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春秋左氏傳(3)

춘추좌씨전(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춘추좌씨전(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經]二年春 齊侯伐我北鄙하다
[經]夏四月丙戌 衛孫良夫帥師及齊師戰于新築타가 衛師敗績注+新築 衛地 皆陳曰戰 大崩曰敗績 四月無丙戌 丙戌 五月一日 [附注] 林曰 衛書大夫帥師 於是始 하다
[經]六月癸酉 季孫行父臧孫許叔孫僑如公孫嬰齊帥師하고 會晉郤克衛孫良夫曹公子首하야 及齊侯戰于鞍이러니 齊師敗績注+魯乞師於晉 而不以與謀之例者 從盟主之令 上行於下 非匹敵和成之類 例在宣七年 曹大夫常不書 而書公子首者 鞍 齊地 [附注] 林曰 書魯四卿 是各自爲帥也 自文之季年而無使介 至是而無將佐 魯三家之勢成矣 하다
[經]秋七月 齊侯使國佐如師하니 己酉及國佐盟于袁婁注+穀梁曰 鞍去齊五百里 袁婁 去齊五十里 [附注] 林曰 楚屈完來盟于師 齊桓公退師而後盟于召陵 修禮於楚也 齊侯使國佐如師 晉郤克進師而後盟于袁婁 不禮於齊也 夫以齊桓公之所不敢而四國之大夫敢爲之 甚矣 鞍戰之忿也 하다
[經]八月壬午 宋公鮑卒注+未同盟而赴以名 하다
[經]庚寅 衛侯速卒注+宣十七年盟于斷道 據傳庚寅九月七日 하다
[經]取汶陽田注+晉使齊還魯 故取 不以好得 故不言歸 하다
[經]冬 楚師鄭師侵衛注+子重不書 不親伐 하다
[經]十有一月 公會楚公子嬰齊于蜀注+公與大夫會 不貶嬰齊者 時有許蔡之君故 [附注] 林曰 自屈完以來 楚大夫皆無氏族 而書公子 自嬰齊始 하다
[經]丙申 公及楚人秦人宋人陳人衛人鄭人齊人曹人邾人薛人鄫人盟于蜀注+齊在鄭下 非卿 傳曰 卿不書 匱盟也 然則楚卿於是始與中國準 自此以下 楚卿不書 皆貶惡也 하다
[傳]二年春 齊侯伐我北鄙하야 圍龍注+龍 魯邑 在泰山博縣西南 하다
頃公之嬖人盧蒲就魁門焉注+攻龍門也하니 龍人囚之하다
齊侯曰勿殺하라
吾與而盟하고 無入而封注+封 竟 [附注] 林曰 而 汝也하리라 不聽하고 殺而膊諸城上注+膊 磔也 하다
齊侯親鼓注+[附注] 林曰 齊頃公怒 故親鼓以激勵戰士하니 士陵城하야 三日注+[附注] 林曰 陵龍邑之城 凡三日 取龍하고 遂南侵하야 及巢丘注+取龍侵巢丘 不書 其義未聞 하다
[傳]衛侯使孫良夫石稷寗相向禽將侵齊러니 與齊師遇注+齊伐魯還 相遇於衛地 良夫 孫林父之父 石稷 石碏四世孫 寗相 寗兪子 하야 石子欲還한대 孫子曰 不可하다
以師伐人이라가 遇其師而還이면 將謂君何注+言無以答君
若知不能이면 則如無出이라
今旣遇矣 不如戰也
夏有注+闕文 失新築戰事하다
石成子曰 師敗矣어늘 子不少須하니 衆懼盡注+成子 石稷也 衛師已敗 而孫良夫復欲戰 故成子欲使須救 [附注] 朱曰 言孫子不少待之 尙欲與再戰 恐殺盡衛兵也 이라
子喪師徒 何以復命이리오 皆不對하다
又曰 子 國卿也 隕子 辱矣注+隕 見禽獲 [附注] 林曰 言良夫見獲 則爲衛國之辱
子以衆退하라
我此乃止注+我於此止禦齊師하리라
且告車來甚衆注+新築人救孫桓子 故竝告令軍中하니 齊師乃止
하야 次于鞫居注+鞫居 衛地하다
新築人仲叔于奚救孫桓子하니 桓子是以免注+于奚 守新築大夫하다
注+[附注] 林曰 旣 卒事也 衛人賞之以邑注+賞于奚한대注+[附注] 林曰 于奚辭邑하고 請曲縣注+軒縣也 周禮 天子樂宮縣四周 諸侯軒縣闕南方 繁纓以朝어늘 許之注+繁纓 馬飾 皆諸侯之服하다
仲尼聞之曰
惜也注+[附注] 林曰 言其禮可惜
不如多與之邑이라
不可以假人注+器 車服 名 爵號이니
注+名位不愆 爲民所信 하고 注+動不失信 則車服可保 하며 注+車服所以表尊卑 하고 注+尊卑有禮 各得其宜 하며 注+得其宜 則利生하고 利以平民注+[附注] 林曰 何以聚人 曰財 故利所以平民 朱曰 利澤之行 所以成就下民 政之大節也 若以假人이면 與人政也
政亡이면 則國家從之 弗可止也已注+[附注] 林曰 弗可救止也已 니라
[傳]孫桓子還於新築하야 不入注+不入國하고 遂如晉乞師하다
臧宣叔亦如晉乞師하야 皆主郤獻子注+宣十七年 郤克至齊 爲婦人所笑 遂怒 故魯衛因之 孫桓子臧宣叔皆不以國命 各自詣郤克 故不書하다
晉侯許之七百乘注+五萬二千五百人 하니 郤子曰 此城濮之賦也注+城濮在僖二十八年 [附注] 林曰 賦 兵也 城濮之戰 晉車七百乘니이다
有先君之明與이라 故捷注+[附注] 朱曰 先君謂晉文公 先大夫謂先軫也 肅 整也 이어니와 克於先大夫 無能爲役注+不中爲之役使 [附注] 朱曰 郤克自稱我於先大夫 尙不足爲之役使하니 請八百乘하노이다 許之注+六萬人 하다
郤克將中軍하고 士燮佐上軍注+范文子代荀庚 하고 欒書將下軍注+代趙朔하고 韓厥爲司馬하야 以救魯衛하다
臧宣叔逆晉師하야 且道之注+[附注] 林曰 臧宣叔乞師先歸 故往迎晉師 且爲晉師向道 하고 季文子帥師會之하다
及衛地하야 韓獻子將斬人한대 郤獻子馳하야 將救之러니 至則旣斬之矣러라
郤子使速以徇하고 告其僕曰 吾以分謗也注+不欲使韓氏獨受謗 라하다
注+莘 齊地하다
六月壬申 師至于靡笄之下注+靡笄 山名하니 齊侯使請戰曰 子以君師辱於敝邑하니 不腆敝賦 詰朝請見注+詰朝 平旦하노라
對曰 晉與魯衛 兄弟也 來告曰 大國朝夕釋憾於敝邑之地注+大國謂齊 敝邑魯衛自稱라하니 寡君不忍하야 使郡臣請於大國하고 注+輿 衆也 淹 久也 [附注] 朱曰 我晉君不忍魯侯之見伐 故使我群臣 請命於齊國 無使衆兵久留於齊地 하라
能進不能退注+[附注] 林曰 言晉師能進攻 不能退保 君無所辱命注+言自欲戰 不復須君命이리다
齊侯曰 大夫之許 寡人之願也
若其不許라도 亦將見也
齊高固入晉師하야 桀石以投人注+桀 擔也 [附注] 林曰 擔石以投晉人하야 禽之而乘其車注+旣獲其人 因釋己車 而載所獲者車 하고 繫桑本焉하야 以徇齊壘注+將至齊壘 以桑樹繫車而走 欲自異 曰 欲勇者 賈余餘勇注+賈 買也 言己勇有餘 欲賣之하라
癸酉 師陳于鞍하다
邴夏御齊侯하고 逢丑父爲右하다 晉解張御郤克하고 鄭丘緩爲右하다
齊侯曰 余姑此而朝食注+姑 且也 翦 盡也 하리라하고 不介馬而馳之注+介 甲也하다
郤克傷於矢하야 流血及屨로되 未絶鼓音注+中軍將自執旗鼓 故雖傷而鼓不息 曰 余病矣注+[附注] 林曰 郤克言我病甚矣 欲退師 張侯曰 自始合으로 而矢貫余手及肘로되 余折以御하야 左輪朱殷이로되 豈敢言病이닛가
吾子忍之注+張侯 解張也 朱 血色 血色久則殷 殷音近煙 今人謂赤黑爲殷色 言血多汚車輪 御猶不敢息 [附注] 林曰 我折其矢以御兵車 豈敢言病 御車不敢息也 하소서
緩曰 自始合으로 苟有險이면 注+以其不識己推車니이다
張侯曰 師之耳目 在吾旗鼓하야 進退從之하니 此車一人殿之라도 可以集事注+殿 鎭也 集 成也 [附注] 朱曰 言此中軍戎車 苟以一人鎭之 可以成勝齊之事 어늘 若之何其以病敗君之大事也잇가
擐甲執兵 固卽死也注+擐 貫也 卽 就也 [附注] 朱曰 固將決戰而就死地也 니이다
病未及死하니 吾子勉之하소서 注+[附注] 林曰 郤克聞張侯之言 乃左手幷執馬轡 右手援鼓槌而擊鼓하다
注+晉師從郤克車 하다
齊師敗績하니 逐之하야 三周華不注注+華不注 山名 하다
韓厥夢子輿謂己曰 辟左右注+子輿 韓厥父 [附注] 林曰 言避車左右兩偏 하라
注+居中代御者 自非元帥 御者皆在中 將在左하다
邴夏曰 射其御者하소서
君子也니이다 公曰 注+齊侯不知戎禮라하고 射其左하야 越于車下注+越 隊也 하고 射其右하야 斃于車中하다
綦毋張喪車하고 從韓厥曰 請寓乘注+綦毋張 晉大夫 寓 寄也 하야 從左右어늘 하고 使立於後注+以左右皆死 不欲使立其處 [附注] 林曰 綦毋張欲從左右而載 以左右皆死 不欲使立其處 故肘之 하다
韓厥俛하야 定其右注+俛 俯也 右被射 仆車中 故俯安隱之 하다
注+居公處 [附注] 林曰 逢丑父爲車右 見事急 故易位 居公之處하야 將及華泉 〈驂〉14)絓於木而止注+驂馬絓也하다
丑父寢於轏中注+轏 士車 [附注] 林曰 轏 臥車也 蛇出於其下어늘 以肱擊之라가 傷而匿之하다 故不能推車而及注+爲韓厥所及 丑父欲爲右 故匿其傷 [附注] 林曰 爲蛇傷其肱而藏匿之 肱傷 不能推車而爲晉所及 하다
韓厥執縶馬前注+縶 馬絆也 執之 示修臣僕之職 하야 再拜稽首하고 奉觴加璧以進注+進觴璧 亦以示敬曰 寡君使群臣爲魯衛請曰 無令輿師注+本但爲二國救請 不欲乃過入君地 謙辭 하라하시니이다
