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春秋左氏傳(3)

춘추좌씨전(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춘추좌씨전(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經]四年春王正月 公及齊侯平莒及郯호되 莒人不肯이어늘 公伐莒取向注+莒郯二國相怨 故公與齊侯共平之 向 莒邑 東海承縣東南有向城 遠 疑也하다
[經]秦伯稻卒注+無傳 하다
[經]夏六月乙酉 鄭公子歸生弑其君夷注+傳例曰 稱臣 臣之罪也 子公實弑而書子家 罪其權不足也하다
[經]赤狄侵齊注+無傳하다
[經]秋 公如齊注+無傳하다
[經]公至自齊注+無傳 告于廟
[經]冬 楚子伐鄭하다
[傳]四年春 公及齊侯平莒及郯호되 莒人不肯이어늘 公伐莒取向하니 非禮也
平國以禮 不以亂이라
伐而不治 亂也注+責公不先以禮治之而用伐 以亂平亂이면 何治之有 無治 何以行禮리오
[傳]楚人獻黿於鄭靈公注+穆公太子夷也 [附注] 林曰 黿 似鼈而大 하다
公子宋與子家將見注+宋 子公也 子家 歸生 이러니 子公之食指動注+第二指也이어늘 以示子家曰 他日我如此 必嘗異味라하다
及入 宰夫將解黿이어늘 相視而笑하다
公問之注+問所笑어늘 子家以告한대
及食大夫黿 召子公而弗與也注+欲使指動無效하니 子公怒하야 染指於鼎하야 嘗之而出이어늘
公怒하야 欲殺子公하다
子公與子家謀先注+先公爲難할새 子家曰 畜老 猶憚殺之注+ 而況君乎 反譖子家어늘 子家懼而從之注+譖子家於公하야 弑靈公하다
書曰 鄭公子歸生弑其君夷라하니 權不足也注+子家權不足以禦亂 懼譖而從弑君 故書以首惡
君子曰 仁而不武 無能達也注+初稱畜老 仁也 不討子公 是不武也 故不能自通於仁道而陷弑君之罪
凡弑君 稱君 君無道也 稱臣 臣之罪也注+稱君 謂唯書君名 而稱國以弑 言衆所共絶也 稱臣者 謂書弑者之名 以示來世 終爲不義 取有漸也 書弑之義 釋例論之備矣
鄭人立子良注+穆公庶子한대 辭曰 以賢則去疾不足注+去疾 子良名하고 以順則公子堅長이라하야늘 乃立襄公注+襄公 堅也하다
襄公將去穆氏注+逐群兄弟하고 而舍子良注+以其讓己하니 子良不可曰
穆氏宜存인댄 則固願也어니와 若將亡之 則亦皆亡이니 去疾何爲注+何爲獨留리오
乃舍之注+[附注] 朱曰 遂不逐諸穆氏也하고 皆爲大夫하다
[傳]初 楚司馬子良生子越椒하니 子文曰 必殺之注+子文 子良之兄하라
是子也 熊虎之狀而豺狼之聲이니 弗殺이면 必滅리라
諺曰 狼子野心注+[附注] 林曰 言豺狼之子 心在山野 不可馴服이라하니 是乃狼也
其可畜乎 子良不可한대 子文以爲大慼注+[附注] 林曰 以不殺椒爲大憂慼하다
及將死 聚其族曰 椒也知政이면 乃速行矣하야 無及於難하라하고 且泣曰 鬼猶求食이니 若敖氏之鬼 餒而注+而 語助 言必餒
及令尹子文卒 鬪般爲令尹注+般 子文之子子揚하고 子越爲司馬하다
蔿賈爲工正이러니 譖子揚而殺之하고 子越爲令尹하고 己爲司馬注+賈爲椒譖子揚而己得椒處 [附注] 林曰 子越 卽子越椒 工正 掌百工之長하다
