 이 문장의 주어는 자식인데 생략되어 있다.
역주24 惡之 : 부모님께서 나를 미워하심. 이 문장의 주어는 앞 문장의 부모인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되었다.
역주25 懼而無怨 : 두려워하되 부모님을 원망하지 아니함. 而는 역접을 나타내는 접속사. 이 문장의 주어도 앞의 문장과 마찬가지로 자식인데 생략되어 있다.
역주26 有過 : 과실을 저지름. 주어는 부모.
역주27 諫而不逆 : 諫은 아랫사람이 윗사람의 잘못을 말리는 것. 逆은 거스르는 것으로 상대 곧 부모의 기분을 나쁘게 하는 행위를 뜻한다. 이 문장의 주어는 자식. 而는 역접을 나타내는 접속사.
역주28 三諫而不聽 : 세 번 간했는데도 듣지 않음. 三諫은 꼭 세 번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차례 諫했다는 뜻으로 쓴 것이고 聽은 聽從 곧 따른다는 뜻이다.
역주29 號泣而隨之 : 號는 소리내어 우는 것이고 泣은 눈물을 흘린다는 뜻. 而는 동시를 나타내는 접속사. 之는 부모님을 지칭하는 대명사. 곧 울면서 부모님의 뜻을 따른다는 뜻. 또 이 부분을 두고 ‘울면서 부모님을 따라다닌다.’는 뜻으로 보아야 한다는 주석도 있지만 본문 해석에서는 앞의 경우를 따랐다.
역주30 怒而撻之流血 : 부모님이 성을 내어 자식을 매질해서 피가 흐름. 之는 자식을 지칭하는 대명사. 이 문장의 주어는 부모.
역주31 不敢疾怨 : 감히 부모님을 미워하거나 원망하지 아니함. 이 문장의 주어는 자식.
역주32 居則致其敬 : 평소 생활할 때 부모님 공경하는 마음을 극진히 함. 居는 평소에 아무일 없을 때를 뜻한다.
역주33 養則致其樂 : 봉양할 때 부모님의 뜻에 맞춰 즐거움을 극진히 함. 養은 음식으로 봉양할 때를 뜻한다.
역주34 病則致其憂 : 부모님이 병에 걸렸을 때 근심을 극진히 함. 病은 부모님이 병드셨을 때를 뜻한다.
역주35 喪則致其哀 : 돌아가셨을 때 슬픔을 극진히 함. 喪은 부모님이 돌아가셔서 상을 치를 때를 뜻한다.
역주36 祭則致其嚴 : 제사 지낼 때 엄숙함을 극진히 함. 祭는 어버이께서 돌아가신 후 제사드릴 때를 뜻한다.
역주37 若夫人子之不孝也 : 若은 ~와 같은 경우. 夫는 바로 뒤의 내용을 강조하기 위한 어조사. 也는 이 구절 전체를 주어로 만들어 주는 주격조사 구실을 한다.
역주38 不愛其親而愛他人 : 자신의 어버이는 사랑하지 않으면서 다른 사람은 사랑함. 而는 동시를 나타내는 접속사.
역주39 惰其四肢 : 사지를 게을리 함. 곧 부지런히 일하지 않고 無爲徒食함을 뜻한다.
역주40 不顧父母之養 : 부모님에 대한 봉양을 돌아보지 않음. 不顧는 돌아보지 않음. 곧 염두에 두지 않는다, 관심이 없다는 뜻.
역주41 博奕好飮酒 : 장기와 바둑, 술마시기를 좋아함. 好博奕好飮酒에서 앞의 好자를 생략한 경우. 博은 장기, 奕은 바둑.
역주42 好貨財 : 재물을 아낌. 好는 아낀다는 뜻.
역주43 私妻子 : 처자식만을 사랑함. 私는 仁과 구별되는 사랑으로 私愛의 뜻.
역주44 從耳目之好 : 이목의 욕구를 따름. 耳目之好는 귀나 눈이 좋아하는 것으로 감각적인 쾌락을 뜻하는데 《孟子》에는 耳目之欲으로 되어 있다.
역주45 以爲父母戮 : 戮은 羞辱으로 부모님을 수치스럽고 욕되게 한다는 뜻.
역주46 好勇鬪狠 : 好勇은 용맹을 좋아함. 鬪狠은 성품이 사나워서 참지 못하고 잘 싸운다는 뜻.
역주47 以危父母 : 그렇게 함으로써 부모를 위태롭게 함. ‘以~’는 ‘~함으로써 ~하다’의 뜻으로 앞 구절의 행위가 초래하는 결과를 표시한다.
역주48 : 감탄사로 우리말 ‘아!’ 정도에 해당한다.
역주49 欲觀其人 行之善不善 : 그 사람이 착한지 아닌지를 살펴보고자 함. 이 문장의 주어는 불특정 다수인, 곧 세상 사람들 정도에 해당하는데 생략되어 있다. 其人行之善不善은 그 사람의 행실이 착한지 착하지 않은지를 뜻하는데 行자를 빼고 해석하는 것이 오히려 자연스럽다. 之는 주격조사.
역주50 必先觀其人之孝不孝 : 반드시 먼저 그 사람이 효도하는지 아닌지를 살펴봄.
역주51 可不愼哉 : ‘可不~哉’는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의 뜻. 哉는 감탄형 종결사. 보통 乎哉로 의문사와 겹쳐 쓰는 경우가 많다.
역주52 苟能孝於其親 則推之於君臣也 : ‘苟~則~’은 ‘만약 ~한다면 ~일 것이다’는 뜻. 推之於君臣也는 그 마음을 군신 관계에 미루어 간다는 뜻. 之는 부모에게 효도하는 마음을 지칭하는 대명사.
역주53 何往而不可哉 : 어디에 적용한들 옳지 않음이 있겠는가! 何는 의문사. 往은 가다는 뜻인데 여기서는 적용하다는 뜻으로 쓰였다. 哉는 감탄사.
역주54 然則 : 그렇다면. 여기서는 문맥상 그렇다면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는 의미로 쓰였다.
역주55 孝之於人 大矣 : 효는 사람에게 중대한 것이다. 之는 주격조사.
역주56 高遠難行之事 : 높고 멀어서 실천하기 어려운 일.
역주57 生知 : 후천적인 학습을 거치지 않고도 나면서부터 도덕적 이치를 안다는 뜻. 또는 그런 사람을 지칭.
역주58 資學問而知之 : 학문을 통해서 도덕적 이치를 앎. 資는 의지한다는 뜻. 之는 도덕적 이치를 지칭하는 대명사인데 여기서는 앞 문단에 나온 孝를 지칭한다.
역주59 學問之道 : 학문의 목적. 여기서 道는 목적을 의미한다.
역주60 將欲~ : 앞으로 ~하고자 함.
역주61 通古今 達事理 : 古今의 事理를 통달함. 通과 達은 같은 뜻.
역주62 存之於心 : 그것을 마음 속에 보존함. 存은 操存 곧 붙들어 둔다는 뜻. 之는 앞구절에 나온 古今의 事理를 지칭하는 대명사.
역주63 體之於身 : 그것을 몸에 실천함. 體는 體行 곧 몸으로 실천한다는 뜻. 之는 앞 구절과 마찬가지로 古今의 事理를 지칭한다.
역주64 可不~哉 :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역주65 玆用 : 이 때문에. 玆는 是와 같고 用은 以와 같으므로 是以와 같다.
역주66 摭其歷代要義 : 역대의 요의를 가려 뽑음. 摭은 가려 뽑는다는 뜻.
역주67 書之于左 : 그것을 왼쪽에다 기록하였다는 뜻인데 책자가 세로 조판일 경우 이후의 내용이 항상 왼쪽에 기록되기 때문에 이렇게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書之于下, 書之如左, 書之如下라고 해도 모두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는 뜻으로 쓰인다. 之는 앞의 歷代要義를 지칭하는 대명사. 于는 장소를 나타내는 전치사로 於와 같다.
역주68 : 새로운 문장을 시작하기 위해서 아무 의미없이 집어넣은 發語辭에 해당하므로 번역하지 않는 것이 무난하다.
역주69 : ~로부터. 장소나 시기를 한정하는 구실을 하는데 보통 以至와 함께 쓰이며 때에 따라 ‘自’만 쓰거나 ‘自~至’만을 쓰기도 한다. 모두 ‘~로부터 ~에 이르기까지’의 뜻으로 쓰인다. 여기서도 다음의 五行相生 앞에 以至가 생략되어 있다.
역주70 太極肇判 : 태극이 처음으로 판별됨. 肇는 始와 같다.
역주71 陰陽始分 : 음양이 처음으로 나누어짐.
역주72 五行相生 : 五行이 서로 생성됨. 오행은 金木水火土의 다섯 원소를 지칭하는데 相生관계는 통상 木→火→土→金→水의 순서로 순환한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朱子學에서는 그와 같은 순서를 따르지 않고 火와 水가 먼저 생성되고 각각 木과 金을 생성한다고 설명한다.
역주73 先有理氣 : 먼저 理와 氣가 있음.
역주74 林林總總 : 林林은 나무가 무성한 모양, 總總은 사람이나 풀 등이 많은 모양.
역주75 於是 : ‘이에, 이런 상황에서, 이 때에’ 등과 같은 의미로 다음 단계를 진술하려고 미리 예비하는 역할을 하는 접속사로 쓰였다.
역주76 聖人首出 : 성인이 먼저 나옴. 首出은 먼저 나왔다는 뜻이지만 여기서는 우뚝한 존재로 이 세상에 나타났다는 뜻으로 쓰였다.
역주77 繼天立極 : 繼天道 立人極의 줄임말로 天道를 이어서 人道를 세웠다는 뜻. 極은 표준으로 여기서는 인간이 따라야 할 도덕적 준칙을 뜻한다.
역주78 天皇氏 地皇氏 人皇氏 : 고대 전설상의 임금으로 三皇이라고 하면 이 세 사람을 지칭하기도 한다.
역주79 有巢氏 : 인간에게 처음으로 집을 짓고 사는 방법을 알려 주었다고 하는 전설상의 인물. 巢는 새둥지를 의미하는데 새가 집을 짓는 것을 보고 이에 착안하여 사람이 사는 집을 만들었다고 한다.