下臣不幸하여 屬當戎行하니 無所逃隱注+屬 適이오 且懼奔辟 而忝兩君이니이다
臣辱戎士注+若奔辟 則爲辱晉君 幷爲齊侯羞 故言二君 此蓋韓厥自處臣僕 謙敬之飾言 [附注] 林曰 臣辱戎士 臣辱爲從戎之士 하니 敢告不敏이나 注+言欲以己不敏 攝承空乏 從君俱還 [附注] 林曰 言欲攝齊之官 承其空乏 與齊君俱還 하노이다
丑父使公下하야 如華泉取飮注+[附注] 朱曰 時丑父詐爲齊侯 代居君位 故使齊侯下車 往華泉取水 因而走逸也 하니 鄭周父御佐車하고 宛茷爲右하야 載齊侯以免注+佐車 副車 [附注] 朱曰 齊侯旣如華泉 齊之二臣以副車載齊侯而逃 하다
韓厥獻丑父하니 郤獻子將戮之한대
呼曰 하고 有一於此어늘 將爲戮乎注+[附注] 林曰 丑父叫呼而自言 自今之世 未有人臣代其君當任患難者 僅有我一人 代君任患 乃以爲罪而戮之乎
郤子曰 人不難以死免其君이어늘 我戮之 不祥하니 赦之하야 以勸事君者라하고 乃免之하다
齊侯免注+[附注] 林曰 齊侯旣載副車以免 求丑父하야 三入三出注+重其代己 故三入晉軍求之하다 每出 하다
入于狄卒注+齊師大敗 皆有退心 故齊侯輕出其衆 以帥厲退者 遂迸入狄卒 狄卒者 狄人從晉討齊者하니 狄卒皆抽戈楯冒之하고 以入于衛師하니 衛師免之注+狄衛畏齊之强 故不敢害齊侯 皆共免護之 [附注] 林曰 皆抽戈楯以覆冒 齊侯入于衛師하다
遂自徐關入하야 齊侯見保者曰 勉之하라
齊師敗矣注+所過城邑 皆勉勵其守者
辟女子注+使辟君也 齊侯單還 故婦人不辟之한대 女子曰 君免乎
曰免矣 曰銳司徒免乎
曰免矣注+銳司徒 主銳兵者 曰苟君與吾父免矣 注+言餘人不可復如何오하고 乃奔注+走辟君하니 齊侯以爲有禮注+先問君 後問父故也라하다
旣而問之하니 辟司徒之妻也注+辟司徒 主壘壁者
予之石窌注+石窌 邑名 濟北盧縣東有地名石窌하다
晉師從齊師하야 入自丘輿하야 擊馬陘注+丘輿馬陘 皆齊邑하니 齊侯使賓媚人賂以紀甗玉磬與地注+媚人 國佐也 甗 玉甑 皆滅紀所得 [附注] 林曰 賂晉師以紀甗玉磬 與魯衛之侵地 朱曰 賓 姓 媚人是族 하며 不可어든 則聽客之所爲注+[附注] 林曰 若晉師不許和 則聽從晉人之所欲爲하라하다
賓媚人致賂하니 晉人不可曰 注+同叔 蕭君之字 外祖父 子 女也 難斥言其母 故遠言之하고 而使齊之封內盡東其畝注+使壟畝東西行하라
對曰 蕭同叔子非他 寡君之母也 若以匹敵이면 則亦晉君之母也注+[附注] 林曰 若以齊晉匹敵言之 則齊君之母 亦晉君之母 其爲君母一也
吾子布大命於諸侯호대 而曰 必質其母以爲信이라하니 其若王命何注+言違王命 [附注] 林曰 先王以孝治天下 今質其母 是違王命
且是以不孝令也
詩曰孝子不匱하야 永錫爾類注+詩 大雅 言孝心不乏者 又能以孝道長賜其志類 [附注] 林曰 長以己之孝誠錫其疇類 皆爲孝也라하니 若以不孝令於諸侯 其無乃非也乎注+不以孝德賜同類
先王하야 而布其利注+疆 界也 理 正也 物土之宜 播殖之物 各從土宜
故詩曰 我疆我理하야 南東其畝注+詩 小雅 或南或東 從其土宜라하야늘 今吾子疆理諸侯호되 而曰盡東其畝而已라하니 唯吾子戎車是利注+晉之伐齊 循壟東行易 無顧土宜
其無乃非先王之命也乎
反先王則不義 何以爲盟主리오
其晉實有闕注+闕 失이라
注+禹湯文武 樹德而濟同欲焉注+樹 立也 濟 成也 [附注] 林曰 自立明德而成諸侯之所同欲하고 五伯之霸也注+夏伯昆吾 商伯大彭豕韋 周伯齊桓晉文 勤而撫之하야 以役王命注+役 事也 [附注] 林曰 雖不能立德以成同欲 然皆勤力以撫綏諸侯 以奔走服役於王命 不敢改先王之制度이어늘 今吾子求合諸侯하야 以逞無疆之欲注+疆 竟也이라
詩曰 布政優優하니 百祿是注+詩 頌 殷湯布政優和 故百祿來聚 聚也 라하야늘 子實不優하야 而棄百祿하니 諸侯何害焉注+言不能爲諸侯害
不然注+不見許이면 寡君之命使臣 則有辭矣注+[附注] 朱曰 齊君之命我使臣 別有辭說如下文所云 曰 子以君師辱於敝邑하니 注+戰而曰犒 爲孫辭 러니 畏君之震하야 師徒撓敗注+震 動 撓 曲也 [附注] 林曰 畏晉君震動之威 齊之師徒撓曲敗喪 하다
吾子惠徼齊國之福하야其社稷하고 使繼舊好 唯是先君之敝器土地不敢愛어니와 子又不許 請收合注+燼 火餘木하야 背城借一注+欲於城下復借一戰 하리라
敝邑之幸이라도 亦云從也어든 况其不幸이면 敢不唯命是聽注+言完全之時 尙不敢違晉 今若不幸則從命 [附注] 朱曰 齊國幸而得勝 尙當唯晉命之是從 何况不幸而又戰敗 豈敢惟晉命之是聽乎
注+諫郤克也 其死亡者 皆親注+[附注] 林曰 其戰敗而死亡者 皆齊君親戚昵愛之人
子若不許 讐我必甚이리니
唯子 則又何求
子得其國寶注+謂甗하고 我亦得地注+齊歸所侵하야 而紓於難注+齊服則難緩이면 其榮多矣
齊晉亦唯天所授 豈必晉注+[附注] 林曰 齊晉戰勝 亦唯天意之所授 則豈必晉國可以勝齊 이리오 晉人許之하고 對曰注+[附注] 林曰 對齊使 群臣帥賦輿注+賦輿 猶兵車 以爲魯衛請이니
若苟有以藉口하야 而復於寡君注+藉 薦 復 白也 [附注] 林曰 苟有所得藉薦於口 而歸復命於晉君이면 君之惠也 敢不唯命是聽
禽鄭自師逆公注+禽鄭 魯大夫 歸逆公會晉師 하다
秋七月 晉師及齊國佐盟于爰婁하고 使齊人歸我汶陽之田하다
公會晉師于上鄍注+上鄍 地闕 公會晉師不書 史闕하야 賜三帥先三命之服注+三帥 郤克士燮欒書 已嘗受王先之賜 今改而易新 幷此車所建所服之物 하다
司馬司空輿帥候正亞旅 皆受一命之服注+晉司馬司空皆大夫 輿帥主兵車 候正主斥候 亞旅亦大夫也 皆魯侯賜 하다
[傳]八月 宋文公卒하니 始厚葬하야 하고 始用殉注+燒蛤爲炭以瘞壙 多埋車馬 用人從葬 하고注+重 猶多也 하고 椁有四阿하고 棺有翰檜注+四阿 四注椁也 翰 旁飾 檜 上飾 皆王禮하다
君子謂
華元樂擧於是乎不臣注+[附注] 林曰 華元樂擧 皆宋卿 君子謂二人不能盡爲臣之道 이라
治煩去惑者也注+[附注] 林曰 凡爲人臣 治君之煩 去君之惑者也
是以伏死而爭이어늘 今二子者 君生則縱其惑注+謂文十八年殺母弟須 하고 死又益其侈하니 是棄君於惡也
何臣之爲注+若言何用爲臣리오
[傳]九月 衛穆公卒하다
晉三子自役弔焉하야 注+還過衛 故因弔之 未復命 故不敢成禮 [附注] 林曰 晉郤克士燮欒書自鞍之役歸過衛 因往弔焉 하니 衛人逆之注+逆 於門外設喪位하고 婦人哭於門內注+喪位 婦人哭於堂 賓在門外 故移在門內하다
送亦如之하고 注+至葬行此禮하다
[傳]楚之討陳夏氏也注+在宣十一年 莊王欲納夏姬하니 申公巫臣曰 不可하니이다
君召諸侯 以討罪也어늘 今納夏姬 貪其色也니이다
貪色爲淫이오 淫爲大罰이니이다
周書曰 明德愼罰注+周書 康誥이라하니 文王所以造周也니이다
明德 務崇之之謂也 愼罰 務去之之謂也니이다
若興諸侯하야 以取大罰이면 非愼之也 君其圖之하소서 王乃止하다
子反欲取之하니 巫臣曰 是不祥人也
是夭注+子蠻 鄭靈公 夏姬之兄 殺死無後하고 注+御叔 夏姬之夫 亦早死하고 注+陳靈公也하고 戮夏南注+夏姬子徵舒 하고 注+孔寧儀行父하고 喪陳國注+楚滅陳하니 何不祥如是리오
人生實難注+[附注] 林曰 人之有生 實爲難保 하니 其有不獲死乎
注+言死易得 無爲取夏姬以速之 ᄂ저
天下多美婦人하니 何必是리오 子反乃止하다
王以予連尹襄老하다
襄老死於邲이러니 不獲其尸注+邲戰 在宣十二年하다
其子黑要烝焉注+黑要 襄老子하다
巫臣使道焉曰 歸하면注+道夏姬使歸鄭 [附注] 林曰 巫臣乃使人道意於夏姬 使夏姬歸鄭 言吾將就鄭聘汝 하리라注+[附注] 林曰 巫臣又使人詐自鄭來召夏姬 曰 尸可得也注+襄老尸 必來逆之하라
姬以告王하니 王問諸屈巫注+屈巫 巫臣한대
對曰其信注+[附注] 林曰 其事信然 이로이다
知罃之父 成公之嬖也 而中行伯之季弟也注+知罃父 荀首也 中行伯 荀林父也 邲之戰 楚人囚知罃 新佐中軍하고 而善鄭皇戌하고 甚愛此子注+愛知罃也 하니 其必因鄭而歸王子與襄老之尸以求之注+王子 楚公子穀臣也 邲之戰 荀首囚之 [附注] 林曰 以穀臣與襄老之尸 求易知罃于楚리이다
鄭人懼於邲之役하야 而欲求媚於晉하니 其必許之리이다 하니
將行 謂送者曰 不得尸 리라
巫臣聘諸鄭하니 鄭伯許之注+聘夏姬 하다
及共王卽位하야 將爲陽橋之役注+楚伐魯至陽橋 在此年冬 하야 使屈巫聘于齊하고 且告師期한대 巫臣注+室家盡去 하다
申叔跪從其父하야 將適郢이라가 遇之注+叔跪 申叔時之子曰 異哉
夫子有三軍之懼어늘 而又有桑中之喜하니 宜將竊妻以逃者也注+桑中 衛風淫奔之詩 [附注] 林曰 言巫臣往告師期 是有三軍之懼 將淫夏姬 是有桑中之喜 宜將竊夏姬以逃奔他國者也 朱曰 言巫臣出奔他國 楚君必用兵討之 是有三軍之可懼也 將私取夏姬 則是衛詩所謂期我乎桑中者 又有此喜也 一則以懼 一則以喜 宜其盡室以逃奔也
