疏
[疏]正義曰:‘益’者, 增足之名, 損上益下, 故謂之益. 下已有矣, 而上更益之, 明聖人利物之无已也.
損卦則損下益上, 益卦則損上益下, 得名皆就下而不據上者,
向秀云“明王之道, 志在惠下, 故取下謂之損, 與下謂之益.”
旣上行惠下之道, 利益萬物, 動而无違, 何往不利. 故曰“利有攸往.” 以益涉難, 理絶險阻, 故曰“利涉大川.”
注
[注]震은 陽也요 巽은 陰也니 巽은 非違震者也라 處上而巽하여 不違於下는 損上益下之謂也라
疏
[疏]正義曰:此就二體, 釋卦名之義. 柔損在上, 剛動在下, 上巽不違於下, 損上益下之義也.
旣居上者, 能自損以益下, 則下民懽說, 无復疆限, 益卦所以名益者, 正以損上益下, 民說无疆者也.
自上下下하니 其道大光이요 利有攸往은 中正有慶일새라
注
[注]五處中正하여 自上下下라 故로 有慶也라 以中正有慶之德으로 有攸往也면 何適而不利哉리오
疏
[疏]正義曰:此就九五之爻, 釋利有攸往, 中正有慶也. 五處中正, 能自上下下, 則其道光大, 爲天下之所慶順也.
以中正有慶之德, 故所往无不利焉, 益之所以利有攸往者, 正謂中正有慶故也.
注
[注]木者는 以涉大川爲常而不溺者也니 以益涉難이 同乎木也라
疏
涉川无害, 方見益之爲利, 故云“利涉大川, 木道乃行”也.
益은 動而巽하여 日進无疆하며 天施地生하여 其益无方하니
疏
[疏]正義曰:‘益 動而巽 日進无疆’者, 自此已下, 廣明益義. 前則就二體, 明損上益下, 以釋卦名,
以下有動求, 上能巽接, 是損上益下之義. 今執二體, 更明得益之方也.
若動而驕盈, 則彼損无已, 若動而卑巽, 則進益无疆, 故曰“益動而巽, 日進无疆.”
‘天施地生 其益无方’者, 此就天地, 廣明益之大義也.
天施氣於地, 地受氣而化生, 亦是損上益下義也, 其施化之益, 无有方所, 故曰“天施地生, 其益无方.”
注
[注]益之爲用은 施未足也니 滿而益之는 害之道也라 故로 凡益之道는 與時偕行也라
疏
[疏]正義曰:雖施益无方, 不可恒用, 當應時行之, 故擧凡益摠結之, 故曰“凡益之道, 與時偕行”也.
象曰 風雷益이니 君子以見善則遷하고 有過則改하나니라
疏
[疏]正義曰:子夏傳云“雷以動之, 風以散之, 萬物皆盈.” 孟僖亦與此同其意, 言必須雷動於前, 風散於後, 然後萬物皆益.
如二月啓蟄之後, 風以長物, 八月收聲之後, 風以殘物, 風之爲益, 其在雷後, 故曰“風雷益”也.
遷, 謂遷徙慕尙. 改, 謂改更懲止. 遷善改過, 益莫大焉, 故君子求益, 以見善則遷, 有過則改也.
之中, 竝有益物, 猶取雷風者. 何晏云“取其最長可久之義也.”
注
[注]處益之初하고 居動之始하니 體夫剛德하여 以莅其事而之乎巽하니 以斯大作이면 必獲大功이라
夫居下
는 非厚事之地
요 卑
는 非任重之處
요 大作
은 非小功所濟
라 故
로 元吉
이라야 乃得无咎也
라
疏
[疏]正義曰:大作, 謂興作大事也. 初九處益之初, 居動之始, 有興作大事之端,
又
剛能幹, 應巽不違, 有堪建大功之德, 故曰“利用爲大作”也.
