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양고전해제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개요

《노자권재구의(老子鬳齋口義)》은 남송(南宋) 임희일(林希逸)의 저작으로 조선조에 다수의 판본이 간행되었으며 널리 애독되던 책이며, 언제부터 유행하게 되었는지는 불확실하다.

2. 저자

(1) 성명:임희일(林希逸)(1193~1271)
(2) 자(字)・호(號):자(字)는 숙옹(肅翁), 연옹(淵翁)이고, 호(號)는 죽계(竹溪), 권재(鬳齋), 헌기(獻機) 또는 헌재(獻齋)이다.
(3) 출생지역:남송(南宋) 복주(福州) 복청현(福淸縣) 어계(漁溪)(현 복건성(福建省) 복청시(福清市))
(4) 주요 활동과 생애
남송 광종(光宗) 소희(紹熙) 4년(1193)에 태어나 도종(度宗) 함순(咸淳) 7년(1271)에 79세의 나이로 죽었다. 임희일은 어렸을 때 부친을 잃고 어머니를 따라 외가에 의탁하여, 외할머니 왕씨와 외삼촌의 보살핌을 받으며 성장했다. 이종(理宗) 단평(端平) 원년(1234)에 해시(解試) 제일(第一)로 합격하고, 다음해 단평(端平) 2년(1235) 43세의 나이로 성시(省試) 제일(第一), 전시(殿試) 중 갑과(甲科) 제사인(第四人)으로 합격했다. 단평 2년(1235) 진사(進士)에 합격한 후, 처음에는 평해군(平海軍) 절도추관(節度推官)이 되었는데 청백리(淸白吏)로 이름이 났다. 순우(淳祐) 원년(元年) 천주(泉州)에 큰 기근이 들었는데, 임희일은 당시 천주군연(泉州郡掾)으로 부임해 있었으므로 아침에는 죽을 나눠주고 오후에는 쌀을 풀어서 구휼했다. 순우 6년(1246)에 비성정자(秘省正字)로 옮겼고, 7년(1247) 비서원편수관(秘書院編修官)을 제수받았으며, 8년(1248)에 직비각(直祕閣) 지흥화군(知興化軍)이 되었다. 보우(寶祐) 3년(1255)에 요주(饒州)의 태수(太守)가 되었다가 경정(景定) 4년(1263)에 사농소경(司農少卿) 등이 되었다. 이후에 7년간 한거(閑居)하다가 도종(度宗) 함순(咸淳) 5년(1269) 9월부터 6년(1270) 봄까지 계속해서 서울에 들어와 사한(詞翰)을 관장하라는 명이 내려왔는데, 자주 사양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아져 결국 명을 받았다고 하는데, 이후의 일은 상세하지 않다. 다만 임희일이 중서사인(中書舍人)으로 벼슬을 끝마쳤다고만 전해지는데, 중서사인의 벼슬을 언제 맡았는지에 대해서는 학자들에 따라 의견이 갈린다.
임희일은 애헌학파(艾軒學派)의 삼전제자(三傳弟子)인데, 그의 학적인 계보는 멀리 정이(程頤)의 문인(門人)인 윤화정(尹和靖)(1071~1142, 윤돈(尹焞). 자(字)는 언명(彦明))으로부터 연결된다. 그런데 이정(二程)의 학설에 충실하였던 윤화정과 달리 애헌학파의 사상적 색채는 뒤로 갈수록 변화하기 시작한다. 윤화정의 문인인 애헌(艾軒) 임광조(林光朝)(1114~1178, 자(字)는 겸지(謙之), 호(號)는 애헌(艾軒))에게는 이정의 ‘리(理)의 철학’적 요소가 매우 희박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荒目見悟, 〈林希逸の立場〉, 《九州大學中國哲學論集》 7號, 九州大學中國哲學會 1981.10, 48쪽)하고 있다. 