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三略直解

삼략직해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三略直解序
三者 上中下三卷也 略者 謀略也
世以爲黃石公書 授張子房於橋者也
漢成帝時 論次兵書하여四種하여 共五十三家로되 而三略亦不載焉이라
史稱張良 少匿下邳할새 與父老遇於圯橋하여 出書一編하고 曰 讀此 則爲王者師라하고 遂去어늘 旦日視之하니 乃太公兵法也
通鑑綱目 亦曰 張良與沛公遇於留하니以太公兵法沛公한대 公善用之하여 常用其策이라
與他人言이면 輒不省한대 良曰 沛公 殆天授라하고 遂不去라하니라
云 太公兵法一帙三卷이라하고 唐李靖亦云 張良所學 太公六韜三略 라하니라
然則三略 本太公書어늘 而黃石公或推演之하여 以授子房하니 所以兵家者流 至今因以爲黃石公書也리라
又云 素書 乃黃石公所授子房者也
世人 多以三略爲是라하니 盖傳之者誤耳
素書者 晉亂 有盜發子房塚하여 於枕中獲之하니 上有秘戒호되 不許傳於不神不聖之人이라하고 又摘取書中數語하여 以證子房之事
且曰 自漢以來 章句文辭之學熾하여 而知道之士極少하니
雖號爲一時賢相이나 至於先大道하여는 曾未知其髣髴하니
此書所以不傳於不道不神不聖不賢之人也라하니라
今觀素書하면 原始章 首論道德仁義하니 本三略下卷中文이어늘 因而推廣之耳
下文 賢人君子 明於盛衰之道하고 通乎成敗之數하고 審乎理亂之勢하고 達乎去就之理
潛居抱道하여 以待其時하나니 若時至而行이면 則能極人臣之位하고 得機而動이면 則能成絶代之功이라
及能有其有者하고 貪人之有者하고 舍己以敎人者하고 正己以化人者이라하니
皆三略全文而少變之耳
其後五章 亦是雜取古書中語하여換字樣하여 聯屬之하니 非秦漢以前古書
況商英之言 多涉虛無
又曰 言其體故라하고
黃石公 言其用故 云 道德仁義禮不可無一焉이라하니 此其深於斯道者之言也라하니라
素書果出於子房塚中이면 而隋唐以來 名儒碩士何故無一言及之리오
恐是後人依倣而爲之者
所以宋俱不暇論也
今亦未敢必以爲然일새 姑明其大槩하여 係於三略直解下하여 以俟知者焉하노라


≪三略直解≫의 서문
삼략三略》의 ‘三’은 의 3이고 ‘略’은 모략謀略이다.
세상에서 말하기를 “《삼략三略》은 황석공黃石公의 책이니, 흙다리[圯橋]에서 장자방張子房에게 준 것이다.”라고 한다.
살펴보건대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 이르기를 “장량張良한신韓信병법兵法을 차례로 엮은 것이 모두 182였는데, 삭제해서 중요하게 쓸 수 있는 것만을 뽑아 35를 정하여 만들었다.”고 하였으나, 모두 《삼략三略》이 있다고 말하지 않았고,
성제成帝 때에 임굉任宏병서兵書를 논하여 차례로 엮으면서 권모權謀형세形勢음양陰陽기교技巧의 네 종류로 나누어서 모두 53를 취하였는데, 여기에도 《삼략三略》이 기재되지 않았다.
역사서에 칭하기를 “장량張良은 젊어서 하비下邳에 숨어 지낼 적에 부로父老(老人)와 흙다리에서 만났는데, 노인은 책 한 권을 내놓으면서 ‘이 책을 읽으면 왕자王者의 스승이 된다.’라 하고 마침내 떠나갔는데, 아침에 보니 바로 《태공병법太公兵法》이었다.” 한다.
통감강목通鑑綱目》에도 또한 이르기를 “장량張良패공沛公 땅에서 처음 만났는데, 장량張良이 여러 번 《태공병법太公兵法》을 가지고 패공沛公을 설득하자 패공沛公이 항상 그 계책을 사용하였다.
장량張良이 다른 사람에게 병법兵法을 말하면 번번이 살펴보지 않으니, 장량張良이 말하기를 ‘패공沛公은 아마도 하늘이 나에게 주었는가 보다.’라고 하고, 마침내 떠나가지 않았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사기정의史記正義》에 이르기를 “《칠록七錄》에 《태공병법太公兵法》은 1질 3권이다.”라고 하였고, 나라 이정李靖 또한 말하기를 “장량張良이 배운 것은 태공太公의 《육도六韜》와 《삼략三略》이다.”하였다.
그렇다면 《삼략三略》은 본래 태공太公의 책인데 황석공黃石公이 혹 확대하고 부연해서 장자방張子房(張良)에게 준 것이니, 이 때문에 병가兵家의 부류들이 지금까지 황석공黃石公의 책이라고 하는가 보다.
나라의 장상영張商英은 또 말하기를 “《소서素書》는 바로 황석공黃石公장자방張子房에게 전수해준 것이다.
세상 사람들은 대부분 《삼략三略》을 이것이라고 하는데, 이는 전한 자들이 잘못한 것이다.