及鄭하야 하고 而以夏姬行注+介 副也 幣 聘物 [附注] 林曰 使副介反聘齊之幣帛 遂取夏姬以行 하다
將奔齊라가 齊師新敗注+[附注] 林曰 新敗于鞍 하니 曰 吾不處不勝之國이라하고 遂奔晉하야 而因郤至注+至 郤克族子 하야 以臣於晉하니 晉人使爲邢大夫注+邢 晉邑 하다
子反請以重幣錮之注+禁錮勿令仕 하니 王曰 止하라
其自爲謀也則過矣注+[附注] 朱曰 言巫臣私取夏姬而奔 其自爲一身之謀則過誤矣 어니와 其爲吾先君謀也則忠
注+[附注] 朱曰 其諫莊王勿納夏姬 是忠於先君也이라
社稷之固也 所盖多矣注+蓋 覆也 [附注] 林曰 言巫臣諫君之忠 足以蓋覆其淫奔之罪
且彼若能利國家 雖重幣라도 晉將可乎注+言不許
若無益於晉이면 晉將棄之리니 何勞錮焉注+爲七年楚滅巫臣族 晉南通吳張本 이리오
[傳]晉師歸注+[附注] 林曰 勝齊而歸 할새 范文子後入하니 武子曰 無爲吾望爾也乎注+武子 士會 文子之父 [附注] 林曰 言文子後入 獨不爲我望汝之功乎
對曰 師有功하야 國人喜以逆之어늘 先入이면 必屬耳目焉注+[附注] 林曰 若先入 國人必屬耳目於我 以爲皆我之功 이리니 是代帥受名也
故不敢이니이다
武子曰 注+知其不益己禍 로다
郤伯見하니 公曰 子之力也夫ᄂ저
對曰 君之訓也 二三子之力也니이다
臣何力之有焉注+郤伯 郤克이릿가
范叔見하니 勞之如郤伯한대
對曰 庚所命也 克之制也니이다
燮何力之有焉注+荀庚將上軍 時不出 范文子上軍佐代行 故稱帥以讓이릿가
欒伯見하니 公亦如之한대
對曰 燮之詔也 士用命也니이다
書何力之有焉注+詔 告也 欒書下軍帥 故推功上軍 傳言晉將帥克讓 所以能勝齊 이릿가
[傳]宣公使求好于楚로되 莊王卒하고 宣公薨하야 不克作好注+在宣十八年 하다
公卽位하야 受盟于晉注+元年盟赤棘 하고 會晉伐齊하다
衛人不行使于楚注+不聘楚 하고 而亦受盟于晉하야 從於伐齊
故楚令尹子重爲陽橋之役以救齊하다
將起師 子重曰 君弱注+傳曰 寡人生十年而喪先君 共王卽位 至是年 蓋年十二三矣 하고 群臣不如先大夫注+[附注] 林曰 言楚之諸臣不如先大夫孫叔敖等 하니 師衆而後可
詩曰 濟濟多士 文王以寧注+詩 大雅 言文王以衆士安 이라하니 夫文王猶用衆이온 况吾儕乎注+儕 等
且先君莊王屬之曰 無德以及遠方이면 莫如惠恤其民而善用之라하니라하고 乃大戶注+閱民戶口 已責注+棄逋責 逮鰥注+施及老鰥 救乏 赦罪하고 悉師注+[附注] 林曰 盡起楚師 하야 王卒盡行하다
彭名御戎하고 蔡景公爲左하고 許靈公爲右注+王卒盡行 故王戎車亦行 雖無楚王 令二君當左右之位 하다
二君弱이로되 皆强冠之注+[附注] 林曰 强冠之 使若成人 하다
楚師侵衛하고 遂侵我師于蜀注+公賂之而退 故不書侵 [附注] 林曰 楚師軍于蜀 이어늘
使臧孫往注+臧孫 宣叔也 한대 辭曰 楚遠而久하니 固將退矣注+[附注] 林曰 言楚道遠而又久出 固將自退師 리이다
無功而受名 臣不敢注+不敢虛受退楚名 [附注] 林曰 蓋臧宣叔不欲使楚 而孫辭以求免 이로이다
楚侵及陽橋注+陽橋 魯地 어늘 孟孫請往賂之注+楚侵遂深 故孟孫請以賂往 孟孫 獻子也 以執斲執鍼織紝注+執斲 匠人 執鍼 女工 織紝 織繒布者 皆百人하고 公衡爲質注+公衡 成公子하야 以請盟하니 楚人許平하다
十一月 公及楚公子嬰齊蔡侯許男秦右大夫說宋華元陳公孫寧衛孫良夫鄭公子去疾及齊國之大夫盟于蜀注+齊大夫不書其名 非卿也 하다
卿不書 匱盟也
於是乎畏晉而竊與楚盟이라 故曰匱盟注+匱 乏也 [附注] 林曰 言匱乏而盟 이라
君子曰
位其不可不愼也乎ᄂ저
蔡許之君 一失其位라가 不得列於諸侯 况其下乎
詩曰 不解于位 民之攸墍注+詩 大雅 言在上者勤正其位 則國安而民息也 攸 所也 墍 息也 라하니 其是之謂矣로다
[傳]楚師及宋注+[附注] 林曰 楚師自盟蜀而歸至宋也 公衡逃歸하니 臧宣叔曰 衡父不忍數年之不宴注+宴 樂也 [附注] 林曰 衡父 卽公衡 하야 以棄魯國注+[附注] 朱曰 言逃歸則失信於楚 以生禍患 是棄魯國也 하나 國將若之何注+[附注] 林曰 將如國家之事何
誰居
注+居 辭也 言後人必有當此患 [附注] 朱曰 居 助語也 後人必有當此患者 不知誰歟 魯國爲公衡所棄矣 로다
是行也 晉辟楚하니 畏其衆也
君子曰
衆之不可以已也注+[附注] 林曰 言衆之不可以止而不用
大夫爲政에도 猶以衆克이온 况明君而善用其衆乎
衆也注+大誓 周書 萬億曰兆 民離則弱 合則成衆 言殷以散亡 周以衆興
[傳]晉侯使鞏朔한대 王不見하고 使單襄公辭焉曰 蠻夷戎狄 不式王命注+式 用也 하고 毁常이면 王命伐之하나니 則有獻捷이라
王親受而勞之하니 所以懲不敬하고 勸有功也注+[附注] 朱曰 言必獻捷者 一則以懲戒四夷之不敬 一則以勸勉方伯之有功也
兄弟甥舅 侵敗注+兄弟 同姓國 甥舅 異姓國 略 經略法度 하야 王命伐之 告事而已 하니 所以敬親暱注+告伐事而不獻囚俘 禁淫慝也注+淫慝 爲虣掠百姓 取囚俘也
注+克 能也 하야 而不使鎭撫王室하고 而鞏伯實來하니
未有職司於王室注+鞏朔 上軍大夫 非命卿 名位不達於王室 [附注] 朱曰 今晉所使來撫綏乎天子者 是乃上軍之大夫鞏朔實來 하고注+謂獻齊捷하니 余雖欲於鞏伯注+欲受其獻 이나 其敢廢舊典以忝叔父
夫齊 甥舅之國也 而大師之後也注+齊世與周昏 故曰甥舅 [附注] 林曰 太公爲周大師 封於齊 故曰大師之後 寧不亦淫從其欲以怒叔父注+[附注] 林曰 言齊豈不亦以淫亂從肆其嗜欲以取於晉國
抑豈不可諫誨注+[附注] 林曰 抑豈不可諫止而敎誨之 乃至戰伐兵爭之慘 士莊伯不能對注+莊伯 鞏朔 하다
王使委於三吏注+委 屬也 三吏 三公也 하여 禮之如侯伯克敵使大夫告慶之禮하야 降於卿禮一等하다
王以鞏伯宴而私賄之하고 使相告之曰
非禮也 勿籍注+相 相禮者 籍 書也 王畏晉 故私宴賄以慰鞏朔 [附注] 林曰 言此宴賄 皆非禮之正也 勿書此以爲禮典 하라


2년 봄에 제후齊侯가 우리나라의 북쪽 변경邊境침벌侵伐하였다.
여름 4월 병술일丙戌日나라 손량부孫良夫가 군대를 거느리고 제군齊軍신축新築에서 교전交戰하다가 위군衛軍대패大敗하였다.注+신축新築나라 땅이다. 양군兩軍이 모두 을 치고서 교전交戰한 것을 ‘’이라 하고, 크게 붕궤崩潰한 것을 ‘패적敗績’이라 한다. 4월에는 병술일丙戌日이 없으니, 병술일丙戌日은 5월 1일이다. [부주]林: 나라의 대부大夫가 군대를 거느린 것을 기록한 것이 이때부터 비롯하였다.
6월 계유일癸酉日계손행보季孫行父, 장손허臧孫許, 숙손교여叔孫僑如, 공손公孫영제嬰齊가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나라 극극郤克, 나라 손량부孫良夫, 나라 공자公子회합會合하여 제후齊侯에서 교전交戰하였는데, 제군齊軍대패大敗하였다.注+나라가 나라에 원군援軍요청要請한 것인데도 여모與謀(及)로 기록하지 않은 것은 맹주盟主명령命令을 따라 상명上命을 아래에서 행한 것이고, 대등한 나라끼리 강화講和가 아니기 때문이다. 선공宣公 7년에 보인다. 나라의 대부大夫는 《춘추春秋》에 항상 기록하지 않았는데, 여기에 공자公子를 기록한 것은 가 그 나라에서 작명爵名을 받고 에 맞게 갖추어져서 이 되었기 때문이다. 나라 땅이다. [부주]林: 나라의 네 을 기록한 것은 각자 장수將帥가 된 것이다. 문공文公말년末年부터 사개使介(副使)가 없어지고, 이때에 이르러 장좌將佐(副將)가 없어졌으니, 이는 나라 삼가三家권세權勢강성强盛했기 때문이다.
가을 7월에 제후齊侯국좌國佐제후諸侯군중軍中에 보내니, 기유일己酉日제후諸侯국좌國佐원루袁婁에서 결맹結盟하였다.注+곡량전穀梁傳》에 “나라 국도國都에서 5백 거리에 있고, 원루袁婁나라 국도國都에서 5십 거리에 있다.”고 하였다. [부주]林: 나라 굴완屈完제후諸侯군중軍中으로 와서 결맹結盟을 요청하니, 제환공齊桓公은 군대를 물린 뒤에 소릉召陵에서 결맹結盟하여 나라를 예우禮遇하였는데, 제후齊侯국좌國佐제후諸侯군중軍中사자使者로 보내자, 나라 극극郤克진군進軍한 뒤에 원루袁婁에서 결맹結盟하여 나라를 예우禮遇하지 않았다. 제환공齊桓公도 감히 하지 않은 일을 네 나라 대부大夫가 감히 하였으니, 전쟁戰爭으로 맺힌 분노忿怒가 심했던 모양이다.