然有其才而无其位, 得其時而无其處, 雖有殊功, 人不與也, 時人不與, 則咎過生焉. 故必元吉, 乃得无咎, 故曰“元吉, 无咎.”
注
[注]時可以大作이로되 而下不可以厚事하여 得其時而无其處라 故로 元吉이라야 乃得无咎也라
疏
[疏]正義曰:‘下不厚事’者, 厚事, 猶大事也.
六二는 或益之하여 十朋之龜를 弗克違라 永貞이라야 吉하니 王用享于帝하면 吉하리라
注
[注]以柔居中
하여 而得其位
하고 處內履中
하여 居益以
이라
益自外來하여 不召自至하여 不先不違하면 則朋龜獻策이 同於損卦六五之位로되 位不當尊故로 吉在永貞也라
帝者
는 生物之主
요 興益之宗
이니 라 六二居益之中
하여 體柔當位
하고 而應於巽
하니 享帝之美 在此時也
라
疏
○正義曰:六二體柔居中, 當位應巽, 是居益而能用謙沖者也. 居益用謙, 則物自外來,
朋龜獻策, 弗能違也, 同於損卦六五之位, 故曰“或益之, 十朋之龜, 弗克違”也.
然位不當尊, 故永貞乃吉, 故曰“永貞, 吉.” 帝, 天也. 王用此時, 以享祭於帝, 明靈降福, 故曰“王用享於帝吉”也.
疏
[疏]正義曰:‘自外來’者, 明益之者, 從外自來, 不召而至也.
六三은 益之를 用凶事라야 无咎라 有孚中行하여 告公用圭니라
注
[注]以陰居陽하여 求益者也라 故로 曰 益之라하니라 益不外來하고 己自爲之하여 物所不與라 故로 在謙則戮하고 救凶則免이라
以陰居陽하여 處下卦之上하니 壯之甚也니 用救衰危면 物所恃也라 故로 用凶事라야 乃得无咎也라
若能益不爲私하여 志在救難하고 壯不至亢하여 不失中行하여 以此告公이면 國主所任也니
用圭之禮 備此道矣라 故로 曰 有孚中行하여 告公用圭也라하니라 公者는 臣之極也라
凡事足以施天下면 則稱王이요 次天下之大者는 則稱公이니
六三之才 不足以告王이요 足以告公하여 而得用圭也라 故로 曰 中行告公用圭也라하니라
疏
○正義曰:六三以陰居陽, 不能謙退, 是求益者也, 故曰“益之.”
益不外來, 己自爲之, 物所不與, 若以謙道責之, 則理合誅戮, 若以救凶原之, 則情在可恕.
然此六三, 以陰居陽, 處下卦之上, 壯之甚也. 用此以救衰危, 則物之所恃, 所以用凶事而得免咎,
若能求益, 不爲私己, 志在救難, 爲壯不至亢極, 能適於時, 是有信實而得中行,
故曰“有孚中行”也. 用此有孚中行之德, 執圭以告於公, 公必任之以救衰危之事, 故曰“告公用圭.”
疏
○正義曰:‘告王’者, 宜以文德燮理, 使天下人寧, 不當恒以救凶, 用志褊狹也.
疏
[疏]正義曰:‘固有之’者, 明其爲救凶, 則不可求益, 施之凶事, 乃得固有其功也.
注
[注]居益之時하고 處巽之始하여 體柔當位하고 在上應下하여 卑不窮下하고 高不處亢하니 位雖不中이나 用中行者也니
以斯告公이면 何有不從이리오 以斯依遷이면 誰有不納也리오
疏
[疏]正義曰:六四居益之時, 處巽之始, 體柔當位, 在上應下,
卑不窮下, 高不處亢, 位雖不中, 用中行者也, 故曰“中行”也.
以此中行之德, 有事以告於公, 公必從之, 故曰“告公從”也.
