注
[注]巽順은 可以升이나 陽爻不當尊位하여 无嚴剛之正이면 則未免於憂라 故로 用見大人이라야 乃勿恤也라
疏
[疏]正義曰:‘升 元亨’者, 升, 卦名也. 升者, 登上之義, 升而得大通, 故曰“升, 元亨”也.
‘用見大人 勿恤’者, 升者, 登也. 陽爻不當尊位, 无剛嚴之正, 則未免於憂,
疏
[疏]正義曰:非直須見大德之人, 復宜適明陽之地, 若以陰之陰, 彌足其闇也.
疏
[疏]正義曰:升之爲義, 自下升高, 故就六五居尊, 以釋名升之意.
六五以陰柔
質, 起升貴位, 若不得時, 則不能升耳, 故曰“柔以時升”也.
注
[注]純柔則不能自升하고 剛亢則物不從이어늘 旣以時升하고 又巽而順하고 剛中而應하여 以此而升이라 故로 得大亨이라
疏
[疏]正義曰:此就二體及九二之爻, 釋元亨之德也. 純柔則不能自升, 剛亢則物所不從,
用見大人이라야 勿恤은 有慶也요 南征하면 吉은 志行也라
疏
[疏]正義曰:‘用見大人 勿恤 有慶’者, 以大通之德, 用見大人, 不憂否塞, 必致慶善, 故曰“有慶也.”
‘南征 吉 志行’者, 之於闇昧, 則非其本志, 今以柔順而升大明, 其志得行也.
象曰 地中生木
이 升
이니 君子以
德
하여 積小以高大
하니라
疏
[疏]正義曰:‘地中生木 升’者, 地中生木, 始於細微, 以至高大, 故爲升象也.
‘君子以順德 積小以高大’者, 地中生木, 始於毫末, 終至合抱,
君子象之, 以順行其德, 積其小善, 以成大名, 故繫辭云“善不積, 不足以成名”, 是也.
注
[注]允은 當也라 巽卦三爻 皆升者也니 雖无其應이나 處升之初하여 與九二九三合志俱升이라 當升之時하여 升必大得이라 是以로 大吉也라
疏
[疏]正義曰:允, 當也. 巽卦三爻, 皆應升上, 而二ㆍ三有應於五ㆍ六, 升之不疑. 惟初无應於上, 恐不得升.
注
[注]與五爲應
하여 往必見任
이라 體夫剛德
하여 進不求寵
하고 하여 志在大業
이라 故
로 乃利用納約于神明矣
라
疏
二體剛德而履乎中, 進不求寵, 志在大業, 用心如此, 乃可薦其省約于神明而无咎也, 故曰“孚乃利用禴, 无咎.”
疏
[疏]正義曰:‘有喜也’者, 上升則爲君所任, 薦約則爲神所享, 斯之爲喜, 不亦宜乎.
注
[注]履得其位하고 以陽升陰하니 以斯而擧면 莫之違距라 故로 若升虛邑也라
疏
[疏]正義曰:九三履得其位, 升於上六, 上六體是陰柔, 不距於己, 若升空虛之邑也.
疏
[疏]正義曰:‘无所疑’者, 往必得邑, 何所疑乎.
注
[注]處升之際하여 下升而進을 可納而不可距也라 距下之進하여 攘來自專이면 則殃咎至焉이로되
若能不距而納하여 順物之情하여 以通庶志면 則得吉而无咎矣라 岐山之會는 順事之情하여 无不納也라
疏
[疏]正義曰:‘王用亨于岐山’者, 六四處升之際, 下體二爻, 皆來上升, 可納而不可距,
‘吉 无咎’者, 若能納而不距, 順物之情, 則得吉而无咎, 故曰“吉, 无咎”也.
疏
[疏]正義曰:‘順事’者, 順物之情, 而立功立事, 故曰“順事也.”
注
[注]升得尊位하고 體柔而應하여 納而不距하고 任而不專이라 故로 得貞吉하여 升階而尊也라
疏
[疏]正義曰:‘貞吉 升階’者, 六五以柔居尊位, 納於九二, 不自專權,
疏
[疏]正義曰:‘大得志’者, 居中而得其貞吉, 處尊而保其升階, 志大得矣, 故曰“大得志也.”