역주80 燧人氏 : 역시 전설상의 인물로 인간에게 처음으로 불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 주었다고 전해진다.
역주81 是爲太古 : 이들이 태고시절 사람이다. 是는 앞의 여러 사람을 지칭.
역주82 書契 : 서계문자. 뒤에 나오는 伏羲氏가 만들었다고 하는 문자로 나무를 깎은 다음 그 부분에 문자를 새겼다고 한다.
역주83 不可考 : 상고할 수 없음. 考는 고찰하다, 상고하다는 뜻.
역주84 伏羲氏 : 전설상의 인물로 ‘人頭蛇身 : 사람의 머리에 뱀의 몸뚱이’의 형상을 지니고 있었다고 전해지는데 太昊라고도 부른다. 뒤에 나오는 神農, 黃帝와 더불어 三皇 중의 한 명으로 일컬어지며 문헌에 따라 包犧, 包羲, 伏犧 등으로 표기가 약간씩 다르다.
역주85 始畫八卦 : 처음으로 8괘를 그림. 8괘는 乾‧兌‧離‧震‧巽‧坎‧艮‧坤으로 각각 하늘‧연못‧불‧우레‧바람‧물‧산‧땅을 상징하는 기호로 주역의 64괘를 이루는 기본 요소이다.
역주86 以代結繩之政 : 結繩으로 하던 정치를 대신함. 結繩은 상고시대에 매듭을 묶어서 간단하게 의사를 소통했던 수단이다.
역주87 神農氏 : 炎帝 또는 烈山氏라고 하는데 ‘牛頭人身 : 소의 머리에 사람의 몸뚱이’의 형상을 지니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신농씨는 그 모습에서 알 수 있듯이 農耕神이자 太陽神으로 알려져 있다.
역주88 作耒耜 : 쟁기와 보습을 만듬. 耒는 쟁기, 耜는 보습으로 쟁기 아랫부분의 삽을 말하는데 쇠로 된 것도 있고 나무로 된 것도 있다.
역주89 製醫藥 : 의약을 제조함. 전설에 의하면 신농씨는 하루에 70가지 이상의 毒草를 직접 맛보면서 약효를 알아냈다고 하는데 결국 斷腸草라는 풀을 씹고는 창자가 끊어져 목숨을 잃었다고 한다.
역주90 黃帝氏 : 앞의 복희, 신농과 함께 삼황의 하나로 사방을 다스리기 위해 얼굴이 네 개였다고 하는데 軒轅이라는 곳에 살았기 때문에 軒轅氏라고도 한다.
역주91 用干戈 : 창과 방패를 사용함.《史記‧五帝本紀》에 의하면 천하의 제후들이 서로 공격하는 일이 일어났는데도 神農氏가 바로잡지 못하자 黃帝가 창과 방패를 이용하여 그들을 바로잡았다고 한다. 뒤이어 阪泉에서 신농씨와 싸워 이기고 𣵠鹿의 들판에서 蚩尤와 싸워 이김으로써 천하를 다스리게 되었다고 한다.
역주92 作舟車 : 배와 수레를 처음으로 만듬.
역주93 造曆算 : 책력과 계산법을 만듬. 曆은 책력을 말하고 算은 계산법을 의미한다.
역주94 制音律 : 음률을 제정함.
역주95 三皇 : 삼황은 기록에 따라서 앞의 天皇氏‧地皇氏‧人皇氏를 지칭하기도 하고 여기서처럼 伏羲氏‧神農氏‧黃帝氏를 지칭하기도 한다. 또 문헌에 따라서는 燧人氏‧祝融氏‧女媧氏 등을 꼽는 경우도 있다.
역주96 至德之世 : 지극한 덕이 유지되었던 시대. 至德은 당시 백성들의 순박성을 표현한 것이다.
역주97 無爲而治 : 인위적인 정치를 베풀지 않고 천하를 다스림. 이상 정치가 구현되었다는 뜻으로 쓰인다.
역주98 少昊 : 역시 중국 상고시대 전설상의 임금으로 金天氏라고도 불린다. 黃帝의 아들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太昊 伏羲氏의 법을 닦았기 때문에 그에 상대하여 少昊라고 일컫는다.
역주99 顓頊 : 黃帝의 손자로 高陽氏라고도 한다.
역주100 帝嚳 : 황제의 증손으로 高辛氏라고도 하는데 태어나면서 자신의 이름을 스스로 말했다고 한다. 陳鋒氏의 딸에게 장가들어 摯와 放勳을 낳았는데 방훈이 곧 堯임금이다.
역주101 帝堯 : 帝嚳의 아들로 陶唐氏라고도 한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인 《書經》에서는 요임금 때부터 기록을 시작하고 있다.
역주102 帝舜 : 瞽瞍의 아들로 앞에 나온 것처럼 효행으로 유명하다. 有虞氏라고도 한다. 요임금으로부터 제위를 물려받아 천하를 다스렸다.
역주103 五帝 : 역시 기록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예컨대 《史記‧五帝本紀》에 따르면 이 책의 기록과는 달리 黃帝, 顓頊, 帝嚳, 帝堯, 帝舜을 오제로 분류한다.
역주104 皐夔稷契 : 모두 요임금과 순임금 때의 신하로 皐는 皐陶로 요임금 때의 명신이었고 夔는 樂官이었다. 또 稷은 后稷으로 오곡을 파종하는 농사 담당관인데 周나라의 시조로 알려져 있고, 契은 司徒로 교육 담당관이었으며 殷나라의 시조로 알려져 있다.
역주105 佐堯舜 : 요임금과 순임금을 보좌함.
역주106 卓冠百王 : 卓은 우뚝한 모습. 冠은 으뜸이라는 뜻. 百王은 모든 왕을 의미. 곧 요순의 정치가 모든 왕 중에서 으뜸이라는 뜻이다.
역주107 孔子定書 : 공자가 《서경》을 산정함. 書는 《書經》, 定은 刪定한다는 뜻. 흔히 공자가 《서경》을 산정했다고 전해지나 직접적인 근거는 없다.
역주108 斷自唐虞 : 당우시대부터 단정함. 唐과 虞는 각각 요임금과 순임금이 다스린 나라 이름이다. 요임금 이전에도 신농, 황제, 소호, 전욱, 제곡 등의 임금들이 천하를 다스렸지만 공자가 서경을 刪定하면서 당우시대의 기록만 보존하였다는 뜻.
역주109 夏禹 : 夏는 우임금이 다스린 나라 이름. 禹는 치수를 이루는 공적을 인정받아 순임금을 이어 천하를 다스렸다고 전해진다. 우임금의 공적은 《書經‧禹貢》에 자세히 전한다.
역주110 商湯 : 商은 탕임금이 세운 나라 이름. 湯은 夏나라의 마지막 임금인 桀을 정벌하여 멸망시키고 商을 세웠다. 盤庚 때 殷으로 천도하면서 국호를 殷으로 바꾸었다.
역주111 周文王武王 : 周는 武王이 세운 나라 이름. 《孟子》에 따르면 周나라는 文王 때 천하의 삼분의 이를 차지했지만 계속 殷의 마지막 임금 紂를 섬기다가 武王 때에 이르러 은나라를 쳐부수고 천하를 차지했다.
역주112 三王 : 하‧은‧주의 세 왕조를 지칭하여 三代 혹은 三王이라고 일컫는다.
역주113 歷年 : 王朝가 천하를 다스리는 동안 거친 해. 곧 한 왕조가 지속된 기간을 의미한다.
역주114 三代之隆 : 삼대의 융성함. 구체적으로는 문물의 융성함을 지칭.
역주115 後世莫及 : 삼대 이후의 후세는 삼대 시절에 미치지 못함.
역주116 商之伊尹傅說(열) : 商나라의 伊尹과 傅說. 이윤은 탕임금을 도와 천하를 다스리게 하여 상나라를 세우는데 기여한 신하이고 부열은 고종 때 은나라를 중흥시킨 인물로 유명하다. 자세한 내용은 《書經‧伊訓》, 《書經‧說命》에 나온다.
역주117 周之周公召公 : 周나라의 周公과 召公. 주공의 이름은 旦이고 소공의 이름은 奭인데 모두 武王의 동생으로 조카인 成王을 보필하여 주나라 문물의 기초를 닦았다고 전해진다.
역주118 制禮作樂 : 예악을 제정함.
역주119 典章法度 : 전장은 모범이 되는 법전이라는 뜻으로 전장과 법도는 같은 뜻이다.
역주120 粲然極備 : 粲然은 부사로 ‘찬란하게’에 해당한다. 極備는 극도로 갖추어졌다는 뜻으로 完備와 같다.
역주121 及其衰也 : 其衰는 주나라의 세력이 약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역주122 五覇摟諸侯 : 五覇가 제후들을 이끔. 오패는 이른바 춘추오패를 의미하는데 뒤에 나오는 다섯 임금을 지칭한다. 五覇는 중국 춘추시대 다섯 명의 覇者라는 뜻으로 春秋五覇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제후들을 모아 국제조약을 체결한 다음 그 조약의 盟主가 된 자를 패자라고 한다. 《荀子》의 기록에 따르면 齊桓公, 晉文公, 楚莊王, 吳闔閭, 越勾踐을 가리키는데, 이 책의 경우처럼 秦穆公, 宋襄公이나 吳王 夫差 등을 대신 꼽는 경우도 있다.
역주123 以匡王室 : 以는 기구격 조사로 ‘~함으로써’의 뜻. 匡은 正과 같은 글자로 쓰이는데 당시 有名無實했던 周나라 왕실의 위엄을 바로 세웠음을 의미한다.
역주124 齊桓公 : 春秋五覇의 첫번째 인물. 내란으로 형 襄公이 살해된 후, 이복동생 糾를 몰아내고 즉위하였는데 鮑叔牙의 진언을 받아들여 糾의 신하였던 管仲을 재상으로 기용하여 그의 협력으로 제후들의 패자로 군림하였다. 특히 葵丘에서의 회맹으로 覇者의 자리가 확립되었다고 전해진다. 또 山戎을 쳐서 燕나라를 지원하고, 魯나라의 내란 평정에 힘을 기울이는 한편, 내정에서는 군사력을 강화하고 상공업을 육성함으로써 국가를 튼튼히 하였다. 그러나 관중 사후에는 거듭된 실정으로 인하여 비참한 말로를 맞이하였다.