子越又惡之注+惡賈하야 乃以若敖氏之族으로 圄伯嬴於轑陽而殺之注+圄 囚也 伯嬴 蔿賈也 轑陽 楚邑 하고 遂處烝野하야 將攻王하다
王以三王之子爲質焉이나 弗受注+烝野 楚邑 三王 文成穆 [附注] 林曰 爲質於越椒以爲和하니 師于漳澨注+漳澨 漳水邊하다
秋七月戊戌 楚子與若敖氏戰于皐滸注+皐滸 楚地할새 伯棼射王하니 汰輈하야 及鼓跗하야 著於丁寧注+伯棼 越椒也 輈 車轅 汰 過也 箭過車轅上 丁寧 鉦也 [附注] 林曰 跗 所以架鼓하고 又射하니 汰輈하야 以貫笠轂注+兵車無蓋 尊者則邊人執笠 依轂而立 以禦寒暑 名曰笠轂 此言箭過車轅 及王之蓋하다
師懼하야 退어늘 王使巡師曰 吾先君文王克息 獲三矢焉 伯棼竊其二러니 盡於是矣注+[附注] 林曰 所以釋楚師之懼心라하고 鼓而進之하야 遂滅若敖氏하다
若敖娶於䢵注+䢵 國名하야 生鬪伯比러니
若敖卒 從其母하야 畜於䢵注+畜 養也하다 淫於䢵子之女하야 生子文焉하니
䢵夫人使棄諸夢中注+夢 澤名 江下安陸縣城東南有雲夢城하다 虎乳之어늘
䢵子田이라가 見之하고 懼而歸注+[附注] 朱曰 見其事怪 恐懼而歸한대 夫人以告注+告女私通所生어늘
遂使收之하다
楚人謂乳 謂虎 故命之曰鬪穀於菟라하고 以其女妻伯比注+伯比所淫者하다
實爲令尹子文注+鬪氏始自子文爲令尹이라
其孫箴尹克黃注+箴尹 官名 克黃 子揚之子使於齊라가 還及宋하야 聞亂하다
其人曰 不可以入矣注+[附注] 林曰 其人 克黃之從者로이다 箴尹曰 棄君之命이면 誰受之注+[附注] 林曰 言君命使齊 不歸復命 是棄君命也 雖奔他國 獨誰受此棄命之人리오
天也 天可逃乎아하고 遂歸復命하고 而自拘於注+[附注] 林曰 司敗 卽司寇하니
王思子文之治楚國也 曰 子文無後 何以勸善이리오하고 使復其所하고 改命曰生注+易其名也 [附注] 林曰 改命克黃之名曰生 言其更生 이라하다
[傳]冬 楚子伐鄭하니 鄭未服也注+前年楚侵鄭 不獲成 故曰未服


4년 봄 주왕周王정월正月선공宣公제후齊侯와 함께 나라와 담국郯國화해和解시키고자 하였으나, 거인莒人동의同意하지 않으니, 선공宣公나라를 토벌討伐하여 하였다.注+나라와 담국郯國 두 나라가 서로 원오怨惡(원한을 품고 미워함)하기 때문에 선공宣公제후齊侯와 함께 두 나라를 화해和解시키고자 한 것이다. 나라의 이다. 동해東海승현承縣 동남쪽에 향성向城이 있다. 멀리 있는 나라를 토벌討伐한 것은 의심스럽다.
진백秦伯하였다.注+이 없다. 나라와 동맹同盟하지 않았다.
여름 6월 을유일乙酉日정공자鄭公子귀생歸生이 그 임금 시해弑害하였다.注+전례傳例에 “신하의 이름을 기록하는 것은 신하의 임을 드러내기 위함이다.”고 하였다. 사실은 자공子公시해弑害하였는데, 자가子家시해弑害한 것으로 기록記錄한 것은 자가子家권한權限부족不足했던 것을 죄책罪責한 것이다.
적적赤狄나라를 침공侵攻하였다.注+이 없다.
가을에 선공宣公나라에 갔다.注+이 없다.
선공宣公나라에서 돌아왔다.注+이 없다. 종묘宗廟한 것이다. 환공桓公 2년에 보인다.
겨울에 초자楚子나라를 토벌討伐하였다.