또한 임광조는 주자와도 친분이 있었으며(《애헌집(艾軒集)》 제요(提要)와 서(序)에 주희(朱熹)가 애헌을 존경했다거나 형으로 섬겼다는 설명이 나온다.), 《주자어류(朱子語類)》에 나타난 애헌에 관한 인용과 평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매우 호의적으로 애헌의 견해를 받아들이거나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임광조는 이천(伊川)의 문학경시에 불만을 표시하고 있으며, 이후로 문장을 중시하는 풍조는 애헌학파 전통의 중요한 특징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애헌 임광조의 학통은 임역지(林亦之)(1136~1185, 자(字)는 학가(學可), 호(號)는 망산(網山) 또는 월어(月漁))→진조(陳藻)(자(字)는 원결(元潔), 자호(自號)는 낙헌(樂軒))→임희일로 이어지는데, 임광조에 이르러서는 아직 도불(道佛)에 대한 이단관異端觀이 유지되고 있었으나 뒤로 갈수록 그 사상적인 색채가 달라졌다. 특히 진조의 경우 “낙헌선생은……우리 유가의 도(道)를 지키고 이단을 배척하는 것이 매우 엄했다.[樂軒……其衛吾道 闢異端甚嚴](유극장(劉克莊), 《후촌선생대전집(後村先生大全集)》 권90, 〈흥화군산성삼선생사당기(興化軍山城三先生祠堂記)〉)”라는 평가도 있지만, 또 한편으로 “〈낙헌〉선생님은 일찍이 말씀하셨다. ‘불서(佛書)는 우리 유가서(儒家書)를 입증‧설명하기에 가장 좋다.’[先生嘗曰 佛書最好證吾書](《장자구의(莊子口義)》 권3)”라는 언급도 존재한다. 따라서 진조는 명목상으로는 불교 등 이단에 대한 변별 의식을 가지고 있었지만, 실제로는 어느 정도 용인할 수 있다고 여긴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생각은 남송 말기의 임희일에 와서 ‘유가사상을 중심으로 한 도불사상의 수용 또는 포섭’이라는 결과로 나아가게 된다. 비록 임희일의 세계관에 유가〉노장〉불가라는 위계가 설정되어 있으며, 유가경전의 내용을 풍부하게 설명하기 위한 방법론적 효용성으로 도불의 수용을 주장하기는 하지만, 기본적인 사유의 바탕에는 도불사상의 대의가 유가와 크게 어긋나지 않는 것이라는 맥락이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5) 주요저작
그의 저작은 매우 많지만, 현존하는 저서는 《고공기해(考工記解)》 2권, 《노자권재구의(老子鬳齋口義)》 2권, 《장자권재구의(莊子鬳齋口義)》 10권, 《열자권재구의(列子鬳齋口義)》 2권(이상의 세 책은 《(노장열(老莊列))삼자구의(三子口義)》라고 부르기도 한다), 《권재속집(鬳齋續集)》(《죽계권재십일고속집(竹溪鬳齋十一稿續集)》) 30권, 《죽계십일고시선(竹溪十一稿詩選)》 1권, 《심유적고서(心游摘稿序)》 등이 있다. 이 가운데 《고공기해》는 그의 재전(再傳) 스승인 임역지(林亦之)를 비롯하여 송대(宋代) 학자들이 주해한 《주례(周禮)》 〈고공기(考工記)〉 중 유일하게 전해지는 주석이다.(《주례》 〈고공기〉에 대한 주석으로는 당대(唐代) 두목(杜牧) 주(注)가 있고, 송대(宋代)에는 진상도(陳祥道), 임역지(林亦之), 왕염(王炎) 등의 주가 있으나 지금 전해지지 않고, 유독 임희일의 주만 간신히 남아 있다.(《考工記解》 《欽定四庫全書》 經部 提要)
이외에도 《춘추삼전(春秋三傳)(정부론(正附論))》 13권, 《역강(易講)》 4권, 《양조보훈(兩朝寶訓)》 21권, 《권재전집(鬳齋前集)》 6권, 《산명별집(山名別集)》과 《수목청화시(水木淸華詩)》 1권이 있었다고 하지만 전하지 않는다.

