注
[注]全以巽爲德하니 是以小亨也라 上下皆巽하여 不違其令이라야 命乃行也라 故로 申命行事之時에 上下不可以不巽也라
疏
[疏]正義曰:‘巽’者, 卑順之名. 說卦云“巽, 入也.” 蓋以巽是象風之卦, 風行, 無所不入, 故以入爲訓.
若施之於人事, 能自卑巽者, 亦無所不容. 然巽之爲義, 以卑順爲體, 以容入爲用, 故受巽名矣.
上下皆巽, 不爲違逆, 君唱臣和, 敎令乃行, 故於重巽之卦, 以明申命之理.
疏
[疏]正義曰:巽悌以行, 物无違距, 故曰“利有攸往.”
疏
[疏]正義曰:此卦以卑巽爲名, 以申命爲義, 故就二體上下皆巽, 以明可以申命也.
上巽, 能接於下, 下巽, 能奉於上, 上下皆巽, 命乃得行, 故曰“重巽以申命”也.
疏
[疏]正義曰:‘剛巽乎中正而志行’者, 雖上下皆巽, 若命不可從, 則物所不與也.
故又因二ㆍ五之爻, 剛而能巽, 不失其中, 所以志意得行, 申其命令也.
疏
○正義曰:‘柔皆順乎剛’者, 剛雖巽爲中正, 柔若不順乎剛, 何所申其命乎.
故又就初ㆍ
, 各處卦下, 柔皆順剛, 无有違逆, 所以敎命得申, 成小亨以下之義也.
疏
○正義曰:案彖倂擧小亨ㆍ利有攸往ㆍ利見大人以結之, 則柔皆順剛之意, 不專釋小亨二字,
而注獨言“明无違逆, 故得小亨”者, 褚氏云“夫
, 其道乃弘, 柔皆順剛, 非大通之道,
所以文王係小亨之辭, 孔子致皆順之釋.” 案王注上下卦之體, 皆以巽言之,
疏
[疏]正義曰:‘隨風 巽’者, 兩風相隨, 故曰“隨風”, 風旣相隨, 物无不順, 故曰“隨風, 巽.”
‘君子以申命行事’者, 風之隨至, 非是令初, 故君子
之以申命行事也.
注
[注]處令之初하여 未能服令者也라 故로 進退也라 成命齊邪는 莫善武人이라 故로 利武人之貞以整之하니라
疏
[疏]正義曰:初六, 處令之初, 法未宣著, 體於柔巽, 不能自決, 心懷進退, 未能從令者也.
疏
[疏]正義曰:‘志疑’者, 欲從之, 則未明其令, 欲不從, 則懼罪及己, 志意懷疑, 所以進退也.
九二는 巽在牀下니 用史巫하면 紛若吉하여 无咎리라
注
[注]處巽之中하여 旣在下位하고 而復以陽居陰하니 卑巽之甚이라 故로 曰 巽在牀下也라하니라
卑甚失正이면 則入于咎過矣어늘 能以居中而施至卑於神祗하고 而不用之於威勢하면 則乃至于紛若之吉하여 而亡其過矣라
疏
[疏]正義曰:‘巽在牀下’者, 九二處巽下體, 而復以陽居陰, 卑巽之甚, 故曰“巽在牀下.”
‘用史巫 紛若吉 无咎’者,
並是接事鬼神之人也. 紛若者, 盛多之貌.
卑甚失正, 則入於過咎. 人有威勢, 易爲行恭, 神道无形, 多生怠慢,
若能用居中之德, 行至卑之道, 用之於神祗, 不行之於威勢, 則能致之於盛多之吉, 而无咎過,
注
[注]頻은 頻蹙하여 不樂而窮하니 不得已之謂也라 以其剛正而爲四所乘하여 志窮而巽이라 是以吝也라
疏
[疏]正義曰:‘頻巽 吝’者, 頻者, 頻蹙憂戚之容也. 九三體剛居正, 爲四所乘, 是志意窮屈, 不得申遂也.
疏
[疏]正義曰:‘志窮’者, 志意窮屈, 所以爲吝也.