4년 봄에 선공宣公제후齊侯와 함께 나라와 담국郯國화해和解시키고자 하였으나, 거인莒人이 하려 하지 않자, 선공宣公나라를 토벌討伐하여 하였으니, 가 아니다.
두 나라를 화해和解시킴에는 로써 하고 전란戰亂으로써 하지 않는 것이다.
토벌討伐하여 안정安定을 깨트린다면[不治] 이것이 바로 이니,注+먼저 로써 그 나라를 안정安定시키지 않고 무력武力으로 토벌討伐선공宣公을 꾸짖은 것이다. 으로 평정平定한다면 어찌 안정安定[治]이 있을 것이며, 안정安定이 없다면 어찌 를 행할 수 있겠는가?
초인楚人정영공鄭靈公에게 자라를 바쳤다.注+영공靈公목공穆公태자太子이다.[부주]林: 黿은 자라와 비슷하면서 몸집이 더 큰 것이다.
공자公子(子公)이 자가子家와 함께 영공靈公을 뵈러 가는데注+자공子公이고, 자가子家귀생歸生이다.자공子公식지食指가 움직이니,注+두 번째 손가락이다. 이를 자가子家에게 보이며 말하기를, “전일前日에 이런 일이 있으면 반드시 별미別味를 맛보았다.”고 하였다.
두 사람이 궁중宮中으로 들어가니, 재부宰夫가 자라를 해체解體하고 있으므로 두 사람은 서로 바라보며 웃었다.
영공靈公이 웃는 까닭을 묻자,注+웃은 까닭을 물은 것이다. 자가子家가 그 이유理由하였다.
대부大夫들에게 자라 고기를 먹일 때 자공子公을 불러만 놓고 자라 고기를 주지 않으니,注+손가락이 움직인 것을 효험效驗이 없게 하고자 한 것이다. 자공子公하여 자라 국이 담긴 솥에 손가락을 담가 맛을 보고 나갔다.
그러자 영공靈公하여 자공子公을 죽이려 하였다.
자공子公자가子家와 먼저 임금을 죽일 것을 모의謀議할 때注+영공靈公보다 먼저 을 일으키려 한 것이다. 자가子家가 말하기를, “늙은 가축家畜도 오히려 죽이기를 꺼리는 것인데,注+육축六畜이다. 하물며 임금이겠는가?”라고 하며 반대反對하자, 자공子公이 도리어 영공靈公에게 자가子家참소讒訴하거늘 자가子家는 겁이 나서 자공子公의 뜻을 따라注+자가子家영공靈公에게 참소讒訴한 것이다. 여름에 영공靈公시해弑害하였다.
춘추春秋》에 “정공자鄭公子귀생歸生이 그 임금 시해弑害하였다.”고 기록하였으니, 이는 자가子家권력權力자공子公변란變亂을 막기에 부족不足했기 때문에注+자가子家권력權力을 막기에 부족不足하였고, 참소讒訴를 두려워하여 임금을 시해弑害하는 역모逆謀가담加擔하였기 때문에 수악首惡으로 기록한 것이다.수악首惡으로 기록된 것이다.
군자君子는 이에 대해 “사람이 하기만 하고 무용武勇이 없으면 [達]할 수 없다.”고 논평論評하였다.注+자가子家가 처음에 ‘축로畜老’라고 한 것은 이고, 자공子公토죄討罪하지 않은 것은 무용武勇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스스로 인도仁道통행通行하지 못하고 임금을 시해弑害하는 에 빠진 것이다.
범례凡例에 의하면 시군弑君을 기록함에 국군國君의 이름을 기록한 것은 임금이 무도無道하기 때문임을 드러낸 것이고, 신하의 이름을 기록한 것은 신하의 임을 드러낸 것이다.注+칭군稱君은 오직 임금의 이름만을 기록하여 국가國家시해弑害한 것으로 하는 것을 이르니, 이는 대중大衆이 함께 그를 버렸다[絶]는 뜻이고, 칭신稱臣시해弑害한 자의 이름을 기록해, 내세來世에 보여 끝내 용서할 수 없는 불의不義라는 뜻이다. ‘’을 고쳐 ‘’로 하는 것은 오명惡名을 피하고 시해弑害점진적漸進的으로 이루어지는 뜻을 한 것이다. 그 의례義例를 《춘추석례春秋釋例》에 자세히 하였다.