역주125 晉文公 : 역시 오패 중의 한 사람. 이름은 重耳. 아버지였던 獻公에게 미움을 받아 추방되어 국외에서 19년을 전전하다가 義兄이었던 秦穆公의 도움으로 晉나라에 복귀하여 62세에 즉위하였다. 그는 狐偃, 趙衰, 先軫 등 뛰어난 인물들을 등용하여 당시 망명 중이던 周나라의 襄王을 도와 난을 평정하여 양왕을 복위시키는가 하면 宋나라를 도와 중원으로 진출하려던 楚나라의 세력을 진압하였다. 그 뒤 踐土에서 주나라의 양왕을 맞아 제후들과 동맹을 결성했는데 그 때부터 제후들의 패자로 군림하였다. 齊桓公과 비교할 때 통치한 기간은 짧았지만 진나라는 그의 사후에도 상당기간 동안 강대국의 면모를 유지하였다.
역주126 宋襄公 : 송의 桓公이 죽은 다음 임금이 된 인물로 앞서 환공이 병석에 있을 때 태자였던 그는 庶兄이었던 目夷에게 태자의 자리를 양보했으나 목이가 끝내 사양하였다. 그래서 그가 환공을 이어 왕이 되어 襄公이라 일컫고 목이를 재상에 임명했다. 왕위에 오른 지 7년 후, 춘추시대의 첫 覇者였던 齊桓公이 죽자 양공은 패자가 될 야먕을 품고는, 우선 후계 다툼이 벌어지고 있던 제나라로 쳐들어가 공자 昭를 세워 자신의 추종 세력을 만들었다. 이후로 점점 세력을 확장하던 양공은, 기원전 639년 가을에는 송‧제‧초 세 나라의 군주를 불러모아 그 盟主가 되려다 초나라 成王의 강력한 반발로 망신을 당했다. 그러나 이에 굽히지 않고 양공은 이듬해 鄭나라가 초에 굴복하자 이를 책망하여 정나라를 쳤다. 그러자 그 해 가을 초나라는 정나라를 구원하기 위해 대군을 파병하였고 양공은 군사를 동원하여 이에 대항하였지만 전쟁에 패함으로써 패업을 이루지 못했다.
역주127 秦穆公 : 秦나라가 천하를 통일할 수 있는 기초를 세운 군주로 평가받는 穆公은 百里奚‧蹇叔 등 뛰어난 인재를 등용해 정치를 개혁하고, 이웃 晉나라와 싸워 河西 지역을 장악하는 한편, 西戎 출신이었던 由余를 등용하여 서방 이민족을 통합하고 영토를 1,000여리에 이르도록 확장하여 서방의 覇者가 되었다.
역주128 楚莊王 : 楚나라는 周왕조시대 지금의 湖北省 지역을 중심으로 활약한 나라로, 시조는 五帝의 하나인 顓頊의 자손 季連이라고 전해진다. 특히 莊王은 B.C. 597년 晉나라 군대를 격파함으로써 결국 중원의 覇者로 군림하였다.
역주129 迭主夏盟 : 차례대로 중국의 맹약을 주도함. 迭은 부사로 ‘차례대로 돌아가면서’의 뜻. 主는 주도한다는 뜻. 夏는 원래 禹임금이 다스린 나라 이름이지만 이후 오랑캐 나라와 구별하는 의미에서 中國 또는 中華를 지칭하는 말로 쓰였다.
역주130 王靈不振 : 王靈은 주나라 天子의 靈明함, 곧 위엄을 의미한다. 천자가 직접 제후들을 통제하지 못하고 오패의 힘을 빌어 통치했기 때문에 위엄이 떨쳐지지 못했다고 한 것이다.
역주131 天縱之聖 : 하늘이 한정짓지 않고 놓아준 성인. 縱은 ‘놓아주다. 내버려두다’는 뜻인데 여기서는 ‘한정짓지 않았다’는 뜻으로 쓰였다.
역주132 轍環天下 : 수레바퀴 자국이 온 천하를 돔. 곧 수레를 타고 천하를 돌아다님. 각지를 두루 돌아다님을 비유한 것이다.
역주133 道不得行于世 : 道가 세상에서 시행되지 못함. 道는 공자의 정치적 이념을 지칭한다.
역주134 刪詩書 : 詩書를 산정함. 《論語》 등의 기록을 참고해 볼 때 공자가 시서를 중심 교재로 제자들을 가르친 것만은 확실하다. 그러나 공자가 직접 詩와 書를 산정했다는 확증은 아직 없다.
역주135 定禮樂 : 禮와 樂을 결정함. 공자가 예를 중시한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또 《論語》에 “내가 衛나라에서 돌아온 뒤에 음악이 바로 세워졌다.”고 말한 것으로 보아 예악을 재정립하는 데 관심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역주136 贊周易 : 주역을 찬술함. 贊은 부연해서 설명했다는 뜻인데, 현존하는 《周易》 중에서 경문을 제외한 十翼(繫辭傳‧說卦傳‧序卦傳‧雜卦傳‧象傳‧彖傳‧文言傳)은 전통적으로 공자가 저술한 것으로 전해져 왔다. 그러나 실제로는 전국시대의 유가학자가 공자의 권위를 빌어 저술한 것으로 추정된다.
역주137 修春秋 : 春秋를 편수함. 《孟子》에서 “공자가 《春秋》를 짓자 亂臣과 賊子들이 두려워했다.”고 한 기록을 근거로 하면 공자가 직접 《춘추》를 저술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후 많은 학자들이 공자가 《춘추》를 저술했다는 사실을 믿을 수 없다고 부인하기도 했는데 현재로서는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역주138 繼往聖 : 往聖은 지나간 성인, 곧 堯‧舜‧禹‧湯‧文‧武‧周公을 지칭하는데 구체적으로는 그들의 道를 계승했다는 뜻이다.
역주139 開來學 : 開는 開導로 인도하다는 뜻. 來學은 後來의 학자, 곧 後學을 뜻한다.
역주140 傳其道者 : 道를 전수받은 사람. 其道는 공자의 道를 지칭한다.
역주141 顔子 : 공자의 제자로 이름은 回. 공자가 “三月不違仁 : 석달 동안 仁을 어기지 않는다.”고 인정했던 가장 뛰어난 제자로 공자보다 먼저 죽었다. 《論語》에는 그가 죽었을 때 공자가 “天喪予 : 하늘이 나를 버리셨다.”고 통곡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역주142 曾子 : 역시 공자의 제자로 이름은 參. 효행으로 유명하다. 《孝經》은 공자와 증삼의 대화로 엮어져 있다.
역주143 事在論語 : 일이 《論語》에 있음. 곧 그 일에 대한 기록이 《論語》에 나와 있다는 뜻.
역주144 大學 : 四書 중의 하나로 원래 《禮記》의 한 편이었는데 송나라 때 司馬光이 처음으로 독립시켜 《大學廣義》를 만들었다. 그 뒤 朱熹가 《大學章句》를 만들어 經1章과 傳10章으로 구별하여 주석함으로써 세상에 널리 퍼져 마침내 四書 중의 하나로 중시되었다. 주희는 《대학》의 經文은 공자의 말을 증자가 기술한 것이고 傳은 증자의 뜻을 증자의 門人이 기록한 것이라고 했는데 명확한 근거는 없다.
역주145 列國 : 여러 나라. 곧 天子國인 周나라에 조공을 바치는 여러 제후국들을 지칭한다.
역주146 干戈日尋 戰爭不息 : 창과 방패가 날마다 이어져 전쟁이 끊이지 않음. 干戈日尋과 戰爭不息은 기본적으로 같은 뜻이다. 곧 전쟁이 종식되지 않은 내용을 구체적으로 형용한 것이 干戈日尋이다. 息은 熄과 같다.
역주147 遂爲戰國 : 마침내 전국시대가 됨. 일반적으로 B.C. 8세기에서 B.C. 3세기에 이르는 중국 고대의 변혁시대를 춘추전국시대라고 하는데 춘추시대의 시초는 B.C. 770년, 周왕조가 洛陽으로 천도한 후로, 魯나라의 연대기 《春秋》의 최초의 해(B.C. 722)라고 한다. 전국시대의 시초는 晉의 大夫였던 韓氏‧魏氏‧趙氏 가 실권을 잡은 해(B.C. 453), 또는 이 세 귀족이 周나라 天子의 허락을 받아 諸侯로 승격한 해(B.C. 403)를 지칭하며, B.C. 221년 秦나라 始皇帝의 통일로 끝이 난다.
역주148 是爲七雄 : 이들을 七雄이라고 함. 전국시대 중국의 패권을 놓고 대립한 7대 강국을 지칭하는데 동방의 齊, 남방의 楚, 서방의 秦, 북방의 燕, 그리고 중앙의 韓‧魏‧趙 세 나라를 가리키는 말이다. 춘추시대에는 독립된 소도시 국가가 100여 개나 산재하고 있었으나 중기 이후 농업 생산력이 증대되고 상업경제가 발달함에 강대한 영역국가가 형성되었는데 七雄이란 이러한 강대국가를 일컫는 말이다.
역주149 子思 : 공자의 손자로 이름은 伋이고 子思는 字로서 四書의 하나인 《中庸》의 저자로 전해진다. 평생 동안 고향인 魯나라에 살면서 曾子의 학문을 배워 유학의 전승에 힘썼다.
역주150 生斯時 : 生於斯時의 줄임. 斯時는 이 시대, 곧 전국시대를 지칭한다.
역주151 中庸 : 孔子의 손자인 子思의 저작이라고 전해진다. 원래 《大學》과 마찬가지로 《禮記》 속에 포함되어 있었는데 宋나라 때 독립되어 四書 중의 하나가 되었다. 한편 朱熹는 《中庸章句》라고 하는 注釋書를 지었는데, 子思가 道學이 실전되는 것을 근심하여 《中庸》을 저술했다고 했다.