注
[注]處
之極
하여 進而不息者也
니 進而不息故
로 雖冥
이나 猶升也
라
故施於不息之正則可어니와 用於爲物之主則喪矣니 終於不息은 消之道也라
疏
[疏]正義曰:‘冥升’者, 冥, 猶暗也, 處升之上, 進而不已, 則是雖冥猶升也, 故曰“冥升.”
‘利于不息之貞’者, 若冥升在上, 陵物爲主, 則喪亡斯及, 若潔己修身, 施於爲政, 則以不息爲美, 故曰“利於不息之貞.”
疏
[疏]正義曰:‘消不富’者, 雖爲政不息, 交免危咎, 然勞不可久, 終致消衰, 故曰“消不富也.”
升은 크게 형통하니 大人을 만나보아야 근심하지 않고
注
巽順함은 올라갈 수 있으나 陽爻가 尊位를 담당하지 못하여 엄하고 剛한 바름이 없으면 근심을 면치 못한다. 그러므로 大人을 만나보아야 비로소 근심하지 않는 것이다.
疏
正義曰:[升 元亨] ‘升’은 卦의 이름이다. ‘升’은 위로 올라가는 뜻이니, 올라가 크게 형통함을 얻는다. 그러므로 “升은 크게 형통하다.”라고 한 것이다.
[用見大人 勿恤] ‘升’은 올라가는 것이다. 陽爻가 尊位를 담당하지 못하여 剛하고 엄한 바름이 없으면 근심을 면치 못한다.
그러므로 大德의 사람을 만나본 뒤에야 비로소 근심이 없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大人을 만나보아야 근심하지 않는다.”라고 한 것이다.
疏
正義曰:다만 大德의 사람을 만나보아야 할 뿐이 아니요, 다시 밝고 양지바른 곳으로 가야 하니, 만약 陰으로 陰에 가면 그 어둠이 더욱 더해진다. 남쪽은 바로 밝고 양지바른 방위이다. 그러므로 “남쪽으로 가면 吉하리라.”라고 한 것이다.
〈彖傳〉에 말하였다. “柔가 때에 맞게 올라가서
注
柔가 제때에 맞아야 비로소 올라갈 수 있는 것이다.
疏
正義曰:升의 뜻은 아래로부터 높은 곳으로 올라감이다. 그러므로 六五가 尊位에 거함을 가지고서 卦의 이름을 ‘升’이라 한 뜻을 해석한 것이다.
六五가 陰柔의 자질로 일어나 귀한 지위로 올라가니, 만약 때를 얻지 못하면 올라가지 못한다. 그러므로 “柔가 때에 맞게 올라간다.”라고 한 것이다.
공손하고 順하며 剛이 中에 있고 應한다. 이 때문에 크게 형통한 것이다.
注
純柔이면 스스로 올라가지 못하고 剛하고 높으면 사람(남)들이 따르지 않는데, 이미 때에 맞게 올라가고 또 공손하고 순하며 剛이 中에 있고 應해서, 이러한 방법으로 올라간다. 그러므로 크게 형통함을 얻는 것이다.
疏
正義曰:이는 두 體 및 九二의 爻를 가지고 元亨의 德을 해석한 것이다. 純柔이면 스스로 올라가지 못하고 剛하고 높으면 사람들이 따르지 않는데,
卦體가 이미 공손하고 또 순하며 爻가 또 剛이 中에 있고 六五에 應하여 이 德을 소유하였다. 그러므로 크게 형통함을 얻는 것이다.
‘大人을 만나보아야 근심하지 않음’은 福慶이 있는 것이요, ‘남쪽으로 가면 吉함’은 뜻이 행해지는 것이다.”
注
巽順함으로 올라가서 크게 밝음에 이름은 뜻이 행해짐을 말한 것이다.