8월 임오일壬午日송공宋公하였다.注+동맹同盟하지 않았으나 이름을 기록해 부고赴告하였기 때문에 에 그 이름을 기록한 것이다.
경인일庚寅日위후衛侯하였다.注+선공宣公 17년에 단도斷道에서 결맹結盟하였다. 의거依據하면 경인일庚寅日은 9월 7일이다.
문양汶陽토지土地하였다.注+나라가 나라로 하여금 나라에 돌려주게 하였기 때문에 ‘’라고 말하고, 우호友好를 맺어 돌려받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인齊人이 돌려주었다고 말하지 않은 것이다.
겨울에 초군楚軍정군鄭軍나라를 침공侵攻하였다.注+자중子重을 기록하지 않은 것은 토벌討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11월에 성공成公나라 공자公子영제嬰齊에서 회합會合하였다.注+성공成公대부大夫회합會合하였는데도 영제嬰齊폄하貶下하지 않은 것은 이때 나라와 나라의 임금도 회합會合에 참여하였기 때문이다. [부주]林: 굴완屈完 이후로는 나라 대부大夫에 대해 모두 씨족氏族을 기록하지 않았고, 공자公子로 기록한 것은 영제嬰齊로부터 비롯하였다.
병신일丙申日성공成公초인楚人진인秦人송인宋人진인陳人위인衛人정인鄭人제인齊人조인曹人주인邾人설인薛人증인鄫人에서 회맹會盟하였다.注+나라를 나라 아래에 기록한 것은 회맹會盟참석參席제인齊人이 아니기 때문이다. 에 “의 이름을 기록하지 않은 것은 성의誠意결여缺如회맹會盟이기 때문이다.”고 하였다. 그렇다면 나라 을 이때부터 비로소 중국中國동일同一하게 인증認證한 것이다. 이 이후로 나라 을 기록하지 않은 것은 모두 미워해 폄하貶下한 것이다.
2년 봄에 제후齊侯가 우리나라 북쪽 변읍邊邑침벌侵伐하여 용읍龍邑포위包圍하였다.注+나라 이다. 태산泰山박현博縣 서남쪽에 있다.
제경공齊頃公폐인嬖人노포취괴盧蒲就魁용읍龍邑성문城門공격攻擊하니注+용읍龍邑성문城門공격攻擊한 것이다. 용인龍人이 그를 사로잡았다.
제후齊侯가 말하기를, “죽이지 말라.
내가 너희들과 결맹結盟하고 너희들의 봉내封內(境內)로 들어가지 않겠다.”注+국경國境이다.[부주]林: (너)이다.고 하였으나, 용인龍人제후齊侯의 말을 듣지 않고 그를 찢어 죽여 시체屍體 위에 늘어놓았다.注+사지四肢를 찢어 죽이는 것이다.
제후齊侯가 크게 노하여 친히 북을 치니注+[부주]林: 제경공齊頃公하였기 때문에 친히 북을 쳐서 전사戰士들을 격려激勵한 것이다. 병사兵士들이 용읍龍邑으로 올라가 3일 만에注+[부주]林: 용읍龍邑에 오른 지 3일 만이라는 말이다. 용읍龍邑하고, 드디어 남쪽으로 침공侵攻하여 소구巢丘까지 이르렀다.注+용읍龍邑하고 소구巢丘침공侵攻한 것을 에 기록하지 않은 것은 그 뜻을 알 수 없다.
위후衛侯손량부孫良夫, 석직石稷, 영상寗相, 향금장向禽將을 보내어 나라를 침공侵攻하게 하였는데, 도중途中제군齊軍을 만나자注+제군齊軍나라를 토벌討伐하고 돌아가다가 나라 땅에서 위군衛軍과 서로 만난 것이다. 양부良夫손임보孫林父의 아버지이고, 석직石稷석작石碏의 4세손世孫이고, 영상寗相영유寗兪의 아들이다. 석자石子가 돌아가려 하니, 손자孫子가 말하기를, “안 된다.
군대를 거느리고 온 것은 적인敵人을 치기 위해서인데, 적군敵軍을 만나 싸우지도 않고 돌아간다면 장차 임금께 무어라고 보고報告하겠는가?注+임금에게 대답할 말이 없다는 말이다.
만약 승리勝利할 수 없음을 알았다면 응당應當[如]출병出兵하지 않았어야 했다.
그러나 이제 이미 을 만났으니 전쟁戰爭하는 것만 못하다.”고 하였다.
여름에 …… 있었다.注+글이 빠졌다. 신축新築전쟁戰爭에 관한 일을 빠뜨린 것이다.
석성자石成子가 말하기를, “아군我軍패전敗戰하였는데, 장군將軍(孫良夫를 이름)께서는 잠시 기다리려 하지 않으니, 우리 군대가 다 죽게 될까 두렵습니다.注+성자成子석직石稷이다. 위군衛軍이 이미 패전敗戰하였는데, 손량부孫良夫가 다시 교전交戰하려 하기 때문에 성자成子손량부孫良夫에게 잠시 구원군救援軍이 오기를 기다리게 하고자 한 것이다. [부주]朱: 손자孫子가 잠시도 기다리지 않고 오히려 제군齊軍재차再次교전交戰하려 하기 때문에 위병衛兵을 다 죽일까 두렵다고 한 것이다.
장군將軍께서 군대를 잃는다면 무어라고 복명復命하겠습니까?”라고 하니, 모두 대답을 하지 못하였다.
석자石子가 또 말하기를, “장군將軍나라의 이니 사로잡히거나 살해殺害된다면 그것은 국가國家치욕恥辱입니다.注+은 사로잡히거나 살해殺害[獲]당하는 것이다. [부주]林: 손량부孫良夫가 잡히거나 살해되면 나라의 치욕恥辱이 된다는 말이다.
장군將軍은 군대를 거느리고 퇴각退却하십시오.
나는 이곳에서 제군齊軍을 막겠습니다.”注+나는 이곳에서 제군齊軍방어防禦하겠다는 말이다. 고 하고, 또 군중軍中에 ‘구원救援하기 위해 온 병거兵車가 많다.’고 하니,注+신축인新築人손환자孫桓子구원救援하기 위해 왔기 때문에 이를 아울러 군중軍中한 것이다. 제군齊軍전진前進을 멈추고 국거鞫居주둔駐屯하였다.注+국거鞫居나라 땅이다.
신축인新築人중숙우해仲叔于奚손환자孫桓子구원救援하니, 환자桓子가 이로 인해 하였다.注+중숙우해仲叔于奚신축新築을 지키는 대부大夫이다.
뒤에注+[부주]林: 는 일을 마친 뒤이다.위인衛人중숙우해仲叔于奚에게 으로 주자,注+우해于奚에게 으로 준 것이다. 그는 을 사양하고注+[부주]林: 우해于奚을 사양한 것이다. 곡현曲縣注+곡현曲縣헌현軒縣이다. 《주례周禮》에 ‘천자天子궁현宮縣으로 사면四面에 걸고, 제후諸侯헌현軒縣으로 남면南面에는 걸지 않고 삼면三面에만 건다.’고 하였다. 반영繁纓으로 조현朝見하기를 청하니, 위후衛侯는 이를 허락許諾하였다.注+반영繁纓은 말의 장식裝飾인데, 모두 제후諸侯복식服飾이다.
뒤에 중니仲尼는 이 말을 듣고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애석하다.注+[부주]林: 그 가 애석하다는 말이다.
을 많이 준 것만 못하였다.
오직 기물器物명호名號만은 남에게 주어서는 안 되니,注+거복車服이고, 작호爵號이다. 이는 군왕君王소관所管[所司]이기 때문이다.
명호名號로써 위신威信표출表出하고,注+명위名位가 어그러지지 않으면 백성의 신임信任을 받는다는 말이다. 위신威信으로써 기물器物보지保持하고,注+행동이 신임信任을 잃지 않으면 거복車服보존保存할 수 있다는 말이다. 기물器物로써 존비尊卑귀천貴賤표현表現하고,注+거복車服존비尊卑표현表現하는 것이다. 로써 하고,注+존비尊卑가 있으면 각각 그 마땅함을 얻는다는 말이다. 로써 이익利益생산生産하고,注+그 마땅함을 얻으면 이익利益이 생긴다는 말이다. 이익利益으로써 백성百姓을 다스리는 것이注+[부주]林: 무엇으로 사람을 모을 수 있는가? 재물財物만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익利益이 백성을 다스리는[平]방법方法이 되는 것이다. [부주]朱: 이택利澤이 백성에게 미치게 하는 것이 하민下民성취成就시키는 방법이다. 나라를 다스리는 중대重大한 일이니, 만약 이를 남에게 준다면 정권政權을 남에게 주는 것이다.
정권政權을 잃으면 국가國家도 따라 잃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없다.”注+[부주]林: 구제救濟해 막을 수 없다는 말이다.
손환자孫桓子신축新築에서 돌아와 도성都城으로 들어가지 않고注+국성國城 안으로 들어가지 않은 것이다. 드디어 나라로 가서 원군援軍하였다.
나라 장선숙臧宣叔나라로 가서 원군援軍하였는데, 이 두 사람이 모두 극헌자郤獻子주인主人으로 삼았다.注+선공宣公 17년에 극극郤克나라에 갔을 적에 부인婦人에게 비웃음을 받고서 한 일이 있었기 때문에 나라와 나라가 이를 이용利用한 것이다. 손환자孫桓子장선숙臧宣叔이 모두 국가國家을 받고 간 것이 아니고 각각 스스로 극극郤克에게 간 것이기 때문에 기록記錄하지 않은 것이다.
진후晉侯가 7백 허락許諾하니,注+7백 은 5만 2천 5백 인이다. 극자郤子가 말하기를, “이 7백 성복城濮전쟁戰爭 때 나갔던 병력兵力입니다.注+성복城濮전쟁戰爭희공僖公 28년에 있었다. [부주]林: 이다. 성복城濮전쟁戰爭출동出動나라의 병거兵車가 7백 이었다.
그때는 영명英明하신 선군先君(晉文公을 이름)과 민첩敏捷[肅]한 선대부先大夫가 있었기에 승리勝利하였습니다만,注+[부주]朱: 선군先君진문공晉文公을 이르고, 선대부先大夫선진先軫을 이른다. (단정, 엄숙함)이다. 선대부先大夫에 비하면 그분들의 심부름꾼이 되기도 부족不足하니,注+심부름꾼이 되기에도 적합適合[中]하지 않다는 말이다. [부주]朱: 극극郤克이 ‘나는 선대부先大夫들의 심부름꾼이 되기에도 오히려 부족하다.’고 스스로 말한 것이다. 8백 합니다.”고 하니, 진후晉侯허락許諾하였다.注+8백 은 6만 인이다.
극극郤克중군中軍을 거느리고, 사섭士燮상군上軍가 되고,注+범문자范文子순경荀庚의 뒤를 이어 상군上軍가 된 것이다. 난서欒書하군下軍을 거느리고,注+조삭趙朔의 뒤를 이어 하군下軍을 거느린 것이다. 한궐韓厥사마司馬가 되어, 나라와 나라를 구원救援하기 위해 출병出兵하였다.