역주152 其門人之弟孟軻 : 門人은 자사의 제자를 지칭하며 弟는 제자를 의미한다. 《史記》에 의하면 맹자는 자사의 문인에게 수업한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맹자는 자사의 제자의 제자인 셈이다. 그런데 기록에 따라서 맹자가 자사에게 직접 배웠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
역주153 陳王道於齊梁 : 제나라와 양나라에서 왕도정치를 진술함.
역주154 道又不行 : 孔子에 이어서 맹자의 道도 시행되지 못했다는 뜻에서 又不行이라고 한 것이다.
역주155 作孟子七篇 : 《孟子》 7편을 저술함. 《孟子》는 〈梁惠王〉, 〈公孫丑〉, 〈滕文公〉, 〈離婁〉, 〈告子〉, 〈萬章〉, 〈盡心〉의 7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맹자가 직접 저술에 참여했는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분분하다.
역주156 異端 : 이단의 학문. 異端은 맹자 당시에는 楊朱와 墨翟의 학설을 지칭했지만 후세에는 道敎나 佛敎를 지칭한 경우가 많다.
역주157 縱橫 : 合縱連橫의 줄임말. 전국시대에 가장 강대한 국가였던 秦과 燕‧齊‧楚‧韓‧魏‧趙의 6국 사이의 외교 전술로 合縱은 당시 여러 나라를 유세하고 다니던 蘇秦이 연나라를 시작으로 6국을 縱으로 연합시켜 서쪽의 강대한 진나라와 대항하는 동맹을 체결토록 한 것을 지칭한 것이다. 그 뒤 張儀가 다시 6국의 제후들을 설득하여 합종을 깨고 개별적으로 진과 동맹을 맺어 진나라에 협력하는 국제 질서를 만들었는데 이를 連橫이라고 한다.
역주158 功利之說 : 功利는 이익을 추구한다는 뜻인데, 구체적으로는 부국강병을 통해 국가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法家 사상을 지칭한 것이다.
역주159 吾道不傳 : 유학의 도가 전수되지 못함. 吾道는 우리 유학의 도라는 뜻으로 吾儒, 斯文 등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역주160 秦始皇 : 始皇帝라고도 하는데 중국 최초의 중앙집권적 통일제국인 秦나라를 건설한 전제군주로 성은 嬴이고 이름은 政이다. 법가사상가인 李斯 등을 중용하여 강력한 부국강병책을 추진하여 B.C. 230~B.C. 221년에 6국을 차례로 멸망시키고 천하를 통일하였다. 통일 후 스스로 시황제라 일컫고 강력한 중앙집권정책을 추진, 민간의 무기 소지를 금지하여 반란의 소지를 제거하였으며, 사상의 통일을 위해 焚書坑儒를 단행하였다. 대외정책에도 적극성을 보여 북으로는 匈奴族을 격파하여 황하 이남의 땅을 수복하고 전국시대 각국의 城을 대대적으로 개축하여 만리장성을 건설하였다.
역주161 呑二周 滅六國 : 두 주나라를 삼키고 여섯 제후국을 멸망시킴. 二周는 西周와 東周를 지칭하는데 서주는 주나라가 서쪽 鎬京에 도읍하고 있을 때를, 동주는 동쪽 洛陽으로 천도한 뒤를 일컫는다. 六國은 전국칠웅 중에서 진나라를 제외한 楚‧燕‧齊‧韓‧魏‧趙의 여섯 나라를 지칭한다. 따라서 呑二周와 滅六國은 사실상 천하를 통일시켰다는 뜻으로 같은 의미이다.
역주162 廢封建爲郡縣 : 봉건제도를 폐지하고 군현제도를 시행함. 봉건제도는 원래 주나라가 천하를 다스린 방식으로, 천자가 친척들에게 일정한 지역을 食邑으로 준 다음 조공을 바치게 하는 식의 느슨한 통치 형태였다면 군현제는 중앙정권에서 직접 관리를 파견하여 세금을 징수하는 형태의 중앙집권적 통치 형태이다.
역주163 焚詩書 坑儒生 : 시서를 불태우고 유생들을 생매장함. 진시황이 단행한 학문 탄압정책으로 《史記‧秦始皇本紀》에 자세한 내용이 전한다.
역주164 二世而亡 : 두 세대만에 멸망함. 진시황이 죽은 다음 승상 李斯와 환관 趙高가 짜고 유언을 위조하여 胡亥를 二世皇帝로 옹립하였으나, B.C. 209년 이후 시작된 陳勝‧吳廣의 농민반란으로 秦제국은 급속히 와해되기 시작하여 결국 항우와 유방에 의해 멸망당한다.
역주165 漢高祖 : 성은 劉이고 이름은 邦이다. 漢나라의 제1대 황제로 농가에서 태어났으나 일찍이 遊俠의 무리들과 교유하였다. 秦나라 말기에 陳勝‧吳廣이 반란을 일으키자 각지에서 군웅이 봉기하였는데 이 때 유방도 지역 주민들의 추대를 받아 진나라 타도에 참가하였다. 진나라 멸망 후 그는 4년간에 걸친 항우와의 쟁패전에서, 蕭何‧曹參‧張良‧韓信 등의 도움으로 垓下의 결전에서 항우를 대파하고 천하를 통일하였다. B.C. 202년 황제가 되어 수도를 長安으로 결정하였다.
역주166 起布衣成帝業 : 포의로 일어나 제업을 달성함. 布衣는 베옷으로 평민의 복장을 지칭한다. 한고조는 귀족출신이 아니었기 때문에 포의로 일어났다고 표현한 것이다. 帝業은 천하를 통일하여 황제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역주167 明帝 : 明帝는 후한의 제2대 황제로 이름은 莊이다. 《春秋》와 《尙書》에 통달하였다고 전해지는데 황제가 된 뒤 안으로는 유학자들을 중용하여 내정을 안정시키고 밖으로는 북흉노를 격퇴하는 등 외정에도 업적이 많았다. 67년에 꿈을 꾼 후 불교에 歸依하고, 서역에서 승려를 불러 洛陽에 사원을 세웠다는 전설이 있다.
역주168 西域佛法 始通中國 : 서역의 불교가 처음으로 중국에 유통됨. 서역은 중국을 기준으로 볼 때 인도가 서쪽에 있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불교가 중국에 처음으로 전래된 것은 前漢 哀帝 때라고 하는 설이 유력하지만 여기서처럼 後漢 명제 때라고 보는 입장도 있다.
역주169 惑世誣民 : 세상을 미혹시키고 백성을 속임. 불교의 폐단을 지적하여 한 말이다.
역주170 蜀漢 : 중국 삼국시대에 전한 景帝의 후손 劉備가 221년 蜀에 창건한 나라. 유비는 諸葛亮의 협력을 얻어 천하를 三分할 계획을 세우고 成都를 도읍지로 정하여 황제가 되었다. 263년 魏軍의 대공격에 劉禪이 항복함으로써 멸망하였다.
역주171 : 역시 중국 삼국시대 孫權이 222년 建業에 세운 나라. 吳는 손권 때 위세를 떨쳤으나 그가 죽자 내란이 자주 일어나 결국 280년에 멸망하였다.
역주172 : 역시 중국 삼국시대 삼국 중의 하나로 曹操의 아들 曹丕(文帝)가 후한의 헌제에게 양위를 강요하여 洛陽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이다. 265년 司馬炎에 의하여 멸망당했다.
역주173 三國鼎峙 : 삼국이 솥발처럼 대치함. 三國鼎立이라고도 한다.
역주174 諸葛亮 : 중국 삼국시대 蜀漢의 정치가이자 전략가. 孔明은 그의 字.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숙부 諸葛玄의 손에서 자랐다. 후한 말기 전란을 피하여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으나 전략가로서 명망이 높아 臥龍先生이라 불리웠다. 207년 유비의 초빙을 받아들여 그의 신하가 된다. 이듬해 吳의 孫權과 연합하여 남하하는 조조의 대군을 赤壁에서 대파하고, 형주와 益州를 유비의 영토로 삼았다. 그 후에도 수많은 戰功을 세웠고, 유비가 죽은 뒤에도 劉禪을 보필하여 魏와 싸웠으나 위의 장군 司馬懿와 대치 중 五丈原에서 병으로 죽었다. 그가 지은 《出師表》는 千古의 명문으로 손꼽힌다.
역주175 仗義扶漢 : 의리를 지켜 한나라를 유지함. 仗義는 의리를 지켰다는 뜻으로 촉한의 유비가 전한 景帝의 후손이기 때문에 한나라의 정통성을 이었다고 본 것이다.
역주176 病卒軍中 : 병으로 군중에서 죽음. 제갈량은 五丈原에서 魏의 군대와 대치 중에 병으로 죽었다.
역주177 晉有天下 : 晉이 천하를 소유함. 곧 晉이 천하를 다스렸다는 뜻. 曹丕가 세운 魏나라는 명문 출신자가 관계를 독점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司馬氏의 세력이 강대하여 결국 265년 司馬炎은 魏의 元帝에게 양위를 강요하여 제위에 오른다.
역주178 五胡亂華 : 다섯 오랑캐 나라가 중화를 어지럽힘. 五胡는 304년부터 439년 北魏의 통일까지 중국 화북지역에서 흥망했던 다섯 나라를 지칭한다. 당시 화북에서는 흉노족, 터키계, 티베트계 등의 이민족이 잇달아 정권을 수립하여 흥망을 거듭하였는데 이민족이 중국을 지배한 최초의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역주179 宋齊梁陳 : 중국 남북조 시대에 남조에서 흥망했던 네 나라이다.