注
[注]乘剛은 悔也라 然이나 得位承五하여 卑得所奉이라 雖以柔乘剛이나 而依尊履正하니 以斯行命이면 必能獲强暴하여 遠不仁者也라
獲而有益은 莫善三品이라 故로 曰 悔亡이니 田獲三品이라하니라 一曰 乾豆요 二曰 賓客이요 三曰 充君之庖라
疏
[疏]正義曰:‘悔亡 田獲三品’者, 六四有乘剛之悔, 然得位承尊, 得其所奉,
雖以柔乘剛, 而依尊履正, 以斯行命, 必能有功, 取譬田獵, 能獲而有益, 莫善三品, 所以得悔亡.
疏
[疏]正義曰:‘有功’者, 田獵有獲, 以喩行命有功也.
九五는 貞吉하여 悔亡하여 无不利하니 无初有終이라 先庚三日하고 後庚三日이면 吉하리라
注
[注]以陽居陽하여 損於謙巽이라 然이나 秉乎中正하여 以宣其令하여 物莫之違라 故로 曰 貞吉하여 悔亡하여 无不利也라하니라
化不以漸하고 卒以剛直으로 用加於物이라 故로 初皆不說也나 終於中正이면 邪道以消라 故로 有終也라
申命令을 謂之庚이라 夫以正齊物을 不可卒也요 民迷固久하여 直不可肆也라
故
로 先申三日
하여 令著之後
에 復申三日
이니 然後
에 誅而无咎怨矣
라 라
疏
[疏]正義曰:九五以陽居陽, 違於謙巽, 是悔也. 然執乎中正, 以宣其令, 物莫之違,
是由貞正獲吉, 故得悔亡而无不利, 故曰“貞吉, 悔亡, 无不利”也.
‘无初有終’者, 若卒用剛直, 化不以漸, 物皆不說, 故曰“无初”也. 終於中正, 物服其化, 故曰“有終”也.
‘先庚三日 後庚三日 吉’者, 申命令謂之庚, 民迷固久, 申不可卒, 故先申之三日, 令著之後, 復申之三日,
疏
[疏]正義曰:‘位正中’者, 若不以九居五位, 則不能以中正齊物, 物之不齊, 无由致吉, 致吉, 是由九居五位, 故擧爻位言之.
注
[注]處巽之極하여 極巽過甚이라 故로 曰 巽在牀下也라하니라
斧는 所以斷者也니 過巽失正이면 喪所以斷이라 故로 曰 喪其資斧하여 貞凶也라하니라
疏
[疏]正義曰:‘巽在牀下’者, 上九處巽之極, 巽之過甚, 故曰“巽在牀下.”
‘貞凶’者, 失其威斷, 是正之凶, 故曰“貞凶”也.
象曰 巽在牀下는 上窮也일새요 喪其資斧는 正乎凶也라
疏
[疏]正義曰:上窮者, 處上窮巽, 故過在牀下也.
注
온전히 공손함을 德으로 삼으니 이 때문에 조금 형통한 것이다. 위와 아래가 모두 공손하여 그 명령을 어기지 않아야 명령이 비로소 행해진다. 그러므로 거듭 명령을 내려서 일을 행할 때에는 위와 아래가 공손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疏
正義曰:[巽] 낮추고 順한 이름이다. 〈說卦傳〉에 “巽은 들어감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巽’은 바람을 형상한 卦로, 바람이 다니면 들어가지 못하는 곳이 없기 때문에 들어감을 訓으로 삼은 것이다.
만약 이것을 사람의 일에 베풀면, 사람이 능히 스스로 낮추고 공손한 자는 또한 용납되지 않는 곳이 없다. 그러나 巽의 뜻은 낮추고 순함을 體로 삼고 용납되어 들어감을 用으로 삼는다. 그러므로 ‘巽’이란 이름을 받은 것이다.
위와 아래가 모두 공손하여 어기고 거스르지 않아서 군주가 先唱하면 신하가 和答하여야 敎令이 비로소 행해진다. 그러므로 重巽의 卦에서 거듭 명령을 내리는 이치를 밝힌 것이다.