3. 서지사항

임희일의 《노자권재구의(老子鬳齋口義)》는 남송 경정(景定) 신유(辛酉) 2년(1261) 완성되었는데(〈노자구의성(老子口義成)〉 시(詩)), 늦어도 15세기부터는 중국, 한국, 일본 등에서 대표적인 노자 주석서로 자리 잡으며 지속적인 판각‧출판과 구두(句讀), 현토(懸吐), 평점(評點), 훈점(訓點) 작업이 진행되었다. 최재목의 조사에 의하면, 세종 7년(1425) 경자자본(庚子字本) 《장자권재구의》와 《노자권재구의》가 있고 또한 《열자권재구의》도 존재했을 것이라고 보았다.(최재목, 〈朝鮮時代における林希逸《三子鬳齋口義》の受容〉, 《양명학》 제10호, 한국양명학회, 2003)
‘구의(口義)’라는 말은 《신당서(新唐書)・선거지(選擧志)》에 보이는데, 묵의(墨義)라는 지필고사 방식과 상대되는 시험의 방식으로, 일종의 구술고사의 형식으로 경전의 의미를 밝히는 것을 의미한다. 송대에 이르러 호원(胡瑗)의 《주역구의(周易口義)》・《홍범구의(洪範口義)》라는 두 권의 책이 있었고, 호원의 뒤를 이어 ‘구의(口義)’라는 말로 주소(注疏)의 명칭을 삼은 것이 임희일의 《삼자구의(三子口義)》이다. 임희일의 《삼자구의》에서 ‘구의’가 어떤 의미인지에 대해서는 임경덕(林經德)의 〈장자권재구의서(莊子鬳齋口義序)〉(일명 〈남화진경후서(南華眞經後序)〉)와 임계유(任繼愈)의 《도장제요(道藏提要)》에 잘 나타난다. 임경덕의 〈서(序)〉에서는 “이 책을 ‘구의’라고 이름 지은 것은 그 문장이 이속(里俗)의 통속적인 말을 섞어서 직접적으로 서술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고, 《도장제요》에서는 “《도덕진경구의(道德眞經口義)》는……그 글이 문장을 따라 직접적으로 풀이하였는데, 바로 구어(口語)로 의미를 강설하였기 때문에 ‘구의’라고 명명하였다”라고 하였다.(陳怡燕, 〈林希逸《莊子口義》思想硏究〉, 國立師範大學國文硏究所 碩士論文, 2009)

4. 내용

우리나라에서 판각된 《노자권재구의(老子鬳齋口義)》는 대부분 2권 1책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인영(李仁榮)(1911~?)이 수집・소장한 책의 서목인 《청분실서목(淸芬室書目)》에 실려 있는 세 종류의 《노자권재구의》 중 한 종류에는 특이하게 부록으로 《음부경(陰符經)》 1권이 포함되어 있다.(최재목, 상동(上同), 2003) 참고로 《노자권재구의》가 일본에 전해진 것은 13세기 말에서 14세기 초로 추측된다. 그중 주목할 만한 것은 임희일의 후손인 소쿠니 니요이츠(卽非如一)(1616~1671, 속성(俗姓)은 임(林), 자(字)는 즉비(即非), 호(號)는 여일(如一), 지금의 복건성(福建省) 복청시(福清市) 사람)가 일본에서 교정・간행한 《노자권재구의》본이다. 그는 18세 때 출가하여 불승이 되었다가 1657년 스승인 잉겐 류키(隱元隆琦)(1592~1673, 속명(俗名)은 임증병(林曾炳), 복건성 복주부(福州府) 복청현(福清縣) 사람. 일본으로 건너가 불법을 전파했는데, 일본 선종 임제종과 조동종의 부흥에 큰 영향을 끼쳤고, 일본 황벽종(黄檗宗)과 전다도(煎茶道)의 시조가 됨)의 초대로 일본에 건너가서 스승을 도와 불법을 전파하였는데, 일본에서 수초(手抄)・비점(批点)・교주(校注)・훈해(訓解)한 6종의 《노자권재구의》를 간행했으며, 《열자권재구의점교(列子鬳斋口義点校)》도 연구했다고 전해진다. 그가 교정・간행한 《노자권재구의》에는 권수(卷首)에 《태상노군도(太上老君图)》, 《장자상(庄子像)》, 《복청임희일상(福清林希逸像)》, 《태상로군상(太上老君像)》, 《권재임공상(鬳斋林公像)》의 그림이 붙어 있다.(王晚霞,陈琼莲, 〈即非如一校刊之《老子鬳斋口义》考述〉, 2018)