장선숙臧宣叔진군晉軍을 맞이해 길을 인도引導하고,注+[부주]林: 장선숙臧宣叔원군援軍요청要請한 뒤에 먼저 돌아왔기 때문에 가서 진군晉軍을 맞이하고, 또 진군晉軍향도向道가 된 것이다. 계문자季文子는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진군晉軍회합會合하였다.
나라 땅에 이르러 한헌자韓獻子군령軍令을 어긴 자를 죽이려 하자, 극헌자郤獻子가 그를 구제救濟하기 위해 달려갔으나 도착해 보니 이미 참살斬殺하였다.
극자郤子는 사람을 보내어 속히 죽은 자의 시체屍體군중軍衆에 조리돌리게 하고서, 그 (御者)에게 말하기를, “내가 이렇게 하는 것은 한궐韓厥에 대한 비방誹謗을 나누어 받기 위함이다.”注+비방誹謗한궐韓厥이 혼자 받게 하고자 하지 않은 것이다. 고 하였다.
진군晉軍제군齊軍의 뒤를 밟아 까지 따라갔다.注+나라 땅이다.
6월 임신일壬申日진군晉軍미계산靡笄山 밑에 이르니,注+미계靡笄의 이름이다. 제후齊侯사자使者를 보내어 교전交戰하기를 청하며 말하기를, “그대가 진군晉君의 군대를 거느리고 우리나라에 왔으니, 변변치 못한 우리 군대지만 내일 아침에 만나 결전決戰하기를 청한다.”注+힐조詰朝평단平旦(동이 틀 때)이다. 고 하였다.
극극郤克이 대답하기를, “우리 나라는 나라 나라와 형제兄弟인데, 저들이 와서 하기를 ‘대국大國(齊)이 곧[朝夕]폐읍敝邑의 땅을 토벌討伐하여 원한怨恨을 풀려 한다.’注+대국大國나라를 이르고, 폐읍敝邑나라와 나라가 스스로를 한 말이다. 고 하니, 우리 진군晉君께서 형제국兄弟國침공侵攻을 당하는 것을 차마 볼 수 없어, 군신群臣을 보내어 대국大國나라와 나라를 괴롭히지 말도록 요청要請하게 하고, 또 진군晉軍제군齊君의 땅에 오래 머물러 두지 말라고 하셨습니다.注+輿는 무리이고, 은 오래이다. [부주]朱: 우리 진군晉君노후魯侯침벌侵伐당하는 것을 차마 볼 수 없기 때문에 우리 군신群臣을 보내어 나라에 하게 하고, 중병衆兵나라 땅에 오래 머물게 하지 말라고 했다는 말이다.
우리는 전진前進이 있을 뿐 후퇴後退는 없으니,注+[부주]林: 진군晉軍진공進攻은 하지만 퇴보退保(後退해 지킴)하지는 않겠다는 말이다. 제군齊君께서는 수고롭게 을 내리실 필요 없습니다.”注+스스로 교전交戰하고자 하므로 다시 군명君命을 기다리지 않겠다는 말이다. 라고 하였다.
그러자 제후齊侯는 “대부大夫교전交戰을 허락한 것은 과인寡人이 바랐던 바이다.
만약 허락하지 않았더라도 나는 만나 결전決戰하려 하였다.”고 하였다.
나라 고고高固진군晉軍으로 돌진突進해 들어가서 돌을 들어 진인晉人에게 던져注+은 메는 것이다. [부주]林: 돌을 메고 가서 진인晉人에게 던진 것이다. 그를 생포生捕해 그 자의 병거兵車에 태우고,注+진인晉人생포生捕한 뒤에 자기의 수레는 버리고 생포生捕한 자의 수레에 태운 것이다. 뽕나무를 뿌리 채 뽑아 자기 수레 뒤에 매달고서 돌아와 제군齊軍진영陣營을 돌아다니며,注+제군齊軍진영陣營에 거의 이르렀을 때 뽕나무를 수레에 매달고 달려 스스로 특이하게 보이고자 한 것이다. 용기勇氣가 필요한 자가 있으면 나의 남은 용기勇氣구매購買하라.”注+는 사는 것이다. 나의 용력勇力이 아직 남았으니, 남은 용력勇力을 팔고자 한다는 말이다. 고 하였다.
계유일癸酉日양군兩軍을 쳤다.
제군齊軍 쪽에서는 병하邴夏제후齊侯가 되고 방추보逢丑父거우車右가 되었고, 진군晉軍 쪽에서는 해장解張극극郤克가 되고 정구완鄭丘緩거우車右가 되었다.
제후齊侯가 말하기를, “나는 우선 진군晉軍격멸擊滅하고 돌아와서 아침밥을 먹겠다.”注+는 우선이고, 은 모두 다이다. 고 하고서, 말에 갑옷도 입히지 않고 진군晉軍을 향해 달려갔다.注+는 갑옷이다.
극극郤克이 화살에 상처를 입어 흐르는 피가 신발까지 내려왔으나, 끊임없이 북을 울리며注+중군장中軍將은 스스로 군기軍旗전고戰鼓담당擔當한다. 그러므로 비록 부상을 입었어도 멈추지 않고 북을 친 것이다. “나는 부상負傷을 당하였다.”注+[부주]林: 극극郤克이 ‘나의 부상負傷이 심하다.’고 말하여, 퇴군退軍하고자 한 것이다.고 하니, 장후張侯가 말하기를, “처음 교전交戰할 때부터 화살이 나의 손과 팔꿈치에 박혔으나, 나는 화살을 잘라내고 수레를 몰면서 피가 흘러 수레의 왼쪽 바퀴를 붉게 물들였지만 언제 감히 부상했다는 말을 하였습니까?
장군께서는 참으소서.”注+장후張侯해장解張이다. 는 핏빛이다. 핏빛이 오래되면 검붉게 변한다. 에 가깝다. 지금 사람들은 검붉은 색을 은색殷色이라 한다. 피가 많이 흘러 수레바퀴를 더럽히는데도 어자御者는 감히 쉬지 않았다는 말이다. [부주]林: 장후張侯의 ‘나는 박힌 화살을 잘라내고 병거兵車를 몰았고, 언제 감히 부상負傷한 것을 말하였느냐?’는 말은 수레 모는 일을 감히 멈추지 않았다는 말이다. 라고 하였다.
그러자 정구완鄭丘緩이 말하기를, “처음 교전交戰할 때부터 험한 곳을 만나면 나는 반드시 내려가 수레를 밀었지만 장군께서 전혀 눈치채지 못하셨으니, 그렇다면 장군의 부상이 심한 것입니다.”注+극극郤克이 자신이 수레를 민 것을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고 하였다.
장후張侯가 말하기를, “군사들의 이목耳目군기軍旗전고戰鼓에 있어 전진前進후퇴後退가 이 군기軍旗전고戰鼓를 따르니, 이 전거戰車를 한 사람이 진수鎭守하더라도 성사成事할 수 있는데,注+殿이고 이다. [부주]朱: 이 중군中軍융거戎車를 한 사람이 지키더라도 나라에 승리勝利하는 일을 이룰 수 있다는 말이다. 무엇 때문에 부상負傷했다 하여 국군國君대사大事를 망치겠습니까?
갑옷을 입고 무기를 든 것은 본래 사지死地로 나가기 위함이었습니다.注+은 입는 것[貫]이고, 은 나아감[就]이다. [부주]朱: 본래 결전決戰하기 위해 사지死地로 나아가려 하였다는 말이다.
부상負傷하였으나 아직 죽음에 이르지 않았으니, 장군께서는 힘써 싸우소서.”하고서, 왼손에 고삐를 몰아 쥐고 오른손으로 북채를 잡고 북을 쳤다.注+[부주]林: 극극郤克장후張侯의 말을 듣고는 곧 왼손에 네 마리 말의 고삐를 모아 잡고 오른손에 북채를 잡고 북을 친 것이다.
부상負傷한 왼손에 고삐를 몰아 잡았으므로 고삐를 단단히 잡을 수 없어 내달리는 말을 정지停止시키지 못하니,注+진군晉軍극극郤克의 수레를 따라간 것이다. 군사들이 그 뒤를 따랐다.
제군齊軍대패大敗하니, 진군晉軍제군齊軍추격追擊하여 화부주산華不注山을 세 바퀴 돌았다.注+화부주華不注의 이름이다.
한궐韓厥의 꿈에 그 아비 자여子輿가 이르기를, “내일 출전出戰할 때 거좌車左거우車右의 자리를 피하라.”注+자여子輿한궐韓厥의 아버지이다. [부주]林: 내일 아침 출전出戰할 때 수레의 좌우左右 양쪽을 피하라는 말이다. 고 하였다.
그러므로 한궐韓厥은 가운데에 서서 수레를 몰며 제후齊侯추격追擊하였다.注+수레의 가운데 서서 어자御者를 대신한 것은 원수元帥가 아니기 때문이다. 모든 병거兵車에는 어자御者가 가운데 타고, 장수將帥가 왼쪽에 탄다.
병하邴夏제후齊侯에게 말하기를, “저 뒤쫓는 수레의 어자御者를 쏘십시오.
제가 보기에 그는 군자君子입니다.”고 하니, 제후齊侯가 말하기를, “그를 군자君子라고 하면서 쏘라는 것은 가 아니다.”注+제후齊侯융례戎禮(軍禮)를 모른 것이다. 고 하고서, 그 거좌車左를 쏘아 수레 밑으로 떨어뜨리고,注+은 수레 밑으로 떨어진 것이다. 거우車右를 쏘아 수레 안에서 죽게 하였다.
이때 기무장綦毋張병거兵車를 잃고 한궐韓厥에게 와서 탑승搭乘하기를 청하며,注+기무장綦毋張나라 대부大夫이다. 이다. 수레 위로 올라와 거좌車左거우車右에 서려 하자 한궐韓厥이 모두 팔꿈치로 밀어내고 자기의 뒤에 서게 하였다.注+거좌車左거우車右가 모두 죽었기 때문에 기무장綦毋張을 그곳에 세우고자 하지 않은 것이다.[부주]林: 기무장綦毋張이 왼쪽이나 오른쪽에 타려 하자, 한궐韓厥거좌車左거우車右가 모두 죽었기 때문에 기무장綦毋張을 그곳에 세우고 싶지 않아서 팔꿈치로 밀어낸 것이다.
그리고서 한궐韓厥이 몸을 굽혀 죽은 거우車右시체屍體를 떨어지지 않도록 안전安全하게 눕혔다.注+은 몸을 굽히는 것이다. 거우車右가 화살을 맞고 죽어 수레 안에 엎어졌기 때문에 몸을 굽혀 그 시체屍體를 편안하게 누인 것이다.
방추보逢丑父제후齊侯위치位置를 바꾸어 타고서注+의 자리에 탄 것이다. [부주]林: 방추보逢丑父는 원래 거우車右였는데, 사태事態급박急迫해 진 것을 보았기 때문에 위치位置를 바꾸어 임금의 자리에 앉은 것이다. 거의[將]화천華泉에 미쳤을 때 참마驂馬가 나무에 걸려 멈추었다.注+참마驂馬가 나무에 걸린 것이다.