비록 위와 아래가 모두 공손하여 명령이 행해질 수 있으나 낮추고 공손함을 온전히 사용하면 통하는 바가 크지 못하다. 그러므로 “조금 형통하다.”라고 한 것이다.
注
공손함으로 행하면 물건(남)이 막는 이가 없는 것이다.
疏
正義曰:공손함으로 행하면 물건이 어기고 막는 이가 없다. 그러므로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라고 한 것이다.
疏
正義曰:공손함만을 능히 사용하는 자는 모두 가는 곳마다 이롭지 않음이 없으나, 大人이 공손함을 사용하면 그 道가 더욱 높아진다. 그러므로 “大人을 만나봄이 이롭다.”라고 하였으니, 위와 아래가 모두 공손함을 써야 함을 밝힌 것이다.
〈彖傳〉에 말하였다. “거듭된 巽으로써 거듭 명령을 내리니,
注
〈이렇게 하여야〉 명령이 비로소 행해지는 것이니, 공손하지 않고서 명령이 행해지는 경우는 있지 않다.
疏
正義曰:이 卦는 낮추고 공손함을 이름으로 삼고 거듭 명령을 내림을 뜻으로 삼았다. 그러므로 두 體의 위와 아래가 모두 공손함을 가지고 거듭 명령을 내릴 수 있음을 밝힌 것이다.
위가 공손하면 능히 아랫사람을 접하고 아랫사람이 공손하면 능히 윗사람을 받드니, 위와 아래가 모두 공손하여야 명령이 비로소 행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거듭된 巽으로써 거듭 명령을 내린다.”라고 한 것이다.
注
剛으로서 능히 공손함을 사용하고 中正에 처함은 물건들이 함께하는 바이다.
疏
正義曰:[剛巽乎中正而志行] 비록 위와 아래가 모두 공손하나 만약 명령이 따를 수 없으면 물건들이 함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또 九二와 九五의 爻가 剛하면서 능히 공손하고 中을 잃지 않음으로 인하여 이 때문에 뜻이 행해져서 거듭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것이다.
注
어기고 거스름이 없으므로 조금 형통함을 얻음을 밝힌 것이다.
疏
○正義曰:[柔皆順乎剛] 剛이 비록 공손하고 中正하나 柔가 만약 剛에게 순하지 않으면 어떻게 명령을 거듭 내릴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또 ‘初六과 六四가 각각 卦의 아래에 처하여 柔가 모두 剛에게 순해서 어기고 거스름이 없음’을 가지고 말하였으니, 이 때문에 敎令을 거듭 내려서 ‘小亨’ 이하의 뜻을 이룬 것이다.
疏
○正義曰:살펴보건대, 〈彖傳〉에서는 卦辭의 ‘小亨’ㆍ‘利有攸往’ㆍ‘利見大人’을 함께 들어 맺은 것이니, 이는 柔가 모두 剛을 순종하는 뜻이요, 오로지 ‘小亨’ 두 글자만 해석한 것은 아니다.
그런데 注에서 다만 “어기고 거스름이 없으므로 조금 형통함을 얻음을 밝힌 것이다.”라고 말한 것은, 褚氏(褚仲都)가 말하기를 “獻可替否(옳은 일은 행하도록 건의하고, 옳지 못한 일은 고치도록 직간함)를 하여야 그 道가 비로소 커지니, 柔가 모두 剛에게 순함은 크게 형통한 道가 아니다.
이 때문에 文王이 ‘小亨’이라는 卦辭를 달았고, 孔子가 ‘皆順’이라는 해석을 가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살펴보건대, 王輔嗣(王弼)가 上卦와 下卦의 體에 대하여 注를 낼 적에 모두 ‘공손함’을 가지고 말하였으니,
柔가 剛을 어기지 않음은 바로 공손한 뜻이다. 그러므로 ‘皆順’이란 말이 卦辭의 여러 글을 통틀어 해석한 것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조금 형통하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롭고, 大人을 만나봄이 이로운 것이다.”
疏
正義曰:‘是以小亨’ 이하는 經文을 해석하여 맺은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따르는 바람이 巽卦이니, 君子가 보고서 거듭 명령을 내려서 일을 행한다.”