5. 가치와 영향

임희일의 《삼자구의(三子口義)》는 13세기 이후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상당한 인기를 누리게 되었다. 최재목의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는 세종 7년(1425)에 이미 경자자본(庚子字本) 《삼자권재구의》가 판각된 이래로, 조선시대 내내 여러 차례 발간되어 사대부들에게 널리 애독되었다. 또한 일본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복영광사(福永光司)는 “에도(江戶) 시대의 노장학은 무로마치(室町) 시기의 선승이 계승한 당시의 노장학이며, 아울러 송대 임희일의 《노자구의(老子口義)》와 《장자구의(莊子口義)》 등을 서술하는 것으로부터 비롯되었다”(《道敎與日本文化》)라고 지적하였다.
이와 같이 임희일의 주석이 13세기 이후 동아시아에서 널리 인기를 끌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임희일의《삼자구의》는 기본적으로 송대 이학(理學)적 관점에서 도가 텍스트를 재해석한 것인데, 해석의 과정에 선불교의 내용도 상당부분 포함하고 있어, 실질적으로는 유불도 삼가의 사상을 융합하려는 시도가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송대 노장학의 주요 특징은 유불도 삼가사상의 융합을 기반으로 《노자(老子)》‧《장자(莊子)》 텍스트를 재해석하는 경향이 많았으므로, 임희일의 관점은 시대적인 요구에도 부합했다. 더욱이 임희일은 《노자구의》에서 의리나 훈고 방면에만 집중했던 기존의 노자주석과는 달리 문장학의 관점에서도 노자의 문장이나 표현법에 주목하여 기존 노자 주석의 오독을 바로 잡았다고 자부하고 있다. 이는 도(道)와 문(文)을 함께 중시했다는 애헌학파(艾軒學派)의 문장관(文章觀)을 이어받은 임희일의 관점이 그의 도가 텍스트(《노자》‧《장자》‧《열자》)의 해석에서 잘 표현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제목에서부터 장자의 문장을 통속적이고 쉬운 글을 뜻하는 구의(口義)라는 쉬운 글의 형태로 풀이하겠다고 표방하고 있다. 이는 원전의 난해한 내용을 일상용어인 구어체(spoken language)로 풀이할 것을 천명한 것이다.
그런데 임희일의 《삼자구의》가 인기가 끌게 된 이유에 대해 단지 ‘구의’라는 주소(注疏) 형식 때문이라고 보는 견해도 적지 않았다. 대표적으로 “임희일은 각 구절들의 의미와 문맥을 평이한 문장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임희일의 주석은 전통시대에 상당히 많이 읽히게 되었다.”(장원태, 규장각 해제)라는 식의 설명이 있다. 그러나 13세기 이후 동아시아 삼국에서 대표적인 주석서로서 보편적인 인기를 끌게 된 원인에 대해 단순히 쉽고 평이한 문장 때문이라는 인식은 너무나 평면적인 분석으로 보인다.
실제로 임희일의 《삼자구의》에 대해서는 평이하고 간명하다는 평가와 천박하다는 평가로 긍정과 부정이 엇갈린다. 전자에는 진고응(陳鼓應)(《노자금주금역급기평개老子今註今譯及其評介》), 아카츠카 키요시(赤塚忠)(《諸子思想硏究:平明の解釋》), 모리 미키사부로(森三樹三郞)(《老子‧莊子:平易に說》)등의 평이 있고, 후자에는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나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의 평가(享保 12년(1727)의 〈답문서(答問書)〉 하(下)), 다자이 슌다이(太宰春台)의 평가(〈자지만필(紫芝漫筆)〉 권8)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어체식의 풀이는 당송대(唐宋代) 선불교(禪佛敎)의 어록체로부터 비롯되어 《주자어류(朱子語類)》에 이르기까지 당시 신유학자들에게 일반적인 경향이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쉬운 구어체로 풀이했다는 점이 인기를 끌었던 원인 중 하나가 될 수는 있겠지만, 송유(宋儒)들의 수많은 도가서(道家書) 주해 가운데 특별히 임희일의 주석이 공통적으로 성행했던 것에 대한 답으로는 부족하다.
한편으로 《한적국자해전서(漢籍國字解全書)》 제28권에서는 임희일에 대한 《총목제요(總目提要)》의 비판에 대해 만청(滿淸) 학자들이 송유(宋儒)를 배척하던 누습陋習에 의한 것이지만, 임희일의 설이 송유의 눈으로 장자를 곡해하고 있는 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즉 임희일의 주해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사고전서총목제요》나 오규 소라이 학파는 오히려 고증학이나 한학(漢學)적 관점에서 임희일의 송학(宋學)적 장자(莊子) 해석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내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그렇다면 역으로 임희일의 《삼자구의》의 특징은 단순히 쉽고 평이한 ‘구의’에 있다기 보다는, 오히려 송학을 기반으로 송유의 시각으로 도가사상을 재해석했다는 데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임희일의 《삼자구의》가 동아시아에서 보편적인 인기를 끌게 된 원인은 위에서 언급했던 《삼자구의》 자체의 세 가지 측면의 특징, 즉 송학을 기반으로 한 유불도 삼교사상의 소통과 융합, 문장학을 중시한 도가 텍스트 원전의 분석, 그리고 마지막으로 당시 유행했던 구어체(어록체, 백화체)로 분명한 의미 설명 등을 모두 지적하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이다.