추보丑父는 전에 수레 안에서 잠을 잘 때注+의 수레이다. [부주]林: 잔거轏車는 눕는 수레[臥車]이다. 수레 밑에서 올라오는 뱀을 팔꿈치로 치다가 입은 부상을 숨기고 있었으므로 내려가 수레를 밀지 못하여, 진군晉軍에게 따라잡힌 것이다.注+한궐韓厥에게 따라잡힌 것이다. 추보丑父거우車右가 되고자 하였기 때문에 그 부상負傷을 숨긴 것이다. [부주]林: 팔뚝을 뱀에 물리고도 그 사실을 숨긴 것이다. 팔뚝을 다쳤기 때문에 수레를 밀지 못하여 진군晉軍에게 따라잡힌 것이다.
한궐韓厥마반馬絆[縶]을 잡고注+마반馬絆(말의 발을 묶는 끈)이다. 한궐韓厥이 이것을 손에 잡고서 신복臣僕직무職務수행修行하겠다는 뜻을 보인 것이다. 제후齊侯의 앞으로 가서 두 번 절하고 머리를 조아리고서 한 잔의 술과 옥벽玉璧을 받들어 올리며注+술잔과 옥벽玉璧을 올린 것도 공경恭敬표시表示한 것이다. 말하기를, “우리 임금께서 군신群臣을 보내어 나라와 나라를 위해 (齊君)께 하게 하며 말씀하시기를 ‘많은 군대들로 하여금 제군齊君의 땅에 깊이 들어가게 하지 말라.’注+본시 두 나라를 구원救援하고, 또 제후齊侯에게 두 나라를 괴롭히지 말기를 하기 위해 왔을 뿐이니, 지나치게 제군齊君의 땅으로 들어가고자 하지 않는다는 말이니, 겸사謙辭이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하신下臣불행不幸하게도 마침 융행戎行(齊君의 병거兵車를 이름)을 만나 도망해 숨을 곳이 없었고,注+(마침)이다. 또 도망해 피하면 두 임금께 치욕恥辱을 끼치게 될 것이 두려웠습니다.
융사戎士가 되었으니,注+만약 도망해 한다면 진군晉君치욕恥辱이 되고, 아울러 제후齊侯수치羞恥도 되기 때문에 ‘양군兩君’이라고 말한 것이다. 이는 한궐韓厥신복臣僕으로 자처自處하여 겸손謙遜하고 공손恭遜하게 말을 꾸민 것이다. [부주]林: ‘신욕융사臣辱戎士’는 종군從軍하는 전사戰士가 되었다는 말이다. 감히 하건대 불민不敏하지만 관원官員을 대신해 빠진 자리를 메우겠습니다.”注+내가 불민不敏하지만 부족不足관원官員을 대신해 제군齊君을 모시고[從] 함께 나라로 돌아가고자 한다는 말이다. [부주]林: 나라의 관원官員을 대신해 그 부족한 자리를 이어서 제군齊君과 더불어 함께 돌아가겠다는 말이다. 고 하였다.
방추보逢丑父제후齊侯에게 수레에서 내려 화천華泉으로 가서 물을 떠오게 하니,注+[부주]朱: 이때 추보丑父제후齊侯가장假裝하여 대신 임금의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제후齊侯에게 수레에서 내려 화천華泉으로 가서 물을 떠오게 하여, 이 틈을 이용해 도망가게 한 것이다. 정주보鄭周父좌거佐車를 몰고 완패宛茷거우車右가 되어 제후齊侯를 싣고서 도주逃走하여 사로잡히는 하였다.注+좌거佐車부거副車이다. [부주]朱: 제후齊侯가 이미 화천華泉으로 가자, 나라의 두 신하臣下부거副車제후齊侯를 태우고서 도망간 것이다.
한궐韓厥추보丑父를 잡아 바치니, 극헌자郤獻子가 그를 죽이려 하였다.
그러자 추보丑父가 큰 소리로 “지금까지 임금을 대신해 환난患難책임責任지는 자가 없었고, 겨우 나 한 사람이 있을 뿐인데, 이런 나를 죽이려 하는가?”注+[부주]林: 추보丑父가 큰 소리로 부르짖으며 스스로 말하기를 ‘지금 세상에는 그 임금을 대신해 환난患難을 떠맡는 신하가 없고, 겨우 나 한 사람만이 그 환난患難을 떠맡았을 뿐인데, 이를 로 삼아 죽이려 하느냐?’고 한 것이다. 라고 하였다.
극자郤子가 말하기를, “저 사람은 죽음으로써 그 임금을 화난禍難에서 벗어나게 하는 일을 어렵게 여기지 않았는데, 내가 그를 죽인다면 상서롭지 못하니 그를 사면하여 임금을 섬기는 신하臣下들을 권면勸勉하겠다.”고 하고서 그를 사면赦免하였다.
제후齊侯포로捕虜가 되는 것을 면한 뒤에注+[부주]林: 제후齊侯가 이미 부거副車에 올라 사로잡히는 를 면하였다.추보丑父를 찾기 위해 세 차례 적진敵陣에 들어갔다가 세 차례 나왔는데,注+추보丑父가 자기를 대신해 잡혀간 것을 높이 여겼기 때문에 세 번씩이나 진군晉軍에 들어가서 그를 구출救出하려 한 것이다. 적진敵陣을 뚫고 나올 때마다 제군齊軍제후齊侯옹호擁護[帥]해 퇴각退却하였다.
제후齊侯적졸狄卒에 들어가니注+제군齊軍대패大敗하여 모든 군대가 후퇴後退할 마음을 가졌기 때문에 제후齊侯히[輕] 그 군대를 출동出動시켜 후퇴後退하려는 자들을 인솔引率격려激勵하고서, 드디어 적졸狄卒로 숨어 들어간 것이다. 적졸狄卒진군晉軍을 따라 나라를 토벌討伐적인狄人이다. 적졸狄卒이 모두 창과 방패를 들고 제후齊侯보호保護하였고, 위군衛軍에 들어가니 위군衛軍제후齊侯보호保護위험危險에서 벗어나게 하였다.注+적졸狄卒위군衛軍나라의 함을 두려워하였기 때문에 감히 제후齊侯치지 않고 모두 무사無事히 벗어나도록 보호保護한 것이다. [부주]林: 모두 창과 방패를 들고 제후齊侯를 감싸[覆冒]위군衛軍으로 들어가게 한 것이다.
마침내 서관徐關경유經由나라로 들어가서 제후齊侯을 지키는 사람[保者]을 보고 말하기를, “힘써 을 지켜라.
제군齊軍패전敗戰하였다.”注+지나는 성읍城邑마다 그 수비守備하고 있는 자들을 모두 면려勉勵한 것이다. 고 하였다.
여자女子에게 길을 피하게 하자,注+여자女子에게 임금의 길을 하게 한 것이다. 제후齊侯단거單車로 돌아왔기 때문에 부인婦人이 임금인 줄을 모르고 피하지 않은 것이다. 여자女子가 “임금께서 하셨습니까?”라고 물었다.
하였다.”고 대답하니, 이번에는 “예사도銳司徒하였습니까?”라고 물었다.
하였다.”注+예사도銳司徒예리銳利병기兵器주관主管하는 자이다. 고 대답하자, 그 여자女子는 “진실로 임금님과 우리 아버지가 하였다면 패전敗戰이야 다시 어쩔 수 있겠는가?”注+나머지 사람이야 다시 어찌할 수 없다는 말이다. 라고 하고서 빠른 걸음으로 떠나가니,注+빠른 걸음으로 임금을 피한 것이다. 제후齊侯는 그를 예절禮節이 있다고 하였다.注+먼저 임금의 안위安危를 묻고 뒤에 아버지의 안위安危를 물었기 때문이다.
뒤에 물어보니 그 여자女子벽사도辟司徒의 아내였다.注+벽사도辟司徒누벽壘壁(城砦)을 주관主管하는 사람이다.
제후齊侯는 그 여자女子에게 석교石窌봉지封地로 주었다.注+석교石窌읍명邑名이다. 제북濟北노현盧縣 동쪽에 석교石窌라는 지명地名이 있다.
진군晉軍제군齊軍추격追擊구여丘輿로부터 진입進入하여 마형馬陘공격攻擊하니,注+구여丘輿마형馬陘은 모두 나라 이다.제후齊侯빈미인賓媚人진군晉軍에 보내어 기언紀甗, 옥경玉磬과 땅을 바치게 하며注+빈미인賓媚人국좌國佐이다. 으로 만든 시루이니, 모두 기국紀國격멸擊滅하고 획득獲得한 것이다. [부주]林: 나라가 기국紀國에서 획득獲得옥경玉磬진군晉軍뇌물賂物로 바치고, 침탈侵奪했던 땅을 나라와 나라에 돌려주겠다고 한 것이다. [부주]朱: 이고 미인媚人이다. 말하기를, “만약 진인晉人화평和平허락許諾하지 않거든 저들[客]이 하는 대로 맡겨두어라.”注+[부주]林: 만약 진군晉軍허락許諾하지 않거든 진인晉人이 하고자 하는 대로 따라 주라는 말이다. 고 하였다.
빈미인賓媚人이 이상의 물건을 바치니, 진인晉人은 허락하지 않으며 말하기를, “반드시 소동숙자蕭同叔子인질人質로 보내고,注+동숙同叔소군蕭君제후齊侯외조부外祖父이다. 는 딸이다. 제후齊侯의 어머니라고 직접 지적하기 곤난困難하기 때문에 완곡婉曲하게 말한 것이다. 나라 경내境內전지田地에 이랑을 모두 동쪽을 향하도록 만들라.”注+밭의 이랑을 동서로 내게 한 것이다. 고 하였다.
빈미인賓媚人이 대답하기를, “소동숙자蕭同叔子는 다른 사람이 아니라 바로 우리 임금의 모친母親이니, 나라와 나라의 지위地位대등對等한 것으로 말하면 그분은 진군晉君모친母親동등同等신분身分입니다.注+[부주]林: 만약 나라와 나라의 지위地位대등對等한 것으로 말하면 제군齊君모친母親진군晉君모친母親과 같은 지위地位이니, 그분도 동일同一군모君母라는 말이다.
그대가 제후諸侯에게 중대重大명령命令발포發布하면서, 반드시 제군齊君모친母親인질人質로 보내어 믿음을 보이라고 하니, 왕명王命은 어찌할 생각입니까?注+왕명王命을 어긴다는 말이다. [부주]林: 선왕先王천하天下를 다스렸는데, 지금 제군齊君모친母親인질人質로 삼는다면 이는 왕명王命을 어기는 것이라는 말이다.
이것은 제후諸侯에게 불효不孝로써 명령命令하는 것입니다.
시경詩經》에 ‘효자孝子효심孝心이 끝이 없어 영원永遠동류同類들에게 영향影響을 끼친다.’注+는 《시경詩經》 〈대아大雅기취편旣醉篇〉이다. 효심孝心이 끊이지 않는 자는 또 효도孝道로써 그 뜻을 같이하는 무리에게 길이 영향影響을 준다는 말이다. [부주]林: 길이 나의 효성孝誠으로 동류同類에게 영향影響을 끼쳐 모두 효자孝子가 되게 하는 것이다.고 하였는데, 만약 불효不孝로써 제후諸侯에게 명령命令한다면 덕류德類(道德의 준칙準則)를 어기는 것이 아닙니까?注+효덕孝德으로 동류同類에게 영향影響을 끼치지 않는 것이다.