소서素書》라는 것은 나라의 에 도둑이 장자방張子房의 무덤을 발굴하여 베개 속에서 얻었으니, 위에 비밀스런 경계가 있었는바, ‘신묘하지 못하고 성스럽지 못한 사람에게 전함을 허락하지 않는다.’라고 했다.” 하였고, 또 책 속의 몇 마디 말을 뽑아 취하여 장자방張子房의 일을 증명하였다.
또 말하기를 “나라 이래로 장구章句문사文辭의 학문이 치성하여 를 아는 인사人士가 지극히 적었다.
예컨대 제갈량諸葛亮, 왕맹王猛, 방교房喬, 배도裴度 등은 비록 한 시대의 어진 재상으로 이름났으나 선왕先王대도大道에 이르러서는 일찍이 그 방불髣髴한 모습도 알지 못하였으니,
이 책이 이 때문에 를 알지 못하고 신묘하지 못하고 성스럽지 못하고 어질지 못한 사람에게 전해지지 않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지금 《소서素書》를 보면 〈원시原始〉章에서 첫 번째로 를 논하였으니, 본래 《삼략三略하권下卷 가운데의 글인데, 따라서 미루어 넓혔을 뿐이다.
아랫글에서 “현인賢人군자君子성쇠盛衰에 밝고 성패成敗를 통달하고 치란治亂의 형세를 살피고 거취去就의 이치를 통달하였다.
그러므로 은거하여 를 간직해서 때를 기다리니, 만약 때가 와서 행하면 인신人臣의 지위를 지극히 하고 기회를 얻어 하면 절대絶代을 이룬다.
이 때문에 그 가 충분히 높고 이름이 후세에 드리워진다.”라고 하였고,
또 “능히 자신이 소유할 만한 것을 소유하는 자는 편안하고, 남이 소유한 것을 탐하는 자는 쇠잔하고, 자기 몸을 버리고 남을 가르치는 자는 거스르고, 자기 몸을 바루어 남을 교화시키는 자는 순하다.”라고 하였으니,
모두 《삼략三略》의 전문全文을 다소 바꾸었을 뿐이다.
그리고 그 뒤 5 또한 옛 책 가운데의 말을 뒤섞어 취하여 글자 모양을 바꾸어서 연결하였으니, 이전의 옛 책이 아니다.
더구나 장상영張商英의 말은 대부분 허무맹랑함에 가깝다.
그가 말하기를 “비록 이나 인 것을 라 하고, 도 아니고 도 아닌 것을 이라 하고, 이나 가 된 것을 이라 하고, 이나 가 된 것을 이라 한다.”라고 하였고,
또 “노자老子는 그 를 말하였기 때문에 ‘충신忠信이 박해져서 의 첫 번째가 된다.’고 하였고,
황석공黃石公은 그 을 말하였기 때문에 ‘에 한 가지도 없어서는 안 된다.’고 하였으니, 이것이 이 에 깊은 자의 말이다.”라고 하였다.
소서素書》가 과연 장자방張子房의 무덤에서 나왔다면, 이래로 유명한 학자와 큰 선비가 무슨 연고로 한마디 말씀도 언급함이 없었겠는가.
이는 후인들이 모방하여 지은 것인 듯하다.
이 때문에 나라 선정先正(先代의 현인賢人)인 정자程子주자朱子와 선배들이 모두 논할 겨를이 없었던 것이다.
지금 또한 감히 반드시 옳다고 할 수가 없으므로, 우선 그 대략을 밝혀 《삼략직해三略直解》의 아래에 달아서 아는 자를 기다리는 바이다.


역주
역주1 : 이
역주2 張良韓信序次兵法……定著三十五家 : 張良(?~B.C. 168)은 字가 子房으로, 아버지와 할아버지가 모두 韓나라에서 정승을 지냈는데, 韓나라가 秦나라에게 멸망당하자, 복수하기 위해 始皇帝를 博浪沙에서 저격하였으나 실패하고 숨어살던 중 下邳의 흙다리 위에서 한 老人(黃石公)을 만나 太公의 兵法을 전수받으니, 이것을 《三略》이라 하며, 一說에는 黃石公의 《素書》라 한다.
그 후 秦나라의 학정에 民衆이 봉기하자 劉邦의 策士가 되어 項羽를 멸망시키고 漢나라 왕조를 일으켜 蕭何‧韓信과 함께 開國三傑로 알려졌으며, 陳平과 함께 智謀가 뛰어난 사람으로 세상에 알려졌다.
高祖(劉邦)가 천하를 통일한 뒤에 齊나라의 부유한 지역 3만 戶를 떼어주겠다고 하였으나, 張良은 이를 사양하고 인구가 적은 留 땅에 봉해져 留侯라 하였으며, 만년에는 부귀를 버리고 신선인 赤松子를 따라 神仙術을 배우겠다며 은거하였다. 《史記 권55 留侯世家》
韓信(?〜B.C. 196)은 前漢의 名將으로 高祖를 도와 천하를 통일하고 楚王에 봉해졌으나, 후에 淮陰侯로 격하되고 陳豨의 亂에 반란을 모의하였다 하여 呂后에게 참살당하였다. 兵法書를 만든 내용은 《漢書》 권30 〈藝文志〉에 보인다.