역주180 南北分裂 : 남조와 북조로 찢어짐. 南北朝時代는 晉나라와 隋나라 중간시대에 해당하며, 이 동안 중국은 남북으로 분열되어 각각 왕조가 교체해서 흥망하였다. 남조는, 漢族 왕조인 宋나라의 文帝에서 시작되어 齊‧梁‧陳의 4왕조가 교체하여 나라를 세웠다가, 589년 晉이 隋의 文帝에게 멸망될 때까지를 가리킨다. 북조는 五胡十六國의 혼란을 수습한 北魏의 太武帝 때부터 시작되어, 이 북위가 東魏와 西魏로 분열하고 동위는 北齊로, 서위는 北周로 교체되었다가 북주가 북제를 멸망시키고 한때 화북지역을 통일하였으나, 얼마 못가서 외척 楊堅이 제위를 양위받고 건국한 隋가 남조 최후의 왕조인 晉을 멸망시키고 중국천하를 통일한 때까지를 말한다.
역주181 隋能混一 : 隋나라가 혼란한 세상을 통일시킬 수 있었음. 한 때 화북지역을 장악했던 북주와 진을 북주의 외척이었던 양견이 멸망시키고 천하를 통일했는데 이가 곧 隋文帝이다.
역주182 唐高祖 : 당나라를 세운 李淵을 말한다. 수나라가 3차례의 고구려 원정에서 대패하여 혼란에 빠지자 수의 귀족이었던 이연은 여러 지방 세력과 결탁한 후 아들 建成‧世民과 함께 군비를 갖춰 617년 여름 군사를 일으켜, 3만의 군대를 거느리고 11월에 수도 長安을 점령하였다. 명목상 煬帝의 손자를 추대하고, 자신은 唐王이 되어 關中에 군림하다가 이듬해 揚子江 기슭으로 피한 양제가 살해되자, 스스로 帝位에 올라 당나라를 세웠다.
역주183 太宗 : 唐나라의 제2대 황제로 이름은 世民이다. 중국 역사상 손꼽히는 明君으로 전해지는데 무술과 병법에 뛰어났고 결단력과 포용력이 있어 어렸을 때부터 신망이 두터웠다고 한다. 隋나라 煬帝의 실정으로 내란이 일어날 조짐을 보이자, 아버지 이연을 설득하여 거병, 장안을 점령하고 당나라를 세웠다. 그 뒤 형이었던 건성과 다투어 그를 쓰러뜨리고, 626년에 아버지의 양위를 받아 제위에 올랐다. 이어서 突厥族을 비롯한 사방의 이민족을 제압하여 방대한 제국을 이루었다. 그후 魏徵을 중용하여 이른바 貞觀의 治世를 이루었지만 만년에는 고구려 정벌의 실패로 그가 죽은 뒤에는 정권이 동요하게 되었고, 마침내 則天武后가 실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역주184 乘隋室亂 : 수나라 왕실의 어지러움을 틈탐. 곧 수나라의 연이은 고구려 정벌 실패로 내란이 일어나게 되는 상황을 이용했다는 뜻.
역주185 化家爲國 : 일개 집안을 변화시켜 국가를 세움.
역주186 五季 : 중국에서 唐나라가 멸망한 907년부터, 979년 宋나라가 중국을 통일하기까지 약 70년에 걸쳐 흥망한 여러 나라와 그 시대를 지칭한다. 그 중 오계는 통칭 五代라고 하는데 華北지역을 지배했던 正統王朝의 계열로 볼 수 있는 後梁‧後唐‧後晉‧後漢‧後周의 다섯 왕조로 역사학자들이 그 이전의 왕조와 구별하기 위해 앞에 後자를 붙였다.
역주187 朝得暮失 : 아침에 나라를 세웠다가 저녁에 잃어버림. 왕조의 수명이 짧은 것을 과장해서 표현한 것이다.
역주188 大亂極矣 : 대란이 극에 달함.
역주189 宋太祖 : 五季 유일의 명군으로 알려진 後周의 世宗이 죽은 뒤 황후가 정치를 담당하게 되자 장군 趙匡胤이 960년 근위병의 추대를 받아 천자의 자리에 올랐는데 이가 바로 송태조이다. 그는 황제가 된 다음 당나라와 오계는 과도한 군사력 때문에 통치에 무리가 있었다고 판단하여 문치주의를 표방하여 문관을 우대하는 정책을 펼쳤다.
역주190 立國之初 : 국가를 세운 초기.
역주191 五星聚奎 : 다섯 개의 별이 奎라는 별자리에 모임. 五星은 다섯 개의 별로 金星‧水星‧火星‧木星‧土星이다. 奎는 二十八宿 중의 하나로 婁‧胃‧昴‧畢‧觜‧參과 함께 西方七宿에 해당하는데, 文章星으로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다섯 개의 별이 奎星에 모인 것을 송나라의 문물이 크게 부흥할 조짐으로 해석한 것이다.
역주192 濂洛關閩 : 濂은 濂溪로 周敦頤가 살았던 곳이고, 洛은 程顥와 程頤가 살았던 洛陽, 關은 關中으로 張載의 출신지인 長安을 뜻하며, 閩은 閩中으로 朱熹의 출신지이다. 곧 濂洛關閩은 뒤에 나오는 학자들의 출신 지역을 축약해서 표현한 것으로 濂洛關閩의 學이라고 하면 송대의 성리학을 지칭한다.
역주193 諸賢輩出 : 여러 현인들이 무리지어 나옴.
역주194 周敦頤 : 중국 宋나라 때의 유학자. 字는 茂叔이고 호는 濂溪이다. 만년에 廬山 기슭의 濂溪書堂에서 강학했기 때문에 염계 선생이라고 불렸다. 주요 저술로 《太極圖說》과 《通書》가 있다.
역주195 程顥 : 역시 송나라 때의 유학자로 字는 伯淳이고 호는 明道이다. 동생 程頤와 함께 二程子로 불린다. 한때 동생 정이와 함께 주돈이에게 수학하기도 했다. 저서로 《定性書》와 《識仁篇》이 유명하다.
역주196 程頤 : 程顥의 동생으로 字는 正叔. 호는 伊川이다. 伊川伯에 봉해졌기 때문에 이천 선생으로 불렸다. 형 程顥와 함께 주돈이에게 수학하였으며 송대 성리학의 기초를 수립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주요 저서로 《易傳》이 있으며, 徐必達이 편찬한 《二程全書》에 그의 사상이 수록되어 있다.
역주197 張載 : 역시 北宋 중기의 학자로 字는 子厚. 대표적인 氣철학자로 손꼽힌다. 정호, 정이와 함께 교유하면서 송대 성리학의 기초를 수립하였다. 《正蒙》과 《經學理窟》 등의 저서가 있으며, 특히 《正蒙》의 〈乾稱篇〉은 따로 독립되어 〈西銘〉이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하다.
역주198 邵雍 : 역시 宋나라의 유학자. 字는 堯夫. 康節은 그의 시호인데 康節邵先生이라 불릴 때가 많다. 司馬光 등과 교유했다. 대표적인 저술로 《皇極經世書》가 있다.
역주199 朱熹 : 중국 송대의 유학자로 朱子로 불리며 字는 元晦‧仲晦 등이고 號는 晦庵‧晦翁‧雲谷山人 등이다. 福建省 尤溪 출생. 아버지 朱松은 관직에 있었으나 당시의 宰相 秦檜와의 갈등으로 퇴직하고 우계에 은거하고 있었다. 주희는 14세 때 아버지 주송이 세상을 떠나자 아버지의 遺訓에 따라 胡籍溪‧劉白水‧劉屛山 등을 사사했는데 그 동안 불교와 도교에도 흥미를 가졌다.
그러나 24세 때 李延平을 만나 스승으로 섬기면서부터 유학으로 복귀하여 이른바 주자학으로 불리는 방대한 사상체계를 수립하였다. 그는 19세에 진사시에 급제한 이래 71세로 생을 마칠 때까지 여러 관직을 거쳤으나,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당시 재상들과의 갈등으로 宦路가 순탄치 않았으며 오히려 당시의 권신들은 그의 학문을 僞學으로 규정하여 탄압하기까지 했다.
주희의 저술은 일일이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것을 들자면 《四書集註》, 《詩集傳》, 《周易本義》, 《資治通鑑綱目》 등이 있고, 그의 유고를 정리한 것으로 막내아들 朱在가 편찬한 《朱文公文集》과 제자들과의 문답을 黎靖德이 편찬하여 수록한 《朱子語類》가 있다.
역주200 以闡明斯道 爲己任 : 유학의 도를 드러내 밝히는 것을 자신의 임무로 삼음. 斯道는 유학의 도라는 뜻인데 앞의 吾道 또는 斯文과 같은 뜻.
역주201 身且不得見容 : 자기 몸조차도 용납을 받지 못함. 위에서 거론한 학자들 중 사마광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생존 당시에는 중용되지 못했고, 주희의 경우도 조정의 권신들이 배척하여 죽을 때까지 탄압받았기 때문에 이렇게 표현한 것이다.
역주202 朱子集諸家說 : 주자가 제가의 학설을 집성함. 곧 주희가 경전 주석서를 저술할 때 송대의 여러 학자들이 이룩한 학문적 성과를 반영했다는 뜻.
역주203 註四書五經 : 사서와 오경에 주석을 붙임. 실제로 주희가 주석서를 완성한 것은 사서 전부와 오경 중의 《詩經》과 《周易》뿐이고 그 이외의 것들은 주석본을 완전하게 저술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제자들과의 문답을 기록한 《朱子語類》에는 모든 경전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므로 사서오경 모두를 주석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역주204 其有功於學者 大矣 : 학자들에게 공을 세움이 큼. 有功은 공을 세우다는 뜻이고 學者는 後學을 의미.
역주205 然而 : 然 또는 而자만 써도 같은 구실을 하지만 뒷문장과의 연결성을 강조하기 위해 두 글자를 連用했다.
역주206 國勢不競 : 국가의 세력이 강대하지 못함. 競은 强과 같다.
역주207 契丹 : 거란으로 읽는다. 원래 거란족은 퉁구스系와 몽골系의 혼혈족으로 구성된 유목민족으로 5세기 이래로 遼河 유역에 거주하였는데 당나라 말기 중원지역이 혼란에 빠지자 916년 耶律阿保機가 주변 부족을 통합한 다음 거란을 건국하여 황제를 호칭했다. 이후 中原으로 진출, 화북지역을 장악한 다음 946년 국호를 遼로 개칭하였다.