疏
正義曰:[隨風 巽] 두 바람이 서로 따르므로 ‘따르는 바람’이라 하였으니, 바람이 이미 서로 따르면 물건이 순종하지 않는 것이 없다. 그러므로 “따르는 바람이 巽卦이다.”라고 한 것이다.
[君子以申命行事] 바람이 따라 이름은 처음 명령하는 때가 아니다. 그러므로 君子가 이를 본받아 거듭 명령을 내려서 일을 행하는 것이다.
初六은 나아가고 물러나니, 武人의 貞함이 이롭다.
注
처음 명령하는 때에 처하여 명령에 복종할 수 없는 자이다. 그러므로 나아가고 물러가는 것이다. 명령을 이루어 간사함을 가지런히 함은 武人보다 더 좋은 것이 없다. 그러므로 武人의 貞함을 사용하여 整齊함이 이로운 것이다.
疏
正義曰:初六이 처음 명령하는 때에 처하여 法이 아직 펴지고 드러나지 못하였는데 體가 柔巽이라서 스스로 결단하지 못하고 마음에 나아가고 물러남을 품어서 능히 명령을 따르지 못하는 자이다.
명령을 이루어 간사함을 가지런히 함은 威武보다 더 좋은 것이 없으니, 이미 명령을 따르지 못하면 마땅히 武人의 바름을 사용하여 整齊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나아가고 물러나니, 武人의 貞함이 이롭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나아가고 물러남’은 마음에 의심하기 때문이요,
注
巽順한 뜻으로 나아가고 물러남에 의심하고 두려워하는 것이다.
疏
正義曰:[志疑] 따르고자 하면 그 명령을 밝게 알지 못하고, 따르지 않고자 하면 죄가 자기 몸에 미칠까 두려워하여 마음에 의심을 품으니, 이 때문에 나아가고 물러나는 것이다.
‘武人의 貞이 이로움’은 뜻이 〈사람들을〉 다스리는 데 있는 것이다.”
疏
正義曰:[志治也] 威武는 명령을 행할 적에 마땅한 바가 아니나, ‘利武人’이라고 말한 것은 뜻이 사람들로 하여금 따라서 다스려지게 함에 있으므로 “武人이 이롭다.”라고 한 것이다.
이는 蒙卦의 初六 〈象傳〉에 “사람을 형벌함이 이로움은 法을 바로잡는 것이다.”라고 한 것과 같다.
九二는 공손함이 牀 아래에 있으니, 祝史와 무당에 사용하면 크게 吉하여 허물이 없으리라.
注
巽의 中에 처하여 이미 아랫자리에 있고 다시 陽으로서 陰의 자리에 있으니, 낮추고 공손함이 심하다. 그러므로 “공손함이 牀 아래에 있다.”라고 한 것이다.
낮춤이 심하여 바름을 잃으면 허물로 들어간다. 그런데 中에 있으면서 지극히 낮춤을 天神과 地祇(地神)에게 베풀고, 이것을 위엄과 세력이 있는 자에게 사용하지 않으면 마침내 紛若의 吉함에 이르러서 그 허물이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祝史와 무당에 사용하면 크게 吉하여 허물이 없으리라.”라고 한 것이다.
疏
正義曰:[巽在牀下] 九二가 巽의 下體에 처하고 다시 陽으로서 陰의 자리에 있으니, 낮추고 공손함이 심하다. 그러므로 “공손함이 牀 아래에 있다.”라고 한 것이다.
[用史巫 紛若吉 无咎] ‘史’는 祝史를 이르고 ‘巫’는 巫覡(여자무당과 남자무당)을 이르니, 모두 귀신을 접하여 섬기는 사람이다. ‘紛若’은 盛하고 많은 모양이다.
낮춤이 심하여 바름을 잃으면 허물로 들어간다. 사람이 위엄과 세력이 있는 자에게는 공손함을 행하기 쉬우나 神의 道는 나타남이 없어서 대부분 태만한 마음을 내니,
만약 中에 거한 德을 사용하여 지극히 낮추는 道를 행하기를 天神과 地祇에 사용하고 위엄과 권세 있는 자에게 행하지 않는다면 盛하고 많은 吉함을 이루어서 허물이 없을 수 있다.