用此道以依人而遷國者, 人无不納, 故曰“利用爲依遷國”也.
遷國, 國之大事, 明以中行, 雖有大事, 而无不利.
疏
[疏]正義曰:‘以益志’者, 旣爲公所從, 其志得益也.
九五는 有孚惠心이라 勿問元吉이니 有孚하여 惠我德하리라
注
[注]得位履尊하여 爲益之主者也라 爲益之大 莫大於信이요 爲惠之大 莫大於心하니 因民所利而利之焉하여 惠而不費는 惠心者也라
信以惠心하여 盡物之願하니 固不待問而元吉이니 有孚하여 惠我德也라
以誠惠物이면 物亦應之라 故로 曰 有孚하여 惠我德也라하니라
疏
[疏]正義曰:九五得位處尊, 爲益之主, 兼張德義, 以益物者也.
爲益之大, 莫大於信, 爲惠之大, 莫大於心,
惠心者也,
有惠有信, 盡物之願, 必獲元吉, 不待疑問, 故曰“有孚惠心, 勿問元吉.”
我旣以信, 惠被於物, 物亦以信, 惠歸於我, 故曰“有孚, 惠我德”也.
象曰 有孚惠心은 勿問之矣며 惠我德은 大得志也라
疏
[疏]正義曰:‘大得志’者, 天下皆以信惠歸我, 則可以得志於天下, 故曰“大得志也.”
上九는 莫益之요 或擊之라 立心勿恒이니 凶이니라
注
[注]處益之極하여 過盈者也니 求益无已면 心无恒者也요 无厭之求는 人弗與也하여 獨唱莫和하니 是偏辭也라
疏
[疏]正義曰:上九處益之極, 益之過甚者也. 求益无厭, 怨者非一, 故曰“莫益之, 或擊之”也.
求益无已, 是立心无恒者也, 无恒之人, 必凶咎之所集, 故曰“立心勿恒, 凶.”
疏
‘自外來’者, 怨者非一, 不待召也, 故曰“自外來也.”
益은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우며 大川을 건넘이 이롭다.
疏
正義曰:[益] 더하고 충족하는 이름이니, 위를 덜어 아래에 보태므로 卦의 이름을 ‘益’이라 한 것이다. 아래가 이미 소유하고 있는데 위에서 다시 보태니, 聖人이 물건을 이롭게 함이 끝이 없음을 밝힌 것이다.
損卦는 아래를 덜어 위에 보태고 益卦는 위를 덜어 아래에 보태는 것으로, 卦의 이름을 얻음이 모두 아래를 가지고 이름하고 위를 근거하지 않은 것은,
向秀가 말하기를 “明王의 道는 뜻이 아랫사람을 은혜롭게 함에 있으므로 아래에서 취하는 것을 ‘損’이라 하고 아래에 주는 것을 ‘益’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이미 위에서 아래를 은혜롭게 하는 道를 행하여 萬物을 이롭고 유익하게 해서 動함에 어김이 없으면 어디로 간들 이롭지 않겠는가. 그러므로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라고 한 것이다. 益으로서 어려움을 건너면 이치에 험하고 막힘이 없으므로 “大川을 건넘이 이롭다.”라고 한 것이다.
〈彖傳〉에 말하였다. “益은 위를 덜어 아래에 보태니, 백성들의 기쁨이 끝이 없다.
注
震은 陽이고 巽은 陰이니, 巽은 震을 어기는 자가 아니다. 위에 있으면서 공손하여 아래를 어기지 않음은 위를 덜어 아래에 보탬을 이른 것이다.
疏
正義曰:이는 두 體를 가지고 卦名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柔의 덞은 위에 있고 剛의 動은 아래에 있어서 위가 공손하여 아래를 어기지 않음은 위를 덜어 아래에 보태는 뜻이다.