정인鄭人자량子良을 임금으로 세우려 하자,注+목공穆公서자庶子이다.자량子良이 사양하며 말하기를, “현능賢能으로 말하면 내가 부족不足하고,注+거질去疾자량子良의 이름이다.소장少長순서順序로 말하면 공자公子연장자年長者이다.”라고 하므로 양공襄公(公子 )을 임금으로 세웠다.注+양공襄公이다.
양공襄公목씨穆氏를 다 제거除去하고注+여러 형제兄弟들을 축출하려 한 것이다.자량子良만 남겨 두려 하니,注+자량子良이 임금의 자리를 자기에게 사양하였기 때문이다. 자량子良동의同意하지 않으며 말하기를,
목씨穆氏를 잘 보존保存하신다면 이는 본래의 바람이지만 만약 저들을 핍박逼迫해 도망가게 하려 하신다면 나까지 모두 도망가게 할 것이지, 무엇 때문에 나만 남겨 두려 하십니까?”라고 하니,注+무엇 때문에 나 혼자만 머물게 하느냐는 말이다.
양공襄公은 그들을 사면赦免[舍]하고注+[부주]朱: 드디어 모든 목씨穆氏축출逐出하지 않았다. 모두 대부大夫로 삼았다.
당초에 나라 사마司馬자량子良이 아들 월초越椒를 낳으니, 자문子文자량子良에게 말하기를, “반드시 이 아이를 죽여라.注+자문子文자량子良이다.
이 아이의 형상은 웅호熊虎와 같고 음성音聲시랑豺狼과 같으니, 죽이지 않으면 반드시 우리 약오씨若敖氏멸망滅亡시킬 것이다.
속담俗談에 ‘시랑豺狼의 새끼는 야심野心이 있다.’고 하니,注+[부주]林: 시랑豺狼의 새끼는 그 마음이 산야山野에 가 있으므로 길들여 복종시킬 수 없다는 말이다. 이 아이가 바로 시랑豺狼이다.
어찌 길러서야 되겠는가?”라고 하였으나, 자량子良이 듣지 않으니, 자문子文은 크게 근심하였다.注+[부주]林: 월초越椒를 죽이지 않은 것을 크게 근심한 것이다.
자문子文은 죽을 때에 미쳐 그 종족宗族을 모아놓고 이르기를, “후일에 월초越椒국정國政을 맡거든 너희들은 속히 도망가서 화난禍難에 미치지 않게 하라.”고 하고서, 눈물을 흘리며 이르기를, “귀신鬼神도 오히려 먹기를 구하는데, 약오씨若敖氏귀신鬼神이 어찌 굶주리지 않겠는가?”라고 하였다.注+어조사語助辭이다. 반드시 굶주리게 된다는 말이다.
영윤令尹자문子文이 죽자 투반鬪般영윤令尹이 되고,注+투반鬪般자문子文의 아들 자양子揚이다. 자월子越사마司馬가 되었다.
위가蔿賈공정工正이었는데 월초越椒를 위해 초왕楚王에게 자양子揚을 참소해 죽이게 하고서, 자월子越영윤令尹이 되게 하고 자신은 사마司馬가 되었다.注+위가蔿賈월초越椒를 위해 자양子揚참소讒訴해 죽이고, 자신이 월초越椒가 맡았던 자리를 얻은 것이다. [부주]林: 자월子越은 바로 자월초子越椒이다. 공정工正백관百官관장管掌하는 이다.
자월子越은 또 위가蔿賈를 미워하여注+위가蔿賈를 미워한 것이다. 약오씨若敖氏종족宗族을 거느리고 가서 백영伯嬴을 잡아 요양轑陽에 가두었다가 죽이고는,注+는 가두는 것이다. 백영伯嬴위가蔿賈이다. 요양轑陽나라 이다. 드디어 증야烝野주둔駐屯하여 초왕楚王공격攻擊하려 하였다.