그러므로 “祝史와 무당에 사용하면 크게 吉하여 허물이 없으리라.”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紛若의 吉함은 中을 얻었기 때문이다.”
疏
正義曰:[得中] 낮추고 공손함을 天神과 地祇에 사용하면, 이는 행함이 中을 얻은 것이다. 그러므로 紛若의 吉함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注
‘頻’은 頻蹙하여 즐겁지 못하고 곤궁하니, 부득이함을 이른다. 剛正으로서 六四에게 탐을 당해서 뜻이 곤궁하여 공손하다. 이 때문에 부끄러운 것이다.
疏
正義曰:[頻巽 吝] ‘頻’은 頻蹙하여 근심하는 모양이다. 九三이 體가 剛이고 正에 있으나 六四에게 탐을 당하니, 이는 뜻이 곤궁하고 굽혀져 이루지 못한 것이다.
이미 巽의 때에 처하여 다만 屈辱을 받아서 頻蹙하여 공손함은 鄙吝한 道이다. 그러므로 “頻蹙하여 공손하니, 부끄럽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頻巽의 부끄러움은 뜻이 곤궁하기 때문이다.”
疏
正義曰:[志窮] 뜻이 곤궁하고 굽히니, 이 때문에 부끄러움이 되는 것이다.
六四는 뉘우침이 없어지니, 사냥하여 세 品을 얻도다.
注
剛을 탐은 뉘우침이다. 그러나 正位를 얻고 九五를 받들고 있어서 낮은 자가 받들 바를 얻었다. 비록 柔로서 剛을 타고 있으나 높은 분(九五)에 의지하고 正道를 행하니, 이런 방식으로 명령을 행하면 반드시 强暴한 자를 잡고 不仁한 자를 멀리할 수 있다.
잡아서 유익함은 세 品보다 더 좋은 것이 없다. 그러므로 “뉘우침이 없어지니, 사냥하여 세 品을 얻는다.”라고 한 것이다. 〈‘세 品’은〉 첫 번째는 乾豆이고, 두 번째는 賓客에게 올리는 것이고, 세 번째는 군주의 푸줏간에 채워 넣는 것이다.
疏
正義曰:[悔亡 田獲三品] 六四는 剛을 탄 뉘우침이 있으나 正位를 얻고 높은 분을 받들어서 그 받들 바를 얻었다.
비록 柔로서 剛을 타고 있으나 높은 분에 의지하고 正道를 행하니, 이런 방식으로 명령을 행하면 반드시 능히 功이 있을 것인바, ‘사냥하여 능히 짐승을 잡아서 유익함은 세 品보다 더 좋은 것이 없음’을 취하여 비유하였으니, 이 때문에 뉘우침이 없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뉘우침이 없어지니, 사냥하여 세 品을 얻는다.”라고 한 것이다. ‘세 品’은 첫 번째는 乾豆이고, 두 번째는 賓客에게 올리는 것이고, 세 번째는 군주의 푸줏간에 채워 넣는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사냥하여 세 品을 얻음’은 功이 있는 것이다.”
疏
正義曰:[有功] 사냥하여 짐승을 잡음이 있는 것이니, 이로써 ‘명령을 행함에 功이 있음’을 비유한 것이다.
九五는 貞吉하여 뉘우침이 없어져서 이롭지 않음이 없으니, 처음은 없으나 끝마침이 있다. 먼저 庚하기를 3일을 하고 뒤에 庚하기를 3일을 하면 吉하리라.
注
陽으로서 陽의 자리에 있어서 겸손함이 줄어들었다. 그러나 中正을 지켜서 그 명령을 선포하여 사람들이 어기는 이가 없다. 그러므로 “貞吉하여 뉘우침이 없어져서 이롭지 않음이 없다.”라고 한 것이다.
교화를 점진적으로 하지 않고 갑자기 剛直함을 가지고 사람에게 가한다. 그러므로 처음에는 모두 기뻐하지 않으나 끝내 中正하면 간사한 道가 사라진다. 그러므로 좋은 끝마침이 있는 것이다.