이미 위에 있는 자가 능히 스스로 덜어 아래에 보태면 아래에 있는 백성들의 기뻐함이 다시 끝이 없으니, 益卦를 ‘益’이라 이름한 이유는 바로 위를 덜어 아래를 보태어서 백성들의 기쁨이 끝이 없기 때문이다.
위에서 아래에게 낮추니 그 道가 크게 빛나고, 가는 바를 둠이 이로움은 中正하여 福慶(吉慶)이 있기 때문이다.
注
九五가 中正에 처하여 위에서 아래에게 낮춘다. 그러므로 福慶이 있는 것이다. 中正하여 福慶이 있는 德으로 갈 바를 두면 어디로 간들 이롭지 않겠는가.
疏
正義曰:이는 九五의 爻를 가지고 ‘가는 바를 둠이 이로움은 中正하여 福慶이 있기 때문임’을 해석한 것이다. 九五가 中正에 처하여 능히 위에서 아래에게 낮추면 그 道가 光大하여 천하가 福慶으로 여기고 순히 따르는 바가 되는 것이다.
中正하여 福慶이 있는 德을 지녔기 때문에 가는 바가 이롭지 않음이 없는 것이니, 益卦가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운 이유는 바로 中正하여 福慶이 있기 때문임을 말한 것이다.
大川을 건넘이 이로움은 나무의 道가 마침내 행해지는 것이다.
注
나무는 大川을 건너는 것을 떳떳함으로 여겨서 빠지지 않는 것이니, 益으로서 어려움을 건너는 것이 나무와 같은 것이다.
疏
正義曰:이는 비유를 취하여 ‘大川을 건넘이 이로움’을 해석한 것이다. 나무의 體는 가볍게 떠서 大川을 건너는 것을 떳떳함으로 여겨 빠지지 않으니, 益으로써 어려움을 건너는 것은 나무의 道가 川을 건너는 것과 같다.
川을 건넘에 해가 없어야 비로소 益이 이로움이 됨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大川을 건넘이 이로움은 나무의 道가 마침내 행해지는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益은 動하고 겸손하여 날로 나아감이 끝이 없으며, 하늘이 베풀고 땅이 낳아 그 유익함이 일정한 方所가 없으니,
疏
正義曰:[益 動而巽 日進无疆] 이로부터 이하는 益卦의 뜻을 넓혀 밝힌 것이다. 앞에서는 두 體를 가지고 위를 덜어 아래에 보탬을 밝혀서 卦의 이름을 해석하였으니,
아래에서 動하여 구함이 있을 적에 위에서 능히 공손히 접함은 바로 위를 덜어 아래에 보태는 뜻이다. 그리고 지금은 두 體를 가지고서 다시 유익함을 얻는 방법을 밝혔으니,
만약 動하면서 교만하고 가득 차면 저 덜어짐이 끝이 없지만 만약 動하면서 낮추고 공손하면 進益함이 끝이 없다. 그러므로 “益은 動하고 겸손하여 날로 나아감이 끝이 없다.”라고 한 것이다.
[天施地生 其益无方] 이것은 하늘과 땅을 가지고 益의 큰 뜻을 넓혀 밝힌 것이다.
하늘이 기운을 땅에 베풀고 땅이 기운을 받아 萬物을 化生함은 또한 위를 덜어 아래에 보태는 뜻이니, 그 베풀어 化生하는 유익함이 일정한 方所가 없다. 그러므로 “하늘이 베풀고 땅이 낳아 그 유익함이 일정한 方所가 없다.”라고 한 것이다.
모든 유익하게 하는 方道는 때와 더불어 함께 행하는 것이다.”
注
益의 쓰임은 부족한 자에게 베푸는 것이니, 가득한데 더해주는 것은 해치는 道이다. 그러므로 모든 유익하게 하는 方道는 때와 더불어 함께 행하는 것이다.