6. 참고사항

(1) 명언
• “대저 《노자(老子)》라는 책은 그 말이 모두 구체적인 대상물[物]을 빌려서 도(道)를 밝힌 것인데, 혹은 당시의 풍습에 인하여 논했기 때문에, 그래서 독자들이 그 말하는 바를 이해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주자는 노자를 혼란스럽게 하는데 힘쓴다고 평하였고, 진서산은 그 속에 음모의 이론이 있다고 생각했다.……유독 소철(蘇轍)만이 일어나 분명히 밝혔으니 노자(老子)의 본의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지만, 그 문의와 혈맥은 아직 완전히 통하지 못하고 그 속에 막힌 부분도 또한 적지 않았다. 또 그것이 대부분 불서(佛書)와 합한다고 생각했는데, 이것은 그렇지 않다. 장자(莊子)는 노자(老子)를 근본으로 하는 자이지만, 그 말이 노자와 실제로 다르다. 그래서 그 자서(自序)에서 생(生)과 사(死)를 주로 한다고 했으니 모두 〈천하〉편에 보인다. 그래서 대부분 불서(佛書)와 합한다. 《노자》에서 ‘무위(無爲)하면서 자화(自化)’하고 ‘다투지 않고 잘 이긴다’고 말한 것과 같은 경우에는, 모두 우리 유가경전에 어긋나지 않는 것이고, 다른 점은 다만 세상을 바로잡고 풍속에 대해 성내는 말이 어떤 때는 너무 지나쳤을 뿐이다.[大抵老子之書 其言皆借物以明道 或因時世習尙就以論之 而讀者未得其所以言 故晦翁以爲老子勞攘 西山謂其間有陰謀之言……獨潁濱起而明之 可謂得其近似 而文義語脈未能盡通 其間窒礙亦不少 且謂其多與佛書合 此卻不然 莊子宗老子者也 其言實異於老子 故其自序以生與死爲主 具見天下篇 所以多合於佛書 若老子所謂無爲而自化‧不爭而善勝 皆不畔於吾書 其所異者 特矯世憤俗之辭時有太過耳]” 《노자권제구의(老子鬳齎口義)》
• “〈《노자》 61장의〉 이 구는 한 장의 결어(結語)이다. 그 뜻은 단지 강자는 모름지기 약할 수 있어야 하고, 유(有)인 자는 모름지기 무(無)일 수 있어야, 비로소 도(道)를 알게 된다는 말이다. 책 한 권의 주된 뜻이 매 장(章)마다 이와 같은데, 주해자(註解者)들은 대부분 그 비유를 펼친 곳을 진실된 말이라고 간주한다. 그러므로 주회암(朱晦菴)은 老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에 힘쓴다는 평가를 하게 되었다. 유독 황무재(黃茂材)만이 주해에서 말하기를, 이 한 편은 온전히 물(物)을 빌려서 도(道)를 밝힌 것이라고 했으니, 이 말이 가장 적당하다. 그러나 다른 장에까지는 미루어 적용하지 못했으니, 또한 완전히 통하지 못한 점이 있다.[此句乃一章之結語 其意但謂强者須能弱 有者須能無 始爲知道 一書之主意 章章如此 解者多以其設喩處作眞實說 故晦菴有老子勞攘之論 獨黃茂材解云 此一篇全是借物明道 此語最的當 但不能推之於他章 故亦未通處]” 《노자권재구의》