역주208 蒙古 : 몽골로 읽는데 현재에도 몽골리아(Mongolia)로 불리는 국가가 여전히 존재하지만 여기서는 13세기 초 징기즈칸[成吉思汗]이 세운 몽골민족 지배하의 제국을 지칭한다. 12세기 말엽 테무친(鐵木眞)이 몽골고원에 할거하고 있던 부족을 통합하고 맹주로 추대되어 1206년 징기즈칸이라는 칭호를 받고 즉위하였다. 그 후 몽골은 세력을 확대하여 유라시아 대륙 전체에 걸치는 방대한 제국을 건설하였다.
역주209 : 거란의 제2대 황제 태종이 946년에 개칭한 왕조. 이후 태종은 남진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으나 960년 宋이 건국됨으로써 대치하는 국면을 맞게 된다. 그러나 제6대 황제인 성종대에는 송을 공격하여 유리한 조건으로 송과 강화 조약을 맺는 등 강대한 세력을 자랑하였다.
역주210 : 여진족이 건립한 왕조로 원래 거란족이 세운 遼의 完顔府에 소속되어 있었으나, 12세기 초 세력을 키워 자립하였다. 금의 태조는 송나라와 동맹을 맺고 요의 세력을 몰아냈으며 제2대 황제 태종은 요를 멸망시키기에 이른다. 이후 금은 계속 세력을 확대하여 송나라를 강남으로 밀어내는가 하면 송으로 하여금 금에게 조공을 바치게 하였다. 그러나 제9대 황제인 哀宗에 이르러 몽골과 남송 연합군에 의해 건국 120년 만에 멸망한다.
역주211 迭爲侵軼 : 차례대로 침략함. 迭은 차례대로 돌아가면서의 뜻. 爲는 侵과 軼에 붙은 보조동사.
역주212 及其垂亡 : 망조를 드리움에 미침. 其는 송나라를 지칭한다.
역주213 文天祥 : 중국 남송시대의 학자. 字는 宋瑞‧履善 등이고 號는 文山이다. 宋이 元에 멸망하고 그도 포로가 되었으나 북송되던 중 탈출한다. 그 뒤 益王을 받들어 송나라의 유민을 규합, 원나라에 항전하였지만 다시 체포되어 독약을 먹고 자살을 기도하였으나 실패한다. 이어 연경으로 압송, 3년간 감옥에 갇혀 있었다. 원나라의 세조 쿠빌라이가 그의 재능을 높이 사 벼슬을 간곡히 권했으나 끝까지 거절하여 결국 사형당했다. 옥중에서 지은 〈正氣歌〉로 유명하다. 《文山全集》이 전한다.
역주214 竟死燕獄 : 마침내 연경의 옥에서 죽음. 燕은 燕京을 지칭하는데 당시 원의 수도 大都를 지칭하며 지금의 北京에 해당한다.
역주215 胡元 : 오랑캐 원나라. 胡는 원래 북쪽 오랑캐를 총칭하는데 여기서는 원의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는 관점에서 격하시키기 위해 胡자를 붙인 것이다. 원나라는 징기즈칸의 손자인 쿠빌라이칸[世祖]에 의해 건국되었는데 그는 1271년에 국호를 元이라 하고 제위에 올랐다. 74년에서 79년에 이르는 기간에 南宋을 멸망시킨 뒤 중국 전역을 장악했으며 고려‧일본‧베트남 등지에도 군대를 파견하는 등 동아시아 전역을 지배하는 대제국을 건설했다.
역주216 混一區宇 : 混一은 統一과 같다. 區宇는 天下‧宇宙‧四海 등과 같은 뜻인데 區는 상하와 사방의 모든 공간을 의미하고 宇는 과거‧현재‧미래의 시간을 의미한다.
역주217 綿歷百年 : 왕조가 백년 동안 이어짐. 綿은 끊어지지 않고 이어졌다는 뜻. 원나라는 1271년에 중국을 지배하기 시작하여 1368년 명태조 朱元璋에게 쫓겨 중국에서 물러난다.
역주218 夷狄之盛 : 오랑캐의 성대함. 夷와 狄은 각각 동방 오랑캐와 북방 오랑캐를 지칭하는데 여기서는 오랑캐 전체를 총칭하는 뜻으로 쓰였다.
역주219 未有若此者也 : 이와 같았던 때가 없었음. 此는 此時로 若此는 이와 같은 때를 의미한다.
역주220 天厭穢德 : 하늘이 더러운 덕을 싫어함. 穢德은 원나라를 지칭하고 있다.
역주221 大明中天 : 위대한 명나라가 하늘 한 가운데로 떠오름. 명나라를 태양에 비유하여 높이 평가한 내용이다.
역주222 聖繼神承 : 성스러운 군주와 신묘한 능력을 지닌 임금이 계승함. 聖繼와 神承은 기본적으로 같은 뜻.
역주223 於(오)千萬年 : 아! 천만년을 이어가리로다! 於는 감탄사로 우리말 ‘아!’에 해당.
역주224 嗚呼 : 감탄사.
역주225 三綱五常之道 : 삼강은 君爲臣綱 父爲子綱 夫爲婦綱으로 董仲舒의 《春秋繁露》에 처음 나온다. 五常은 다섯 가지 떳떳한 도리로 五倫을 지칭한다.
역주226 與天地 相終始 : 천지와 더불어 종시를 함께함. 곧 삼강 오상의 도리는 천지가 시작될 때부터 끝날 때까지 변치 않는 영원불변의 도리임을 강조한 말이다.
역주227 三代以前 : 삼대는 夏‧殷‧周의 삼왕시대를 지칭한다. 따라서 以前이라고 표현했지만 삼대를 포함한 이전시대를 지칭한다.
역주228 聖帝明王 : 성스러운 임금과 명철한 왕. 聖帝와 明王은 같은 뜻. 반복을 통해서 의미를 보다 분명히 전달하려는 의도에서 같은 뜻을 달리 표현한 것이다.
역주229 賢相良佐 : 어진 재상과 뛰어난 보좌관. 賢相과 良佐도 같은 뜻이다.
역주230 相與講明之 : 서로 함께 삼강 오상의 도리를 강론하여 밝힘. 之는 삼강 오상의 도리를 지칭한다.
역주231 治日常多 : 다스려진 날이 항상 많음.
역주232 亂日常少 : 어지러운 날이 항상 적음.
역주233 庸君暗主 : 용렬한 임금과 어두운 군주. 庸은 平 또는 凡과 같은 뜻인데 여기서는 劣과 같은 뜻으로 열등하다는 의미로 쓰였다. 庸君과 暗主 역시 같은 뜻인데 앞의 聖帝明王과 대비되는 내용이다.
역주234 亂臣賊子 : 亂臣은 나라의 기강을 어지럽히는 신하. 賊子는 집안의 도리를 해치는 자식을 의미한다.
역주235 相與敗壞之 : 앞의 相與講明之와 반대되는 말로 용군, 암주, 난신, 적자들이 합세하여 삼강 오상의 도리를 무너뜨린다는 뜻이다.
역주236 其所以世之治亂安危 : 세상의 치란과 안위가 결정되는 까닭. 其는 전체를 명사로 만들어 주는 구실을 하는데 해석하지 않는 것이 무난하다.
역주237 國之興廢存亡 : 국가의 흥폐와 존망. 앞의 所以는 여기까지 걸린다.
역주238 皆由於人倫之明不明如何耳 : 모두 인륜이 밝혀졌느냐 밝혀지지 않았느냐가 어떠한지에서 말미암음.
역주239 可不察哉 : 살피지 않을 수 있겠는가! 察은 자세히 살핀다는 뜻. 哉는 감탄사로 느낌표 구실을 한다.
역주240 東方 : 우리나라를 지칭한다. 중국을 기준으로 볼 때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는 관념에서 비롯된 표현이다.
역주241 初無君長 : 처음에는 군장이 없었음. 君長은 통치자를 의미한다.
역주242 有神人 : 神人은 桓因의 서자였던 桓雄을 지칭하는데 《三國遺事》의 단군신화에 의하면 환웅은 임시로 사람으로 변하여 熊女와 혼인하였다고 한다. 따라서 신인은 신과 인간의 성격을 동시에 갖추고 있었다는 뜻에서 붙여진 명칭이다. 有는 그런 사람이 있었음을 표시하는데 우리말로 번역할 때는 해석하지 않는 것이 무난하다.
역주243 降于太白山檀木下 : 태백산 박달나무 아래로 강림함. 태백산은 백두산을 지칭한다. 檀木은 박달나무인데 신성한 나무를 뜻한다. 기록에 따라서 壇木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역주244 國人 : 환웅으로 대표되는 이주민에 대비하여 그곳에 이미 정착하고 있던 원주민을 지칭한다.
역주245 立以爲君 : 세워서 임금으로 삼음. 立은 ‘임금으로 세우다’는 뜻.
역주246 與堯竝立 : 요임금과 아울러 임금의 자리에 즉위함. 곧 요임금이 나라를 세운 기원전 2333년과 같은 시기에 임금이 되었다는 뜻. 하지만 실제로 고조선이 역사에 등장하는 시기는 기원전 7세기 무렵이므로 이 내용을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역주247 朝鮮 : 여기의 조선은 古朝鮮을 지칭하는데 원래 조선이라는 호칭은 이 지역에 신선이 마시는 물(仙水)이 있다는 뜻[潮仙]으로 해석하기도 하고 아침(朝)이 새롭다[鮮]는 뜻으로도 해석하는데 어느 것이 옳은지는 자세하지 않다. 古朝鮮은 요동과 한반도 서북부 지역을 근거지로 삼았던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이다.
역주248 是爲檀君 : 이가 단군이다. 곧 단군조선이 건국되었다는 뜻.
역주249 周武王 : 주나라 무왕. 이름은 發이다. 殷나라의 마지막 임금 紂를 쳐부수고 周나라를 건국했다.
역주250 封箕子于朝鮮 : 箕子를 조선 땅에 봉함. 곧 조선을 식민지로 다스렸다는 뜻인데 이 때의 조선을 箕子朝鮮이라고 한다. 그러나 현재에는 이미 기자조선이 부정되고 있으므로 이 글의 내용을 사실로 믿을 수는 없다.