疏
正義曰:비록 유익함을 베풂이 일정한 방소가 없으나 항상 사용해서는 안 되고, 마땅히 때에 應하여 행해야 한다. 그러므로 ‘모든 유익함’을 들어 총괄하여 맺은 것이다. 그래서 “모든 유익하게 하는 方道는 때와 더불어 함께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바람과 우레가 益卦이니, 君子가 보고서 善을 보면 옮겨가고 허물이 있으면 고친다.”
注
善으로 옮겨가고 허물을 고치면 유익함이 이것보다 큰 것이 없다.
疏
正義曰:≪子夏易傳≫에 “우레로 動하고 바람으로 흩어서 萬物이 모두 가득 찬다.”라고 하였고, 孟僖의 말도 이와 뜻이 같으니, 반드시 우레가 앞에서 動하고 바람이 뒤에서 흩은 뒤에야 萬物이 모두 유익함을 말한 것이다.
예컨대 二月에 우레가 울려서 땅속에서 잠자던 벌레가 나오게 한 뒤에 바람으로 물건을 자라게 하고, 八月에 우레 소리를 거둔 뒤에 바람으로 물건을 衰殘하게 하는 것과 같으니, 바람이 유익함이 됨은 우레의 뒤에 있다. 그러므로 “바람과 우레가 益卦이다.”라고 한 것이다.
遷은 옮겨가고 사모하고 숭상함을 이르고, 改는 고치고 징계하고 그침을 이른다. 善으로 옮겨가고 허물을 고치면 유익함이 이보다 더 큰 것이 없다. 그러므로 君子가 益을 구함에 善을 보면 옮겨가고 허물이 있으면 고치는 것이다.
六子 가운데에 모두 남을 유익하게 함이 있는데 오직 우레와 바람을 취한 것은, 何晏이 말하기를 “가장 크고(뛰어나고) 오래하는 뜻을 취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初九는 큰 일을 일으킴이 이로우니, 크게 吉하여야 허물이 없으리라.
注
益卦의 처음에 처하고 動의 시초에 거하였으니, 剛德을 體行하여 그 일에 임하되 겸손함으로 가니, 이러한 방식으로 큰 일을 일으키면 반드시 큰 功을 얻는다.
아래에 거함은 일을 크게 할 자리가 아니고, 낮은 곳에 있음은 임무가 무거운 곳이 아니며, 큰 일을 일으킴은 작은 功으로 이룰 수 있는 바가 아니다. 그러므로 크게 吉하여야 비로소 허물이 없을 수 있는 것이다.
疏
正義曰:大作은 큰 일을 興作함을 이른다. 初九가 益卦의 처음에 처하고 動의 시초에 거하여 큰 일을 일으키는 단서가 있고,
또 體가 강하여 능히 주간하고, 巽에 應하여 어기지 않아서, 큰 功을 감당하여 세울 수 있는 德이 있다. 그러므로 “큰 일을 일으킴이 이롭다.”라고 한 것이다.
그러나 재주가 있으나 지위가 없고 때를 얻었으나 처소가 없어서 비록 남다른 功이 있으나 사람들이 허여(인정하고 도와줌)하지 않으니, 세상 사람들이 허여하지 않으면 허물이 생겨난다. 그러므로 반드시 크게 吉하여야 허물이 없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크게 吉하여야 허물이 없으리라.”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크게 吉하여야 허물이 없다’는 것은 아래에서는 큰 일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注
때는 큰 일을 일으킬 수 있으나 아래에서는 큰 일을 할 수 없어서 때를 얻었으나 처소가 없으므로 크게 길하여야 허물이 없을 수 있는 것이다.
六二는 혹자가 보태주어서 열 종류의 거북껍질을 어기지 못한다. 영원히 하고 貞固하여야 吉하니, 王이 이때를 사용하여 上帝에게 祭享하면 吉하리라.
注
柔로서 中에 거하여 正位를 얻었고, 안에 처하고 中을 밟고 있어서 沖(겸손함)으로서 益의 때에 거한다.