그러자 초왕楚王화해和解하기 위해 세 의 아들을 인질人質로 보냈으나 자월子越이 받아들이지 않으니,注+증야烝野나라 이다. 삼왕三王나라의 문왕文王, 성왕成王, 목왕穆王이다. [부주]林: 이들을 월초越椒에게 인질人質로 보내어 화해和解하려 한 것이다. 초왕楚王장수漳水 가에 을 치고 기다렸다.注+장서漳澨장수漳水 가이다.
가을 7월 무술일戊戌日초자楚子약오씨若敖氏고호皐滸에서 교전交戰할 때注+고호皐滸나라 땅이다.백분伯棼초왕楚王을 향해 활을 쏘니, 그 화살이 수레의 끌채를 지나 고부鼓跗를 뚫고 정녕丁寧(징)을 맞혔고,注+백분伯棼월초越椒이다. 거원車轅이고 는 지나가는 것이니, 화살이 거원車轅 위로 지나간 것이다. 정녕丁寧은 징이다. [부주]林: 는 북을 거는 틀이다. 또 한 대의 화살을 쏘니, 수레의 끌채를 지나 입곡笠轂에 꽂혔다.注+병거兵車에는 (덮개)가 없다. 존귀尊貴한 사람이 병거兵車에 탔을 경우 곁에 있는 사람이 삿갓을 들고 에 의지해 서서 추위나 더위를 막는 것을 ‘입곡笠轂’이라 한다. 이는 화살이 거원車轅을 지나 입곡笠轂에 이르렀다는 말이다.
이를 본 초군楚軍이 겁을 먹고 후퇴後退하자, 초왕楚王은 사람을 보내어 군중軍中순시巡視하며 말하게 하기를, “우리 선군先君문왕文王께서 식국息國토벌討伐승리勝利했을 때 획득獲得한 세 대의 화살 중 백분伯棼이 두 대를 훔쳐갔는데, 이번에 다 쓰고 남은 것이 없으니 겁낼 필요가 없다.”고 하고서注+[부주]林: 초군楚軍의 두려워하는 마음을 풀어 주기 위함이었다. 북을 치며 진격進擊하여 드디어 약오씨若敖氏멸망滅亡시켰다.
당초에 약오若敖운국䢵國여인女人을 아내로 맞아注+䢵은 국명國名이다.투백비鬪伯比를 낳았다.
약오若敖가 죽은 뒤에 투백비鬪伯比는 어머니를 따라가 운국䢵國에서 자랐는데,注+은 기르는 것이다. 운자䢵子의 딸과 사통私通하여 자문子文을 낳았다.
운부인䢵夫人이 사람을 시켜 이 아이를 운몽雲夢의 늪 가운데에 버리게 하였는데,注+은 늪의 이름이다. 강하江下안륙현安陸縣 동남쪽에 운몽성雲夢城이 있다. 호랑이가 이 아이에게 젖을 먹였다.
운자䢵子가 사냥을 나갔다가 이 광경光景을 보고는 겁을 먹고 돌아와서 부인夫人에게 이야기하니,注+[부주]朱: 그 괴이怪異상황狀況을 보고서 두려워 돌아온 것이다.부인夫人이 사실대로 고하였다.注+딸이 사통私通하여 낳은 아이라고 한 것이다.
그러자 운자䢵子는 드디어 사람을 보내 그 아이를 거두어다가 길렀다.
나라 사람들은 ‘젖’을 ‘(누)’라 하고, ‘호랑이’를 ‘오도於菟’라 하기 때문에 운자䢵子는 그 아이의 이름을 ‘투누오도鬪穀於菟’라고 하고, 자기의 딸을 백비伯比의 아내로 주었다.注+백비伯比간음姦淫한 딸이다.