疏
正義曰:[用見大人 勿恤 有慶] 크게 형통한 德으로 大人을 만나보아야 否塞함을 근심하지 않고 반드시 福慶과 좋음[善]을 이룬다. 그러므로 “福慶이 있다.”라고 한 것이다.
[南征 吉 志行] 어두운 곳으로 감은 본래의 뜻이 아니니, 지금 柔順함으로 크게 밝음에 올라감은 그 뜻이 행해짐을 얻은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땅 가운데에서 나무가 자라는 것이 升卦이니, 君子가 보고서 德을 순히 하여 작은 것을 쌓아서 높고 크게 한다.”
疏
正義曰:[地中生木 升] 땅 가운데에서 나무가 자람은 작은 데서 시작하여 높고 큼에 이르는 것이다. 그러므로 升의 象이 된 것이다.
[君子以順德 積小以高大] 땅 가운데에서 나무가 자람은 털끝만 한 데에서 시작해서 끝에는 한 아름이 됨에 이르니,
君子가 이것을 본받아서 그 德을 순히 행하여 작은 善을 쌓아 큰 이름을 이룬다. 그러므로 〈繫辭傳〉에 “善을 쌓지 않으면 이름을 이룰 수 없다.”라고 하였으니, 이것이다.
初六은 올라갈 때를 당하였으니, 크게 吉하다.
注
‘允’은 당함이다. 巽卦(☴)의 세 爻가 모두 올라가는 자이니, 〈初六은〉 비록 그 應이 없으나 升의 처음에 처하여 九二ㆍ九三과 뜻이 부합하여 함께 올라간다. 올라갈 때를 당해서 올라가면 반드시 크게 얻는다. 이 때문에 크게 길한 것이다.
疏
正義曰:‘允’은 당함이다. 巽卦의 세 爻가 모두 응당 위로 올라가야 하는데, 九二와 九三은 六五와 上六에 應이 있어서 올라가는 것을 의심할 것이 없고, 오직 初六만이 위에 應이 없어서 올라갈 수 없을까 염려된다.
九二와 九三이 올라갈 때를 당해서 〈初六이〉 그들과 함께 올라가면 반드시 크게 얻는다. 그러므로 “올라갈 때를 당하였으니, 크게 吉하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올라갈 때를 당하였으니, 크게 吉함’은 위와 뜻이 부합하는 것이다.”
疏
正義曰:‘上’은 九二와 九三을 이르니, 그들과 더불어 뜻이 부합하여 함께 올라가면 마침내 크게 길함을 얻는 것이다.
九二는 신임을 받고서 마침내 禴제사를 씀이 이로우니, 허물이 없으리라
注
六五와 應이 되어서 가면 반드시 신임을 받는다. 剛한 德을 體行하여서 나아감에 총애를 바라지 않고 邪를 막아 성실함을 보존하여 뜻이 大業에 있다. 그러므로 마침내 간략한 제사를 神明에 바치는 것이 이로운 것이다.
疏
正義曰:九二는 六五와 더불어 應이 되므로 가서 六五로 올라가면 반드시 신임을 받는다. 그러므로 “신임을 받는다.”라고 한 것이다.
九二는 剛한 德을 體行하면서 中을 밟고 있어서 나아감에 총애를 바라지 아니하여 뜻이 大業에 있으니, 마음 씀을 이와 같이 하여야 비로소 간략한 제사를 神明에게 올려서 허물이 없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신임을 받고서 마침내 禴제사를 씀이 이로우니, 허물이 없으리라.”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九二가 신임을 받음은 기쁨이 있는 것이다.”
疏
正義曰:[有喜也] 위로 올라가면 군주에게 신임을 받고 간략한 제사를 올리면 神이 흠향하는 바가 되니, 이것이 기쁨이 됨이 마땅하지 않은가.
注
밟음이 正位를 얻고 陽爻로서 陰의 자리에 올라가니, 이로써 행동하면 어기고 막는 이가 없다. 그러므로 빈 고을에 올라가는 것과 같이 〈쉬운〉 것이다.
疏
正義曰:九三은 밟은 것이 正位를 얻고 上六으로 올라가니, 上六은 體가 陰柔여서 자기를 막지 않으니, 빈 고을에 올라가는 것과 같이 〈쉬운〉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빈 고을에 올라감’은 의심할 바가 없는 것이다.”