그래서 益이 밖에서 와서 부르지 않아도 스스로 이르러 먼저 하지 않고 어기지 않으니, 이렇게 되면 열 종류의 거북껍질이 계책을 올림이 損卦의 六五의 자리와 같으나 지위가 尊位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吉함이 영원히 하고 貞固함에 있는 것이다.
‘帝’는 물건을 낳는 주체이고 유익함을 일으키는 宗主이니, 震에서 나와 巽에서 깨끗한 자이다. 六二가 益의 가운데에 거하여 體가 柔이면서 지위를 담당하고 巽에 應하니, 上帝에게 제향함의 아름다움이 이때에 있는 것이다.
疏
○正義曰:六二는 體가 柔이면서 中에 거하고 지위를 담당하고 巽에 응하니, 이는 益의 때에 거하여 능히 겸손함을 사용하는 자이다. 益의 때에 거하여 겸손함을 사용하면 물건이 밖에서 오니,
열 종류의 거북껍질이 계책을 올리는 것을 어길 수 없는바, 損卦의 六五의 자리와 같다. 그러므로 “혹자가 보태주어서 열 종류의 거북껍질을 어기지 못한다.”라고 한 것이다.
그러나 지위가 尊位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영원히 하고 貞固하여야 吉하다. 그러므로 “영원히 하고 貞固하여야 吉하다.”라고 한 것이다. 帝는 하늘이다. 왕이 이때를 사용하여 上帝에게 祭享하여 밝은 神靈에게 福을 내린다. 그러므로 “王이 이때를 사용하여 上帝에게 祭享하면 吉하리라.”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혹자가 보탠다.’는 것은 밖에서 오는 것이다.”
疏
正義曰:[自外來] 유익하게 해주는 자가 밖에서부터 스스로 와서 부르지 않아도 이름을 밝힌 것이다.
六三은 유익하게 함을 흉한 일에 사용하여야 허물이 없다. 孚信이 있고 中道를 행하여 公에게 고함에 圭를 사용한다.
注
陰으로서 陽의 자리에 거하여 유익함을 구하는 자이다. 그러므로 “유익하게 한다.”라고 한 것이다. 유익함이 밖에서 오지 않고 자기가 스스로 만들어서 남들이 허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겸손한 도리에 있으면 誅戮을 당하고 흉함을 구원하면 誅戮을 면하는 것이다.
陰으로서 陽의 자리에 거하여 下卦의 위에 있으니, 건장함이 심한 것이다. 이것을 사용하여 쇠함과 위태로움을 구원하면 남들이 믿는다. 그러므로 흉한 일에 사용하여야 비로소 허물이 없을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유익함이 자신의 사사로움을 위하지 아니하여 뜻이 어려움을 구제하는 데에 있고, 건장함이 亢極함에 이르지 아니하여 中行(中道)을 잃지 않아서 이로써 公에게 고하면 나라의 군주가 신임하니,
圭를 사용하는 禮가 이 道에 구비되었다. 그러므로 “孚信이 있고 中道를 행하여 公에게 고함에 圭를 사용한다.”라고 한 것이다. ‘公’은 신하의 極이다.
모든 일을 천하에 베풀 수 있으면 이것을 ‘王’이라 일컫고, 천하의 큰 것에 다음인 자를 ‘公’이라 일컬으니,
六三의 재주는 王에게 고할 수는 없고 公에게 고할 수는 있어서 圭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中道를 행하여 公에게 고함에 圭를 사용한다.”라고 한 것이다.
疏
○正義曰:六三이 陰으로서 陽의 자리에 거하여 겸손하지 못하니, 이는 유익함을 구하는 자이다. 그러므로 “유익하게 한다.”라고 한 것이다.