역주3 任宏 : 漢 成帝는 서적이 없어지는 것을 걱정하여 陳農 등에게 遺書를 수집하도록 명하고 劉向‧任宏 등에게 經籍‧兵書‧術書 등을 교정하게 하였는바, 이 내용이 《漢書》 권30 〈藝文志 儒林傳〉에 보인다.
역주4 權謀……技巧 : 《新刊增補三略》에 “權謀는 奇‧正의 權變에 대한 智謀요, 形勢는 地利의 험하고 평탄한 지형이요, 陰陽은 時‧日에 대한 五勝의 說이니, 五勝은 五行이 서로 이기는 것이요, 技巧는 器械로 공격과 수비에 필요한 도구(병기와 장비)이다.” 하였다.
역주5 : 삭
역주6 : 세
역주7 正義曰 七錄 : 《正義》는 《史記》의 주석서인 《史記正義》로, 唐나라 則天武后 때의 張守節이 지은 것이며, 《七錄》은 南朝時代 梁 武帝 때의 阮孝緖가 지은 것으로 書誌의 일종인 目錄을 다룬 책이다.
역주8 唐李靖亦云……是也 : 李靖(571〜649)은 처음에는 隋나라 馬邑의 縣丞이었으나, 唐 高祖 李淵에게 사로잡혀 참형에 처해질 뻔하였다가 처형 직전 항변하여 죽음을 면하였다. 후에 太宗 李世民의 인정을 받고 그의 부장이 되어 수나라 말기 여러 群雄들을 平定하는 데에 활약하였으며, 行軍摠管으로 군대를 이끌고 큰 공을 세워 衛國公에 봉해지고 太宗의 昭陵에 陪葬되었다.
그의 저서인 《李衛公問對》는 당대의 대표적인 兵書로 武經七書의 하나인데, 여기에서 “張良이 배운 것은 《六韜》와 《三略》이고, 韓信이 배운 것은 田穰苴의 《司馬法》과 孫武의 《孫子》이다.[張良所學 六韜三略 是也 韓信所學 穰苴孫武 是也]”라고 하였다.
역주9 宋張商英 : 字가 天覺이고 號가 無盡居士로, 北宋 徽宗 때 尙書左僕射를 지냈다. 《宋史 권351 張商英列傳》
역주10 諸葛亮王猛房喬裴度 : 모두 역대의 名相들이다. 諸葛亮은 三國時代 蜀漢의 名相이다. 王猛은 五胡十六國 때 先秦의 名相이다. 房喬는 房玄齡으로 喬는 그의 이름이고 玄齡은 字인데, 字로 행세하였는바 唐 太宗의 名相이다. 裴度는 唐 憲宗의 名相이다.
역주11 (天)[王] : 《新刊增補三略》에 “俗本에는 先王이 先天으로 되어있으니, 잘못이다. 張商英의 《素書》 序文을 살펴보면 先王으로 되어있으므로 이제 이것을 따른다.[俗本 作先天 非 考商英素書序文 則作先王 今從之]” 하였으므로 이에 의거하여 바로잡았다.
역주12 (仁)[禮] : 저본의 ‘仁’은 아래 〈下略〉과 《素書》에 의거하여 ‘禮’로 바로잡았다. 《新刊增補三略》에는 “俗本에는 ‘義’자 아래에 또 ‘仁’자가 있으니, 衍文이다.[俗本 義字下 又有仁字 衍]” 하였다.
역주13 其道足高而名揚於後世 : 이 내용이 《三略》 〈下略〉에도 보인다.
역주14 : 경
역주15 雖有雖無之謂道……無而有之之謂賢 : 이 내용은 張商英이 지은 黃石公의 《素書》 〈原序〉에 그대로 보인다. ‘雖有雖無之謂道’가 一本에는 ‘離有離無之謂道’로 되어있는바, 이 경우에는 ‘有를 떠나고 無를 떠난 것을 道라 하고’로 해석하여야 한다.
역주16 老子 : 《新刊增補三略》에 “老子는 姓이 李이고 이름이 耳이니 周나라 柱下史로, 글 5천 자를 지으니, 《道德經》이라 한다.[姓李 名耳 周柱下史 著書五千言 號道德經]” 하였다.
역주17 禮者 忠信之薄而亂之首 : 이 내용이 《道德經》 下篇에 그대로 보인다.
역주18 先正程朱輩 : 《新刊增補三略》에 “先正은 先賢을 칭한다. 程은 二程으로 伯子(兄)는 이름이 顥인데 세상에서 明道先生이라 칭하고, 叔子(弟)는 이름이 頤인데 세상에서 伊川先生이라 칭한다. 朱는 바로 朱文公(朱熹)이니, 세상에서 晦菴先生이라 칭한다.[先正 先賢之稱 二程 伯子名顥 世稱明道先生 叔子名頤 世稱伊川先生 朱 卽朱文公 世稱晦菴先生]” 하였다.

삼략직해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