역주251 敎民禮義 : 백성들에게 예의를 가르침. 예의의 구체적인 내용은 뒤에 나오는 八條之敎이다.
역주252 設八條之敎 : 여덟 조목의 가르침을 베품. 자세한 내용은 《三國志‧魏志‧東夷傳》과 《漢書‧地理志‧燕條》에 나오는데 그 중 세 가지는 기록으로 남아 있고 나머지는 확실치 않다. 八條之敎는 八條禁法 또는 犯禁八條라고도 하며, 《三國志》의 기록에 따르면 기자가 만들었다고 전한다. 《漢書‧地理志‧燕條》에 의하면 남아 있는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 ① 사람을 죽이면 곧바로 사형에 처한다[相殺 以當時償殺]. ② 남의 신체를 상해하면 곡물로 보상케 한다[相傷 以穀償]. ③ 남의 물건을 훔치면 남자는 家奴가 되고 여자는 여종이 되어야 하며 속죄하려면 50만의 금액을 내야 한다.[相盜 男沒入爲其家奴 女子爲婢 欲自贖者 入五十萬].
역주253 有仁賢之化 : 어진 사람의 교화를 입었음. 仁賢은 어진 사람이라는 뜻인데 여기서는 기자를 지칭한다. 이 내용은 《論語‧微子》에 “微子去之 箕子爲之奴 比干諫而死 孔子曰 殷有三仁焉 : 미자는 떠나고 기자는 노예가 되고 비간은 간하다 죽었다. 공자께서 ‘殷나라에 세명의 仁者가 있었다.’고 하셨다.”고 기록한 것에 근거하고 있다.
역주254 燕人衛滿 : 사마천의 《史記》와 반고의 《漢書》에 따르면 위만은 원래 중국 연나라 사람으로, 요동 지역으로 도망하였다가 다시 고조선으로 망명하였다. 당시 고조선의 왕이었던 準王은 위만을 신임하여 변방을 수비하는 임무를 맡겼으나 위만은 그를 몰아내고 왕이 되었다. 魏滿으로 표기된 경우도 있다.
역주255 因盧綰亂 亡命來 : 노관의 난리 때문에 망명함. B.C. 195년 燕王이었던 盧綰이 漢에 반기를 들고 흉노로 망명한 사건이 일어났는데 이 때 많은 사람들이 고조선 지역으로 망명하였다. 위만도 이 때 무리 1천여 명을 이끌고 망명했다.
역주256 誘逐箕準 : 기준을 유인해서 쫓아냄. 기준은 고조선의 준왕을 말하는데 기자조선의 실체를 인정했던 조선시대에는 준왕이 기자의 후손이라고 생각해서 기준이라고 일컬었다. 위만은 기준에게 중국 군대가 쳐들어 온다고 허위로 보고, 군사를 이끌고 왕검성에 입성한 다음 箕準을 몰아내고 왕이 되었다.
역주257 據王儉城 : 왕검성을 차지함. 왕검성은 고조선의 도읍지로 오늘날의 평양에 해당한다.
역주258 右渠 : 위만의 손자 우거왕을 일컫는다.
역주259 漢武帝討滅之 : 한나라 무제가 고조선을 토벌하여 멸망시킴. 之는 고조선을 지칭한다.
역주260 分其地 : 그 지역을 나눔. 곧 고조선의 영토를 나누었다는 뜻.
역주261 置樂浪臨屯玄菟眞蕃四郡 : 樂浪‧臨屯‧玄菟‧眞蕃의 四郡을 설치함. 이른바 漢四郡을 설치했다는 뜻이다.
역주262 昭帝以平那玄菟 爲平州 : 한나라 소제가 평나군과 현도군을 합쳐서 평주로 만듬.
역주263 臨屯樂浪 爲東府二都督府 : 임둔군과 낙랑군을 동부의 두 도독부로 삼음.
역주264 浮海而南 : 바다에 떠서 남쪽으로 내려옴. 여기서 南은 동사로 남쪽으로 간다는 뜻이다.
역주265 居金馬郡 : 금마군에 정착함. 금마군은 현재의 전북 益山 일대로 통일신라 시대에는 金馬郡, 고려시대에는 益州, 조선시대에는 익산군이라고 불렀다.
역주266 馬韓 : 한반도 남쪽 지역에 분포했던 이른바 三韓 중의 하나. 대략 B.C. 1세기부터 AD 3세기에 걸쳐 한반도의 경기‧충청‧전라도 지방에 분포했던 50여개국의 연합체를 지칭한다.《三國志‧魏志‧東夷傳》의 기록에 따르면, 마한은 54개의 소국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대국은 1만여 家에 이르렀고, 작은 나라는 수천 家로, 모두 10여 만 戶에 달했다고 한다.
역주267 秦亡人 : 진나라에서 도망친 사람. 곧 중국 서북부 지역에서 마한으로 망명해 온 사람을 지칭한다. 《三國志‧辰韓》條에 따르면 중국 秦나라의 유민들이 노역을 피해 韓으로 이주해 왔는데, 마한이 동쪽 땅을 할양하여 주어 그들이 진한을 세웠다고 한다.
역주268 避入韓 : 피해서 마한 지역으로 들어옴.
역주269 韓割東界以與 : 마한이 동쪽 지역을 할양해서 그에게 줌.
역주270 辰韓 : 역시 한반도 남쪽 지역에 분포했던 三韓 중의 하나로 대략 기원전 1세기부터 4세기에 걸쳐 지금의 대구‧경주 지역에 분포했던 12개국의 연합체를 지칭한다. 《三國志‧魏志‧東夷傳》의 기록에 따르면, 진한 12개국은 큰 나라는 4,000~5,000家에 달했고, 작은 나라는 600~700家에 이르렀다고 한다.
역주271 弁韓則立國於韓地 : 변한은 마한 지역에 나라를 세웠음. 則은 주격조사로 해석하는 것이 무난. 弁韓은 弁辰이라고도 부르는데 진한과 같은 시기에 지금의 김해‧마산 지역에 분포했던 소국들의 연합체를 지칭한다.
역주272 不知其始祖年代 : 변한의 시조와 연대를 알 수 없음. 삼한 중 변한에 대한 기록이 가장 적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을 알기 어렵다.
역주273 新羅 : 김부식의 《三國史記》에 따르면, 고조선의 遺民들이 지금의 경상도 지방에 흩어져 살면서, 楊山村‧高墟村‧珍支村‧大樹村‧加利村‧高耶村 등 여섯 개의 부족을 형성하고 있다가 뒤에 박혁거세를 왕으로 삼아 徐那伐을 건국했는데 이것이 신라의 원형으로 알려져 있다.
역주274 赫居世 : 朴赫居世를 지칭한다. 신라의 시조로 여섯 부족 중 高墟村의 우두머리였던 蘇伐公이 楊山 아래 蘿井 곁에서 말이 알려준 큰 알을 얻었는데, 깨뜨려 보니 그 속에 어린아이가 있었다고 한다. 그는 성장한 뒤 매우 영특한 자질을 보였는데, 이에 부족들이 그를 왕으로 삼고 국호를 徐那伐이라 하였다고 한다. 《三國史記‧新羅本紀》에 자세한 내용이 전한다.
역주275 以朴爲姓 : 박을 성으로 삼음. 《三國史記‧新羅本紀》에 따르면 혁거세가 처음 알에서 태어날 때 그 알의 모양이 박과 같다 하여 박을 성으로 삼았다[以初大卵如瓠 故以朴爲姓]고 했다.
역주276 高句麗 : 卒本지역에서 일어나 한반도 북부와 중국 東北지방을 무대로 하여 발전한 고대 국가로, 전설에 따르면 B.C. 37년에 朱蒙이 이끈 부여족의 한 갈래가 압록강 지류인 佟佳江 유역에 건국하였다고 한다.
역주277 朱蒙 : 고구려의 시조로 이름은 朱蒙이며 東明聖王으로 불린다. 《三國史記》의 기록에 따르면 東扶餘의 金蛙王이 河伯의 딸 柳花를 만났는데 그녀가 햇빛을 받고 임신하여 알 하나를 낳았다. 그 알에서 사내아이가 나왔는데 그가 바로 주몽이다. 주몽은 7세 때 이미 활을 잘 쏘는 등 뛰어난 자질을 발휘하자 그를 시기한 여러 사람들이 죽이려 하였다. 이에 주몽은 그들을 피해 남쪽으로 내려가 졸본에 나라를 세웠는데 이것이 고구려이다.
역주278 卒本 : 고구려 최초의 도읍지인데 忽本으로 기록된 경우도 있다.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으며 현재의 쑤이펀강[綏芬河] 남서 지방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후 고구려는 서기 3년(유리왕 22년)에 도읍을 졸본에서 國內城으로 옮겼다.
역주279 自稱高辛之後 : 스스로 고신씨의 후예라고 일컬음. 《史記‧五帝本紀》에 따르면 고신씨는 원래 중국의 五帝 중의 한 사람 帝嚳을 지칭한다.
역주280 百濟 : 《三國史記》에 따르면 溫祚王을 시조로 하여 B.C. 18년 현재의 한강 북쪽의 河南 慰禮城에 도읍을 정하고 건국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한강 유역 일대를 통합하고 律令을 반포하는 등 실질적으로 고대 국가의 기초를 세운 시기는 古爾王 때부터이며, 近肖古王 때에는 馬韓 지역 전체를 통합하기에 이른다. 이후 발전을 거듭하여 31대의 왕이 이어져 660년까지 유지된다.
역주281 溫祚 : 백제의 시조로 알려져 있다. 《三國史記》에 의하면 고구려 시조 주몽의 셋째 아들로 주몽의 전처 소생인 琉璃가 고구려로 와서 태자가 되자 그곳을 떠난다. 그 후 河南 慰禮城 지역에 정착한 뒤 국호를 十濟라고 하였다가 함께 내려왔던 형 沸流가 죽자 유민들을 통합하여 국호를 백제로 고쳤다고 한다.