선왕先王천하天下토지土地구획區劃[疆]하고 토질土質구분區分[理]할 때 토의土宜를 살펴서 유리有利식물植物의 씨앗을 뿌리게 하였습니다.注+경계境界이고 경계境界를 바르게 하는 것이니, ‘물토지의物土之宜’는 토의土宜를 살펴 심는 식물植物을 각각 토의土宜에 따랐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시경詩經》에 ‘우리가 경계境界를 구획하고 우리가 토질土質구별區別하여 그 이랑을 동쪽으로도 내고 남쪽으로도 냈다.’注+는 《시경詩經》 〈소아小雅신남산편信南山篇〉이다. 그 토의土宜에 따라 이랑을 남쪽으로도 내고 동쪽으로도 냈다는 말이다. 고 하였는데, 지금 그대는 제후諸侯토지土地구획區劃하고 토질土質구별區別하게 하며 말하기를 ‘모두 그 이랑을 동쪽을 향하도록 내라.’고 할 뿐이니, 이는 그대의 융거戎車진행進行하기에 편리便利하게만 하려는 것이고,注+서쪽의 나라가 동쪽의 나라를 토벌討伐할 경우, 이랑을 따라 동쪽으로 가기 쉽게 하려 한다는 말이다. 토의土宜는 돌보지 않는 것입니다.
어찌 선왕先王을 어기는 것이 아닙니까?
선왕先王을 어기는 것은 불의不義이니, 어떻게 맹주盟主가 될 수 있겠습니까?
이렇게 한다면 나라는 실로 과오過誤를 범하는 것입니다.注+과실過失이다.
사왕四王천하天下를 다스릴 적에注+, , 문왕文王, 무왕武王이다. 덕행德行수립樹立공동共同욕구欲求를 이루어 주었고,注+는 세움이고, 는 이룸이다. [부주]林: 스스로 밝은 을 세워 제후諸侯들이 공동共同으로 염원念願하는 바를 이루어 주었다는 말이다. 오패五伯제후諸侯패자霸者가 되었을 때注+오패五伯하백夏伯곤오昆吾상백商伯대팽大彭시위豕韋주백周伯제환공齊桓公진문공晉文公이다. 정치政治근로勤勞하고 제후諸侯를 어루만져 왕명王命복역服役하게 하였는데,注+은 일이다. [부주]林: 오패五伯는 비록 수립樹立공동共同염원念願을 이루지는 못하였으나, 모두 부지런히 힘써 제후諸侯를 어루만져 편안하게 하여 왕명王命에 달려가 복역服役(勤勞)하게 하였고, 감히 선왕先王제도制度를 고치지 않았다는 말이다. 지금 그대는 제후諸侯회합會合하여 끝없는 욕망慾望을 채우고자 하십니다.注+은 다함이다.
시경詩經》에 ‘정치政治를 폄이 너그러우니 온갖 이 모였다.’注+는 《시경詩經》 〈상송商頌장발편長發篇〉이다. 은탕殷湯정치政治를 편 것이 너그럽고 온화溫和하였기 때문에 백록百祿(온갖 복록福祿)이 모였다는 말이다. 는 모임이다. 고 하였는데, 그대는 실로 너그럽지 못하여 온갖 을 버리고 있으니, 제후諸侯에게 무슨 가 되겠습니까?注+제후諸侯가 될 수 없다는 말이다.
그대가 우리의 요청要請을 들어주지 않을 경우를注+허락許諾을 받지 못하는 것이다. 대비對備해 우리 임금께서 나(使臣)에게 따로 하신 말씀이 계셨는데,注+[부주]朱: 제군齊君이 우리 사신使臣에게 할 적에 따로 하문下文에 이른 바와 같은 말이 있었다는 말이다. 그 말씀에 ‘그대가 그대 임금의 군대를 거느리고 우리나라에 쳐들어왔기 때문에[辱] 변변치 못한[不腆] 우리 군대로 그대의 군대와 교전交戰[犒饋]하였으나,注+전쟁戰爭을 한 것인데 호궤犒饋라고 한 것은 겸사謙辭이다. 진군晉君위세威勢에 겁을 먹고 우리 군대가 패전敗戰하였다.注+이고, (굽힘)이다. [부주]林: 진동震動하는 진군晉君위세威勢에 겁이 나서 나라 군대의 사기士氣가 꺾여 실패失敗했다는 말이다.
그대가 은혜恩惠를 베풀어 우리 나라에 을 주어 우리의 사직社稷하지 않고 지난날의 우호友好를 계속 유지維持하게 한다면 선군先君폐기敝器토지土地를 감히 아끼지 않을 것이지만, 그대가 허락許諾하지 않는다면 패잔병敗殘兵[餘燼]을 수습收拾注+은 불타다 남은 나무이다. 을 등지고 최후最後일전一戰을 하겠다.注+성하城下에서 다시 일전一戰을 하고자 한다는 말이다.
다행히 우리가 승전勝戰하더라도 나라의 을 따를 것인데, 하물며 불행하여 패전敗戰한다면 감히 나라가 하는 대로 따르지 않겠는가?’注+나라가 완전完全할 때에도 오히려 감히 나라의 을 어기지 않았으니, 이제 만약 불행不幸하여 패전敗戰한다면 나라의 을 따르겠다는 말이다. [부주]朱: 나라가 다행히 승리勝利하더라도 나라의 을 따를 것인데, 하물며 불행히 또 패전敗戰한다면 어찌 감히 나라의 을 따르지 않겠느냐는 말이다. 라고 하셨습니다.”고 하였다.
노군魯君위군衛君극극郤克에게 하기를, “나라는 우리에게 을 품고 있으니,注+극극郤克에게 한 것이다. 이는 이번 전쟁戰爭에 죽은 자들이 모두 제후齊侯친근親近한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注+[부주]林: 이번 패전敗戰에 죽은 자들이 모두 제군齊君친척親戚과 사랑하는 사람이라는 말이다.
그대가 만약 나라의 요청要請허락許諾하지 않는다면 저들은 반드시 우리를 원망怨望하는 것이 더욱 심할 것입니다.
그대는 무엇을 더 바라십니까?
그대는 나라의 국보國寶를 얻고注+국보國寶옥경玉磬을 이른다. 우리는 잃었던 땅을 되찾으며,注+나라가 침탈侵奪한 땅을 돌려준 것이다. 화난禍難이 풀리게 된다면注+나라가 복종服從하면 화난禍難완화緩和된다는 말이다. 이는 다대多大영광榮光입니다.
나라와 나라는 모두 하늘이 돕는 나라이니, 어찌 반드시 나라만이 승리勝利한다고 보장할 수 있겠습니까?”注+[부주]林: 나라와 나라가 전쟁戰爭승리勝利한 것 또한 오직 하늘의 뜻이 돕는 바에 달려 있으니, 어찌 나라가 나라를 이길 것을 기필期必할 수 있겠느냐는 말이다. 라고 하니, 진인晉人제인齊人요청要請허락許諾하고서, 나라 사자使者에게 답하기를,注+[부주]林: 나라의 사신使臣에게 대답對答한 것이다. 군신群臣병거兵車[賦輿]를 거느리고 온 것은注+부여賦輿병거兵車와 같은 말이다. 나라와 나라를 위해 제군齊君하기 위함이었습니다.
만약 그럴듯한 말을 가지고 돌아가서 우리 임금께 복명復命하게 한다면注+(올림)이고 (사룀)이다. [부주]林: 진실로 입에 올릴 만한 그럴듯한 소득所得을 가지고 돌아가 진군晉君복명復命한다는 말이다. 이는 제군齊君은혜恩惠이니, 어찌 감히 을 따르지 않겠습니까?”라고 하였다.
금정禽鄭군중軍中으로부터 가서 성공成公을 맞이하였다.注+금정禽鄭나라 대부大夫이다. 돌아와 성공成公을 맞이해 가서 진군晉君회합會合하게 한 것이다.
가을 7월에 진군晉軍나라 국좌國佐원루爰婁에서 결맹結盟하고서 제인齊人으로 하여금 문양汶陽의 땅을 우리 나라에 돌려주게 하였다.
성공成公상명上鄍에서 진군晉軍회합會合하고서注+상명上鄍소재지所在地를 기록하지 않았다. 성공成公진군晉軍회합會合한 것을 에 기록하지 않은 것은 사관史官이 빠뜨린 것이다. 장수將帥에게 선로先路삼명三命注+삼수三帥극극郤克, 사섭士燮, 난서欒書이다. 이들은 이미 천왕天王하사下賜선로先路를 받았는데, 지금 다시 새것으로 바꾸어주고, 아울러 수레에 세우는 정기旌旗와 입는 의복衣服까지 준 것이다. 하사下賜하였다.
사마司馬, 사공司空, 여수輿帥, 후정候正, 아려亞旅도 모두 일명一命명복命服을 받았다.注+나라 사마司馬사공司空은 모두 대부大夫이다. 여수輿帥병거兵車주관主管하는 자이고, 후정候正척후斥候주관主管하는 자이다. 아려亞旅대부大夫이다. 모두 노후魯侯가 준 것이다.
8월에 송문공宋文公하니, 비로소 후장厚葬하여 광중壙中신탄蜃炭을 쓰고 수장隨葬하는 거마車馬를 더하며, 비로소 사람을 순장殉葬하고注+조개를 태워 을 만들어서 광중壙中에 묻고, 거마車馬를 많이 묻고, 사람을 순장殉葬한 것이다.각종各種기물器物[器備]을 많이 넣으며,注+와 같다. 에는 사아四阿가 있고 에는 한회翰檜가 있었다.注+사아四阿는 네 모서리에 기둥을 세운 이다. 의 옆을 장식裝飾한 것이고, 의 위를 장식裝飾한 것으로 모두 이다.
이에 대해 군자君子는 다음과 같이 논평論評하였다.
화원華元악거樂擧가 이 일에 있어 신하臣下도리道理를 잃었다.注+[부주]林: 화원華元악거樂擧는 모두 나라 이다. 군자君子가 ‘이 두 사람은 신하臣下도리道理를 다하지 못했다.’고 한 것이다.
신하臣下는 임금의 번란煩亂을 다스리고 미혹迷惑을 제거하는 자이다.注+[부주]林: 남의 신하가 된 자는 임금의 번란煩亂을 다스리고 임금의 미혹迷惑제거除去하는 자라는 말이다.
그러므로 죽음을 무릅쓰고 간쟁諫爭하는 것인데, 지금 두 사람은 임금이 살았을 때는 혹란惑亂한 짓을 마음대로 하게 하였고注+문공文公 18년에 모제母弟를 죽인 것을 이른다. 죽은 뒤에는 또 사치를 증가增加하였으니, 이는 임금을 사악邪惡 속으로 던져 버린 것이다.
어찌 신하臣下라 할 수 있겠는가?”注+‘어찌 신하라 할 수 있겠느냐.’는 말과 같은 말이다.
9월에 위목공衛穆公하였다.