命令을 거듭 내림을 ‘庚’이라 한다. 바름을 가지고 물건을 가지런히 함을 갑자기 해서는 안 되고, 백성들의 혼미함이 진실로 오래되어 곧바로 명령을 펼 수가 없다.
그러므로 먼저 명령을 거듭하기를 3일 동안 하여 명령이 드러난 뒤에 다시 3일 동안 거듭하는 것이니, 그런 뒤에 주벌하면 허물과 원망이 없다. 甲과 庚은 모두 거듭 命을 내림을 이른다.
疏
正義曰:九五가 陽으로서 陽의 자리에 있어서 겸손함에 위배되니, 이것이 뉘우침이다. 그러나 中正을 지켜서 그 명령을 선포하여 사람들이 어기는 이가 없으니,
이 때문에 貞正하여 吉함을 얻는다. 그러므로 뉘우침이 없어져 이롭지 않음이 없을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貞吉하여 뉘우침이 없어져서 이롭지 않음이 없다.”라고 한 것이다.
[无初有終] 만약 갑자기 剛直함을 사용하여 교화를 점진적으로 하지 않으면 사람들이 모두 기뻐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처음이 없다.”라고 한 것이다. 끝내 中正하면 사람들이 그 교화에 복종한다. 그러므로 “끝마침이 있다.”라고 한 것이다.
[先庚三日 後庚三日 吉] 거듭 명령을 내림을 ‘庚’이라 이르니, 백성들의 혼미함이 진실로 오래되어서 거듭 명령을 내림을 갑자기 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먼저 3일 동안 명령을 거듭하여 명령이 드러난 뒤에 다시 3일 동안 거듭하는 것이니,
그런 뒤에 誅罰을 가하면 백성들이 그 죄에 복종하여 원망하는 이가 없어서 吉함을 얻는 것이다. 그러므로 “먼저 庚하기를 3일을 하고 뒤에 庚하기를 3일을 하면 吉하리라.”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九五의 吉함은 자리가 正中하기 때문이다.”
疏
正義曰:[位正中] 만약 九로서 五位에 있지 않으면 中正으로써 사람들을 가지런히 하지 못하니, 사람들이 가지런히 하지 않으면 吉함을 이룰 길이 없다. 吉함을 이룸은 바로 九가 五位에 있음에 연유한 것이므로 爻의 자리를 들어 말한 것이다.
上九는 공손함이 牀 아래에 있어서 사용하는 도끼를 잃으니, 正道가 凶하다.
注
巽의 極에 처하여 지나치게 공손함이 너무 심하다. 그러므로 “공손함이 牀 아래에 있다.”라 한 것이다.
‘斧’는 결단하는 것이니, 지나치게 공손하여 바름을 잃으면 결단하는 바를 잃는다. 그러므로 “사용하는 도끼를 잃으니, 正道가 凶하다.”라고 한 것이다.
疏
正義曰:[巽在牀下] 上九가 巽의 極에 처하여 공손함이 너무 심하다. 그러므로 “공손함이 牀 아래에 있다.”라고 한 것이다.
[喪其資斧] 도끼는 능히 베어 결단하니, 威嚴으로 결단함을 비유한 것인데, 공손함이 지나치면 위엄 있는 명령을 행하지 못하는바, 명령이 행해지지 못하면 이는 사용하는 도끼를 잃은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하는 도끼를 잃었다.”라고 한 것이다.
[貞凶] 위엄으로 결단함을 잃으면 이는 正道가 흉한 것이다. 그러므로 “正道가 흉하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공손함이 牀 아래에 있음’은 위로 궁극하기 때문이요, ‘사용하는 도끼를 잃음’은 正道가 흉한 것이다.”
疏
正義曰:[上窮] 위에 처하여 궁극하게 겸손하다. 그러므로 지나치게 牀 아래에 있는 것이다.
[正乎凶] 正理는 모름지기 위엄으로 결단하여야 하는데 이것을 잃었으니, 이는 正道가 흉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