疏
正義曰:[无所疑] 가면 반드시 고을을 얻으니, 어찌 의심할 것이 있겠는가.
六四는 文王이 岐山에서 형통하게 함이니, 吉하고 허물이 없으리라.
周 文王
注
올라가는 때에 처하여 아래에서 올라와 나옴을 받아들여야 하고 막아서는 안 된다. 아래의 나옴을 막아서 오는 자를 물리치고 스스로 專斷하면 재앙과 허물이 이르지만,
만약 막지 않고 받아들여서 물건의 情을 순히 하여 여러 사람의 뜻을 통하게 할 수 있으면 吉하고 허물이 없음을 얻는 것이다. 岐山의 모임은 일의 실정을 순히 하여 받아들이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疏
正義曰:[王用亨于岐山] 六四가 올라가는 때에 처하여 下體의 두 爻가 모두 와서 위로 올라가니 이것을 받아들여야 하고 막아서는 안 되니,
일이 文王의 岐山의 모임과 같다. 그러므로 “文王이 岐山에서 형통하게 함이다.”라고 한 것이다.
[吉 无咎] 만약 받아들여 막지 않고 물건의 情을 순히 할 수 있으면 吉하고 허물이 없음을 얻는다. 그러므로 “길하고 허물이 없으리라.”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文王이 岐山에서 형통하게 함’은 일을 순히 하는 것이다.”
疏
正義曰:[順事] 물건의 情을 순히 하여 功을 세우고 일을 세운다. 그러므로 “일을 순히 하는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六五는 貞하고 吉하여 동쪽 섬돌[阼階]로 올라가도다.
注
올라감에 尊位를 얻고 體가 유순하면서 應하여 받아들이고 막지 않으며 신임하고 專權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貞하고 吉하여 동쪽 섬돌로 올라가 높음’을 얻는 것이다.
疏
正義曰:[貞吉 升階] 六五가 柔로서 尊位에 거하여 九二를 받아들여서 스스로 專權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貞하고 吉하여 동쪽 섬돌로 올라감을 얻은 것이다. 尊貴함을 보존하면 동쪽 섬돌을 밟는다. 그러므로 “貞하고 吉하여 동쪽 섬돌로 올라간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貞하고 吉하여 동쪽 섬돌로 올라감’은 크게 뜻을 얻는 것이다.”
疏
正義曰:[大得志] 中에 거하여 貞하고 吉함을 얻고 尊位에 처하여 동쪽 섬돌로 올라감을 보전함은 뜻이 크게 얻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크게 뜻을 얻는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上六은 어둡게 올라감이니, 쉬지 않는 貞에 이롭다.
注
升의 極에 처하여 나아가고 쉬지 않는 자이니, 나아가고 쉬지 않으므로 비록 어두우나 오히려 올라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을 쉬지 않는 正道에 시행하면 좋으나 물건의 주인이 됨에 사용하면 잃으니, 쉬지 않음에 끝마침은 소멸하는 道이다.
疏
正義曰:[冥升] ‘冥’은 暗과 같으니, 升의 위에 처하여 나아가기를 그치지 않으면 이는 비록 어두우나 오히려 올라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둡게 올라간다.”라고 한 것이다.
[利于不息之貞] 만약 어둡게 올라가 위에 있으면서 남을 능멸하는 것을 주장하면 喪亡이 미칠 것이요, 만약 자기 몸을 깨끗이 하고 몸을 닦아서 이를 政事를 함에 베풀면 쉬지 않는 것을 아름다움으로 삼을 수 있다. 그러므로 “쉬지 않는 貞에 이롭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冥升’으로 위에 있으니, 사라지고 부유하지 못할 것이다.”
疏
正義曰:[消不富] 비록 政事를 하기를 쉬지 아니하여 위태로움과 허물을 서로 면하나, 수고로움을 오래할 수가 없어서 끝내 사라지고 쇠약함을 이룬다. 그러므로 “사라지고 부유하지 못할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