유익함이 밖에서 오지 않고 자기가 스스로 만들어서 남들이 허여하지 않는 바이니, 만약 겸손한 도리로 꾸짖는다면 도리상 마땅히 誅戮을 당해야 하고, 만약 흉함을 구원하는 것으로 용서하면 情이 용서할 만한 입장에 있다.
그러나 이 六三이 陰으로서 陽의 자리에 거하여 下卦의 위에 있으니, 건장함이 심한 것이다. 이것을 사용하여 쇠함과 위태로움을 구원하면 남들이 믿는 바이니, 이 때문에 흉한 일에 사용하여야 허물을 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익하게 함을 흉한 일에 사용하여야 허물이 없다.”라고 한 것이다. 만약 유익함을 구함이 자신을 사사롭게 하는 것이 아니어서 뜻이 어려움을 구제함에 있고 건장함이 亢極함에 이르지 않아서 능히 때에 적당하게 하면, 이는 信實이 있으면서 中行을 얻은 것이다.
그러므로 “孚信이 있고 中道를 행한다.”라고 한 것이다. 이 ‘孚信이 있고 中道를 행함’의 德을 사용하여 圭를 잡고서 公에게 고하면 公이 반드시 쇠함과 위태로움을 구원하는 일을 맡길 것이다. 그러므로 “公에게 고함에 圭를 사용한다.”라고 한 것이다.
疏
○正義曰:[告王] 마땅히 文德으로 조화하고 다스려서 천하 사람들을 편안하게 해야 하고, 항상 흉함을 구원하여 뜻을 씀이 褊狹해서는 안 된다.
〈象傳〉에 말하였다. “‘유익하게 함을 흉한 일에 사용함’은 굳게 功을 소유하는 것이다.”
注
이것을 사용하여 흉한 일에 베풀어야 비로소 굳게 소유할 수 있는 것이다.
疏
正義曰:[固有之] 흉함을 구원함은 유익함을 구해서는 안 되니, 이것을 흉한 일에 베풀어야 비로소 그 功을 굳게 소유할 수 있음을 밝힌 것이다.
六四는 中行(中道)을 하니 公에게 告하면 따르고, 이 道로써 남에게 의지하여 國都를 옮김이 이롭다.
注
益卦의 때에 거하고 巽卦의 시초에 처하여 體가 柔이면서 지위를 담당하고 위에 있으면서 아래에 應하여, 낮아도 끝까지 내려가지 않고 높아도 亢極에 처하지 않으니, 자리가 비록 中하지 않으나 中行을 사용하는 자이다.
이로써 公에게 고하면 어찌 따르지 않음이 있겠는가. 이로써 의지하여 國都를 옮기면 누가 받아들이지 않겠는가.
疏
正義曰:六四가 益卦의 때에 거하고 巽의 시초에 처하여 體가 柔이면서 지위를 담당하고 위에 있으면서 아래에 應하여,
낮아도 끝까지 내려가지 않고 높아도 亢極에 처하지 않으니, 자리가 비록 中하지 않으나 中行을 사용하는 자이다. 그러므로 “中行”이라 한 것이다.
이 中行의 德을 가지고 일이 있어 公에게 고하면 公이 반드시 따른다. 그러므로 “公에게 고하면 따른다.”라고 한 것이다.
이 道를 사용하여 남에게 의지하여 國都를 옮기면 사람들이 받아들이지 않음이 없다. 그러므로 “이 道로써 남에게 의지하여 國都를 옮김이 이롭다.”라고 한 것이다.
國都를 옮김은 나라의 큰 일이니, 中行으로써 밝히면 비록 큰 일이 있으나 이롭지 않음이 없다. 예컨대 周나라가 동쪽으로 천도할 적에 晉나라와 鄭나라에 의지했다는 것과 같은 뜻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公에게 고하면 따름’은 뜻이 유익함을 얻기 때문이다.”
疏
正義曰:[以益志] 이미 公이 따르는 바가 되어서 그 뜻이 유익함을 얻는 것이다.