• “〈《노자》 제1장에서〉 ‘천지의 시초’는 태극이 아직 나누어지지 않은 때이다. 그것이 사람의 마음에 있게 되면, 적연부동(寂然不動)한 경지이다. 태극이 아직 나뉘어지지 않았는데 어찌 춘하추동이라는 이름이 있겠으며, 적연부동(寂然不動)한데 어찌 인의예지라는 이름이 있을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무명(無名)은 천지의 시초’라고 한 것이다. 그 천지(天地)라고 말한 것은 오로지 천지(天地)만을 말한 것이 아니라, 이 마음을 말한 것이다.[天地之始, 太極未分之時也. 其在人心則寂然不動之地. 太極未分則安有春夏秋冬之名, 寂然不動則安有仁義禮智之名. 故曰無名天地之始, 其謂之天地者, 非專言天地也, 所以爲此心之諭也.]” 《노자권재구의》
• “성인의 도(道)는 허일(虛一)일 뿐이다.……도(道)로써 물(物)을 변화시키는 것이다.……성인의 도(道)는 인위적으로 하는 것이 없으면서도 되지 않는 바가 없는 것이니, 일찍이 그 ‘유(有)’를 스스로 간직해 본 적은 없다. 그러므로 물(物)과 다투지 않지만, 천하에 어느 것도 다툴 수 있는 것이 없다. 이 한 권 책의 의미는 대저 부쟁(不爭)을 주로 하므로, 이 말을 가지고 결론을 맺었다.[聖人之道 虛一而已……以道化物也……聖人之道 無爲而無不爲 而未嘗自持其有 故不與物爭 而天下莫能與爭 一書之意 大抵以不爭爲主 故亦以此語結之]” 《노자권재구의》
(2) 색인어:임희일(林希逸), 권재(鬳齋), 노자권재구의(老子鬳齋口義), 삼자구의(三子口義), 애헌학파(艾軒學派)
(3) 참고문헌
• 《老子鬳齋口義》(林希逸, 林道春 批點, 嚴靈峯 編輯, 《無求備齋 老子集成(初編 13)》, 藝文印書館印行)
• 《老子口義》(林希逸, 明 正統道藏本)
• 《노자권재구의》(임희일 지음, 서양중 옮김, 경상대학교출판부)
• 《임희일의 노자풀이》(임희일 지음, 김만겸 주역, 소강)
• 《宋代老子學詮解的義理向度》(江淑君, 臺灣:學生書局)
• 《宋元老學硏究》(劉固盛, 成都:巴蜀書社)
• 〈林希逸《三子鬳齋口義》の韓國版本調査〉(崔在穆, 《郭店楚簡の思想史的硏究》(〈古典學の再構築〉東京大學郭店楚簡硏究會編) 第五卷, 2001)
• 〈임희일(林希逸)의 《노자권재구의(老子鬳齋口義)》에 드러난 노자사상 이해〉(김형석,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대동문화연구》 86집. 2014)

【김형석】



동양고전해제집 책은 2023.10.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