역주282 以扶餘爲氏 : 부여를 성씨로 삼음. 원래 夫餘는 古朝鮮과 거의 같은 시기에 지금의 북만주 일대를 장악하고 있었던 부족 국가이다. 고구려를 세운 주몽이 원래 부여의 한 갈래였고 온조는 주몽의 아들이었기 때문에 부여를 성씨로 삼았다고 한 것이다.
역주283 唐高宗 : 唐나라의 제3대 황제로 태종이 실패했던 고구려 정벌에 성공하는 등 국력을 신장하는 데 힘을 기울였지만 본래 병약하여 황후였던 則天武后에게 모든 실권을 빼앗겼다.
역주284 置都督府 : 都督府를 설치함. 도독부는 중국이 정복한 국가에 설치하는 통치기구로 우리나라에는 백제가 멸망한 뒤 그 곳에 다섯 개의 도독부(熊津‧馬韓‧東明‧金漣‧德安)를 두어 다스린 적이 있으며 또 고구려가 멸망하자 그 지역에는 아홉 개의 도독부(新城‧遼城‧哥勿‧衛樂‧舍利‧居素‧越喜‧去朝‧建安)를 설치하고 상급기관인 安東都護府를 두어 통치하였다.
역주285 劉仁願 薛仁貴 : 둘 다 당나라의 장군으로 백제와 고구려가 망한 뒤에 각각 백제와 고구려의 故土에 주둔하였다.
역주286 留鎭撫之 : 유인원과 설인귀를 머무르게 해서 백제와 고구려의 유민들을 진무케 함. 鎭은 물리적으로 힘으로 억누르는 강경책이고 撫는 좋은 조건을 내걸어 회유하는 온건책을 의미한다.
역주287 弓裔 : 後高句麗를 건국한 왕. 성은 김씨로 신라의 왕족이었으며 승려 출신이었다고 한다. 신라가 약해져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梁吉의 부하가 되었다가 그 뒤 양길을 죽이고 송악을 근거로 자립하여 901년에 후고구려를 건국하였다. 911년에 국호를 泰封으로 고치고 국가다운 면모를 갖추었다.
역주288 叛于北京 : 북경에서 반란을 일으킴. 여기의 북경은 지금의 개성 지역을 지칭한다.
역주289 甄萱 : 신라 말기에 後百濟를 건국한 왕. 신라가 혼란에 빠지자 892년 武珍州(지금의 광주)를 점령하여 자립의 기반을 갖추었다가 900년 完山州에 입성하여 스스로 왕이라 일컫고 국호를 후백제라 하였다.
역주290 叛據完山 : 반란을 일으켜 완산주를 점거함. 완산주는 현재의 전주 일대를 지칭한다.
역주291 朴昔金三姓 : 朴은 앞에 나왔던 박혁거세를 시조로 하는 후손을 의미한다. 昔은 昔脫解와 그 후손을 말하는데 석탈해는 신라의 제4대 왕으로 龍城國의 왕과 積女國의 왕녀 사이에 태어난 알이 궤짝에 담겨 바다에 표류하다가 阿珍浦(현재의 迎日)에서 한 노파가 발견했는데 알 속에서 태어난 아이를 기른 것이 후에 탈해왕이 되었다는 전설이 전한다. 金은 金閼智와 그 일족을 지칭한다. 경주김씨의 시조로 65년 탈해왕이 밤에 경주의 서쪽 수풀 속에서 닭 울음 소리를 듣고 신하에게 가 보게 하였다. 금빛의 작은 함이 나뭇가지에 걸려 있고 흰 닭이 그 밑에서 울고 있다고 보고하자, 탈해왕이 직접 가서 함을 열어보니 용모가 아름다운 사내아이가 나왔다. 이 때부터 그 곳을 鷄林이라 하고 아이는 금함에서 나왔으므로 성을 金씨라 하였다고 한다.
역주292 相傳 : 서로 왕위를 전수함.
역주293 泰封諸將 : 태봉의 여러 장수, 곧 왕건을 옹립했던 궁예의 부장들을 지칭하는데 申崇謙‧洪儒‧卜智謙‧裵玄慶 등이다.
역주294 立麗祖爲王 : 고려의 시조 왕건을 세워서 왕으로 삼음. 궁예는 투항한 신라인을 모조리 죽이는가 하면 백성들을 괴롭히는 등 횡포가 심했다고 한다. 그 때문에 그의 부장들이 왕건을 추대하여 왕으로 삼았고 도망치던 궁예는 백성들에게 피살되었다.
역주295 高麗 : 신라 말에 松嶽의 土豪였던 王建이 분열된 한반도를 다시 통일하여 세운 왕조. 恭讓王대에 이르러 멸망하기까지 34대 475년간 존속했다. 왕건은 泰封의 부장이었던 申崇謙 등의 추대를 받아 鐵圓(지금의 鐵原)에서 즉위하여 도읍을 송악으로 정하고 고려를 건국하였다.
역주296 剋殘群凶 : 여러 흉악한 무리들을 이겨 없앰.
역주297 統合三韓 : 삼한, 곧 한반도 지역을 통일함.
역주298 移都松嶽 : 도읍지를 송악(지금의 개성)으로 옮김. 원래 왕건이 추대를 받은 곳은 철원이었는데 즉위 후 송악을 도읍지로 정했다.
역주299 季世 : 末世와 같다. 곧 고려의 말기를 지칭한다.
역주300 恭愍 : 고려의 공민왕을 지칭한다. 고려 제31대 왕으로 충숙왕의 둘째 아들이다. 元나라에 볼모로 잡혀 갔는데 그 뒤 고려로 돌아와 즉위한 뒤 몽골의 연호와 관제를 폐지하는 등 고려의 자립에 힘쓰는 한편 辛旽을 등용하여 귀족이 겸병한 토지를 소유자에게 반환시키고, 불법으로 노비가 된 사람을 해방시키는 등 개혁을 단행했다. 그러나 그 뒤 신돈에게 정치를 전담시키고 자신은 佛事에만 전념하는 등 만년의 失政으로 신하들에게 살해당하는 비운을 겪는다.
역주301 無嗣 : 공민왕에게 후사가 없었음. 공민왕의 아들로는 禑가 있었지만 조선조 건국 세력들은 禑王이 공민왕의 친자식이 아니라 신돈과 그의 여종 般若 사이에 낳은 인물이라 하여 공민왕에게 후사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역주302 僞主辛禑 : 가짜 임금 신우, 곧 공민왕의 뒤를 이어 즉위한 우왕을 왕씨가 아닌 신씨로 간주한 것이다.
역주303 王瑤不君 : 왕요가 임금 노릇을 못함. 요는 공양왕의 이름이다. 恭讓王은 고려의 마지막 왕으로 李成桂가 威化島回軍 뒤에 昌王을 즉위하게 하였으나, 음모를 꾀했다는 이유로 창왕을 폐위시키고 대신 즉위하게 된다. 공양왕은 이성계에게 권력을 빼앗기고 정몽주가 살해된 뒤 폐위되었다.
역주304 天命歸于眞主 : 天命이 진정한 군주에게 돌아감. 원래 유학에서는 天命有德 : 하늘이 덕이 있는 사람에게 명령하여 천하를 다스리게 한다고 하여 정권의 정당성을 천명에서 찾았다. 자세한 내용은 《書經》, 《孟子》 등에 나온다. 조선조 건국의 주체들은 고려의 왕씨가 실덕했기 때문에 천명이 왕씨에게서 이씨에게로 옮겨갔다는 易姓革命論을 주장했다.
역주305 大明太祖高皇帝 : 명나라 태조 朱元璋을 지칭한다.
역주306 賜改國號曰朝鮮 : 국호를 조선이라고 고쳐 내림. 당시 이성계는 자신의 고향이었던 동북지역의 명칭인 和寧과 함께 朝鮮이라는 국호를 명나라에 올렸는데 명나라에서 조선이 좋다는 의견을 보내왔다고 전해진다.
역주307 定鼎于漢陽 : 솥을 한양에 정함. 곧 도읍지를 한양으로 정했다는 뜻이다. 솥은 중국의 周나라 이후 권력의 상징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定鼎이라고 하면 도읍지를 결정했다는 뜻으로 쓰인다. 한양은 漢水 북쪽을 의미한다.
역주308 聖子神孫 : 성스럽고 신비한 능력을 지닌 자손들. 곧 조선조 태조를 비롯한 先王들을 높여서 호칭한 것이다.
역주309 重熙累洽 : 거듭 임금이 자신의 덕성을 밝히고 그 덕이 여러 차례 백성들에게 스며듬.
역주310 式至于今 : 그렇게 함으로써 지금에 이름. 式은 以와 같다.
역주311 實萬世無疆之休 : 실로 만세토록 끝없을 아름다움이다. 無疆의 疆은 경계‧한계라는 뜻이고 休는 아름답다는 뜻.
역주312 於戲(오희) : 감탄사.
역주313 雖僻在海隅 : 비록 궁벽하게 바다 모퉁이에 위치하고 있음. 중국을 기준으로 보면 바다 건너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렇게 표현한 것이다.
역주314 悉遵華制 : 모두 중화의 제도를 따름.
역주315 侔擬中華 : 중화와 비슷함.
역주316 華人稱之曰小中華 : 중국 사람들이 우리나라를 소중화라고 일컬음. 華人은 중국인을 지칭하고 之는 우리나라를 지칭한다.
역주317 玆豈非箕子之遺化耶 : 이 어찌 기자가 끼쳐준 교화 때문이 아니겠는가. 耶는 의문사로 ?와 같다.
역주318 嗟爾小子 : 아, 너희 어린 사람들아! 嗟는 감탄사. 爾는 2인칭 대명사.
역주319 宜其觀感而興起哉 : 의당 보고 느껴서 흥기할지어다. 보고 느끼는 대상은 이 책의 내용을 지칭하고 흥기할 내용은 이 책에서 강조하고 있는 五倫을 뜻한다.
동영상 재생
1 군신유의 239
동영상 재생
2 군신유의 260
동영상 재생
3 군신유의 242
동영상 재생
4 군신유의 154

동몽선습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