九五는 은혜로운 마음에 孚信을 두어 묻지 않아도 크게 吉하니, 孚信을 두어 나의 德을 은혜롭게 여기리라.
注
지위를 얻고 높은 자리를 밟고 있어서 益卦의 주체가 된 자이다. 유익함의 큼은 信보다 더 큰 것이 없고, 은혜의 큼은 마음보다 더 큰 것이 없으니, 백성이 이롭게 여기는 바를 인하여 이롭게 해서 은혜롭게 하되 허비하지 않음은 은혜로운 마음을 간직한 자이다.
은혜로운 마음으로써 믿게 하여 남의 소원을 다 이루어주어서, 진실로 묻기를 기다리지 않고도 크게 吉하니, 孚信이 있어서 나의 德을 은혜롭게 여기는 것이다.
정성으로 남을 은혜롭게 하면 남 또한 應한다. 그러므로 “孚信을 두어 나의 德을 은혜롭게 여기리라.”라고 한 것이다.
疏
正義曰:九五가 지위를 얻고 높은 자리에 처하여 益卦의 주체가 되어서 德과 義를 겸하여 베풀어 물건을 이롭게 하는 자이다.
유익함의 큼은 信보다 더 큰 것이 없고, 은혜의 큼은 마음보다 더 큰 것이 없으니, 백성들이 이롭게 여기는 바를 인하여 이롭게 해주어서 은혜롭되 허비하지 않음은 은혜로운 마음을 간직한 자이다.
은혜가 있고 孚信이 있어서 남의 소원을 다 이루어주면 반드시 크게 吉함을 얻어서 疑問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은혜로운 마음에 孚信을 두어 묻지 않아도 크게 吉하다.”라고 한 것이다.
내가 이미 孚信으로 은혜를 남에게 입히면 남 또한 孚信으로 은혜롭게 나에게 돌아온다. 그러므로 “孚信을 두어 나의 德을 은혜롭게 여기리라.”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은혜로운 마음에 孚信을 둠’은 물을 것이 없으며, ‘나의 德을 은혜롭게 여김’은 크게 뜻을 얻는 것이다.”
疏
正義曰:[大得志] 천하 사람들이 모두 信과 惠를 가지고 나에게 돌아오면 천하에 뜻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크게 뜻을 얻는다.”라고 한 것이다.
上九는 보태주는 이가 없고 혹은 공격할 것이다. 마음을 세우기를 항상하지 않는 것이니, 흉하다.
注
益卦의 極에 처하여 지나치게 가득한 자이니, 더하기를 구하여 그치지 않으면 마음이 항상함이 없는 자요, 만족함이 없는 요구는 사람들이 허여하지 않아서 홀로 唱함에 화답하는 이가 없으니, 이는 편벽된 말이다.
人道는 가득한 것을 미워하여 원망하는 자가 한둘이 아니다. 그러므로 “혹은 공격한다.”라 한 것이다.
疏
正義曰:上九가 益卦의 極에 처하였으니, 유익하기를 너무 심하게 하는 자이다. 유익함을 구함에 만족함이 없으면 원망하는 사람이 한둘이 아니다. 그러므로 “보태주는 이가 없고 혹은 공격할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勿은 无와 같다. 유익함을 구함이 끝이 없으면 이는 마음을 세움이 항상함이 없는 자이니, 항상함이 없는 사람은 반드시 흉함과 허물이 모여든다. 그러므로 “마음을 세우기를 항상하지 않는 것이니, 흉하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보태주는 이가 없음’은 편벽된 말이요, ‘혹은 공격함’은 밖으로부터 오는 것이다.”
疏
正義曰:[偏辭] 이는 구함이 있으나 저가 應하지 않으니, 이것이 ‘편벽된 말’이다.
[自外來] 원망하는 자가 한둘이 아니어서 부르기를 기다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밖으로부터 오는 것이다.”라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