투누오도鬪穀於菟가 바로 영윤令尹자문子文이다.注+투씨鬪氏자문子文으로부터 비로소 영윤令尹이 되기 시작하였다.
자문子文손자孫子잠윤箴尹극황克黃注+잠윤箴尹관명官名이고, 극황克黃자양子揚의 아들이다.나라에 사신使臣으로 갔다 돌아오다가 나라에 이르러 나라에 반란叛亂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들었다.
종자從者가 말하기를, “나라로 들어가지 마십시오.”라고 하자,注+[부주]林: 기인其人극황克黃종자從者이다.잠윤箴尹이 말하기를, “임금의 명령을 버린다면 누가 나를 받아주겠는가?注+[부주]林: 임금의 으로 나라에 사신使臣으로 갔는데, 돌아와서 복명復命하지 않는다면 이는 임금의 명을 버리는 것이니, 비록 다른 나라로 도망간다 하더라도 누가 임금의 명을 버린 이 사람을 받아 주겠느냐는 말이다.
임금은 하늘과 같으니, 하늘을 해 도망할 수 있겠는가?”라고 하고서, 드디어 돌아와 복명復命한 뒤에 스스로 사패司敗에게 가서 구속拘束되기를 하였다.注+[부주]林: 사패司敗는 바로 사구司寇이다.
초왕楚王자문子文나라를 다스린 을 생각하여 “자문子文에게 후손이 없다면 어떻게 선행善行권면勸勉할 수 있겠는가?”라고 하고서 극황克黃에게 잠윤箴尹관직官職을 그대로 맡게 하고는 그의 이름을 ‘’으로 고쳐 주었다.注+극황克黃의 이름을 고쳐 준 것이다. [부주]林: 극황克黃의 이름을 고쳐 ‘’으로 명명命名한 것은 그가 다시 살아났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겨울에 초자楚子나라를 토벌討伐하였으니, 이는 나라가 복종服從하지 않았기 때문이다.注+전년前年나라가 나라를 침공侵攻하였으나 성공成功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복종服從하지 않았다.’고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未同盟 : 同盟하지 않았으나, 死者의 이름을 기록해 赴告하였기 때문에 《春秋》에 이름을 기록했다는 말이다.
역주2 例在桓二年 : 桓公 2년 傳에 “公이 出行할 때 宗廟에 出行을 告하고, 돌아와서는 宗廟에 歸還을 告하고서 飮至(술을 마심), 舍爵(잔을 내려놓음)하고 策에 勳勞를 기록하는 것이 禮이다.”고 하였다.
역주3 大畜 : 여섯 종류의 가축으로 말, 소, 양, 닭, 개, 돼지이다.
역주4 改殺稱弑 辟其惡名 : 弑는 試이니, 臣下가 임금을 弑하고 자식이 아비를 弑하는 일은 一朝一夕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그 일이 漸進的으로 進行된다. 그러므로 아무리 亂臣賊子라 하더라도 그 弑를 갑자기 決行하지 않고 반드시 여러 모로 試驗한 뒤에 決行한다. 臣下가 試驗할 때 임금이 깨닫고서 行實을 고쳐 그 陰謀를 꺾는다면 弑害되는 禍를 免할 수 있다. 그렇다면 殺을 弑로 바꾸어 稱한 것은 임금을 警戒하기 위함인데, 杜注에 ‘惡名을 避하기 위함이라’고 한 것은 설명이 극진하지 못하다. 《左氏會箋》
역주5 若敖氏 : 若敖는 楚武王의 祖父인데, 그 後孫이 若敖氏가 되었다.
역주6 不其 : 《左氏會箋》에는 不其를 其不의 倒置語로 보아 豈不의 뜻이라 하였고, 〈楊注〉에는 ‘其’를 將의 뜻으로 보았다.
역주7 : 누
역주8 於菟 : 오도
역주9 : 獨은 語氣를 나타내는 副詞로 疑問句에 많이 쓰인다. 〈楊注〉
역주10 司敗 : 司敗는 楚나라의 司法官이다.

춘추좌씨전(3) 책은 2019.05.2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