나라의 세 사람이 전장戰場에서 환국還國하던 길에 조문弔問하러 가서 대문大門 밖에서 하니,注+진군晉軍환국還國할 때 나라를 지났다. 그러므로 그 기회期會이용利用조문弔問한 것이다. 아직 복명復命하기 전이기 때문에 감히 를 갖추어 하지 않은 것이다. [부주]林: 나라의 극극郤克, 사섭士燮, 난서欒書전쟁戰爭에서 돌아가는 길에 나라를 지나다가 그 기회期會이용利用해 가서 조문弔問한 것이다. 위인衛人은 그들을 대문大門 밖에서 맞이하고,注+대문大門 밖에 상인喪人의 자리를 설치設置하고서 맞이한 것이다. 부인婦人들은 대문大門 안에서 하였다.注+상인喪人위치位置로 말하면 부인婦人에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 대문大門 밖에 있기 때문에 대문大門 안으로 자리를 옮긴 것이다.
이들을 보낼 때에도 이렇게 하고서, 드디어 이것을 상례常禮로 삼아 입장入葬할 때까지 이렇게 하였다.注+입장入葬할 때까지 이 를 행한 것이다.
나라가 나라의 하씨夏氏토벌討伐할 때注+선공宣公 11년에 있었다.초장왕楚莊王하희夏姬를 아내로 거두려 하자, 신공申公무신巫臣이 말하기를, “불가不可합니다.
군왕君王께서 제후諸侯소집召集한 것은 죄인罪人토벌討伐하기 위함인데, 지금 하희夏姬를 거두신다면 여색女色하는 것입니다.
여색女色하는 것은 음란淫亂이고 음란淫亂하면 대벌大罰을 받게 됩니다.
주서周書〉에 ‘도덕道德선양宣揚[明德]하고, 징벌懲罰받을 일을 삼갔다.[愼罰]’注+주서周書는 〈강고康誥〉이다. 고 하였으니, 이것이 문왕文王나라를 창건創建하게 된 원인原因입니다.
명덕明德은 힘써 숭상崇尙함을 이르고, 신벌愼罰은 힘써 징벌懲罰받을 일을 제거除去함을 이릅니다.
제후諸侯의 군대를 일으켜 대벌大罰한다면 신벌愼罰이 아니니, 군왕君王께서는 깊이 생각하소서.”라고 하니. 초왕楚王은 즉시 그만두었다.
자반子反하희夏姬하려 하자, 무신巫臣이 말하기를, “이 여자는 불길不吉한 사람입니다.
이 여자는 자만子蠻요사夭死하게 하고,注+자만子蠻정영공鄭靈公으로 하희夏姬의 오빠인데, 후사後嗣도 없이 죽었다. 어숙御叔을 죽게 하고,注+어숙御叔하희夏姬의 남편으로 역시 조사早死하였다. 영후靈侯시해弑害되게 하고,注+진영공陳靈公이다. 하남夏南을 죽게 하고,注+하남夏南하희夏姬의 아들 징서徵舒이다. 공녕孔寧의행보儀行父출분出奔하게 하고,注+공녕孔寧의행보儀行父이다. 나라를 하게 하였으니,注+나라가 나라를 격멸擊滅한 것을 이른 것이다. 이런 불길不吉함이 어디 있겠습니까?
사람이 세상에 생존生存하기가 실로 어려운데,注+[부주]林: 사람의 생명生命은 실로 보존保存하기가 어렵다는 말이다. 이 사람을 한다면 아마도 제명에 죽지 못할 것입니다.注+죽음은 얻기 쉬우니, 하희夏姬하여 죽음을 부르지[速] 말라는 말이다.
천하天下에는 미인美人이 많은데 무엇 때문에 반드시 이런 여자女子하려 하십니까?”라고 하니, 자반子反도 즉시 그만두었다.
초왕楚王은 이 여자를 연윤連尹양로襄老에게 주었다.
양로襄老전쟁戰爭에서 죽었는데, 그 시신屍身을 찾아오지 못하였다.注+전쟁戰爭선공宣公 12년에 있었다.
양로襄老의 아들 흑요黑要하희夏姬간통姦通하였다.注+흑요黑要양로襄老의 아들이다.
무신巫臣하희夏姬에게 사람을 보내어 유도誘導하기를, “친정親庭 나라로 돌아가 있으면 내가 를 갖추어 그대를 아내로 맞이하겠다.”注+하희夏姬유도誘導하여 나라로 돌아가게 한 것이다. [부주]林: 무신巫臣이 사람을 시켜 자기의 뜻을 하희夏姬에게 일러 하희夏姬로 하여금 나라로 돌아가게 하면서, 장차 나라로 가서 그대를 아내로 맞이하겠다고 말한 것이다. 고 하고, 또 사람을 보내어 나라에게注+[부주]林: 무신巫臣이 또 사람을 시켜 나라에서 하희夏姬소환召還하기 위해 왔다고 거짓말을 하게 한 것이다. 양로襄老시신屍身을 찾을 수 있으니,注+양로襄老시신屍身이다. 반드시 와서 그 시신屍身을 맞이하라.”는 말로 하희夏姬소환召還하게 하였다.
하희夏姬가 이 일을 초왕楚王에게 하니, 초왕楚王굴무屈巫에게 의견意見을 물었다.注+굴무屈巫무신巫臣이다.
굴무屈巫가 대답하기를, “이 말은 믿어도 좋을 듯합니다.注+[부주]林: 그 일이 진실眞實인 듯하다는 말이다.
지앵知罃의 아비는 진성공晉成公총신寵臣이고, 중행백中行伯계제季弟注+지앵知罃의 아버지는 순수荀首이고, 중행백中行伯순임보荀林父이다. 전쟁戰爭초인楚人지앵知罃포로捕虜로 잡아갔다. 새로 중군中軍가 되었는데, 나라의 황술皇戌과 사이가 좋고, 이 아들을 매우 사랑하니,注+지앵知罃을 사랑한다는 말이다. 그는 반드시 나라를 통해 왕자王子양로襄老시신屍身을 돌려주고 지앵知罃교환交換하자고 할 것입니다.注+왕자王子나라 공자公子곡신穀臣인데, 전쟁戰爭순수荀首포로捕虜로 잡아갔다. [부주]林: 곡신穀臣양로襄老시신屍身을 가지고 지앵知罃교환交換하기를 나라에 요구要求할 것이라는 말이다.
나라는 전쟁戰爭에 겁을 먹고서 나라에 잘 보이고자 하니, 반드시 그 일(仲裁하는 일)을 허락許諾할 것입니다.”고 하니, 초왕楚王하희夏姬나라로 보냈다.
하희夏姬는 떠날 때 호송護送하는 사람에게 말하기를, “양로襄老시신屍身을 찾지 못하면 나는 돌아오지 않겠다.”고 하였다.
얼마 뒤에 무신巫臣하희夏姬를 아내로 맞이하겠다[聘]고 나라에 하니 정백鄭伯허락許諾하였다.注+하희夏姬를 아내로 맞이하는 것이다.
초공왕楚共王즉위卽位함에 미쳐 양교陽橋에서 전쟁戰爭을 일으키려고注+나라가 나라를 토벌討伐양교陽橋까지 쳐들어온 것은 이 해 겨울에 있었다.굴무屈巫나라에 사자使者로 보내어 빙문聘問하고, 동시同時출병出兵시기時期나라에 알리게 하였는데, 무신巫臣은 온 가족家族재산財産을 다 가지고 떠났다.注+가족家族이 다 떠난 것이다.
신숙궤申叔跪가 그 아버지를 따라 으로 가다가 무신巫臣을 만나보고注+숙궤叔跪신숙시申叔時의 아들이다. 말하기를, “괴이怪異하다.
저 사람[夫子]은 삼군三軍의 일로 사명使命을 받고 가니 계구戒懼하는 마음을 가져야 하는데, 뽕나무 밑에서 밀회密會하는 즐거움을 생각하니, 아마도 장차 아내를 데리고 도망갈 듯하다.”注+상중桑中은 《시경詩經》 〈위풍衛風〉에 있는 음분시淫奔詩이다. [부주]林: 무신巫臣사기師期(出兵時期)를 하기 위해 가니, 이는 삼군三軍의 두려움(軍事로 사명使命을 받고 가니 경계하고 두려워하는 마음)이 있는 것이고, 장차 하희夏姬음분淫奔(野合)할 것이니, 이는 상중桑中의 즐거움이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아마도 하희夏姬를 데리고 타국他國으로 도망갈 것 같다는 말이다. [부주]朱: 무신巫臣타국他國으로 출분出奔하면 초군楚君이 군대를 일으켜 칠 것이니, 이것이 삼군三軍의 두려움이 있는 것이고, 장차 사사로이 하희夏姬하면 위시衛詩(鄘風)에 이른바 ‘나와 뽕나무 밑에서 만나기로 약속했다.’는 것이니, 또 이런 기쁨이 있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두렵고 한편으로는 기쁘니 가족家族재물財物을 다 가지고 도망가는 것이 당연하다는 말이다. 고 하였다.
무신巫臣나라에 미쳐 부사副使에게 나라가 보낸 예폐禮幣를 가지고 나라로 돌아가 복명復命하게 하고, 자기는 하희夏姬를 데리고 도망갔다.注+부사副使이고, 빙문聘問하기 위해 가지고 간 예물禮物이다. [부주]林: 나라에 빙문聘問하기 위해 가지고 가던 예물禮物부사副使에게 돌려주고 드디어 하희夏姬를 데리고 떠난 것이다.
나라로 가려다가 제군齊軍이 새로 패전敗戰한 것을 알고는注+[부주]林: 근자近者에서 패전敗戰한 것을 이른다. 말하기를, “나는 승전勝戰하지 못한 나라에는 거주居住하지 않는다.”고 하고서, 마침내 나라로 도망가서 극지郤至를 통해注+극지郤至극극郤克족자族子이다. 나라의 신하臣下가 되니, 진인晉人은 그를 대부大夫로 삼았다.注+나라 이다.
자반子反초왕楚王에게 나라에 많은 폐백幣帛을 보내어 무신巫臣금고禁錮하게 하기를 하니,注+금고禁錮해 벼슬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초왕楚王이 말하기를, “그럴 것 없다.
그가 자신을 위한 계모計謀는 잘못했지만注+[부주]朱: 무신巫臣이 사사로이 하희夏姬해 도망갔으니, 그가 자기 일신一身을 위한 계모計謀는 잘못되었다는 말이다. 우리 선왕先王을 위한 계모計謀충성忠誠스러웠다.注+[부주]朱: 무신巫臣장왕莊王에게 하희夏姬를 받아들이지 말도록 한 것이 바로 선군先君충성忠誠한 것이다.
충성忠誠사직社稷안고安固하게 하는 것이니, 그에게는 과오過誤를 덮을 만한 훌륭한 일이 많았다.注+는 덮음이다. [부주]林: 무신巫臣이 임금에게 충성忠誠이 그 음분淫奔를 덮기에 충분하다는 말이다.
그가 국가國家(晉나라를 이름)를 이롭게 할 수 있다면 아무리 많은 폐백幣帛을 보낸들 나라가 우리의 요구要求를 들어주겠는가?注+허락許諾하지 않을 것이라는 말이다.
만약 나라에 무익無益하다면 나라가 장차 그를 버릴 것이니, 무엇 때문에 수고롭게 그를 금고禁錮시킬 필요가 있겠는가?”注+성공成公 7년에 나라가 무신巫臣족속族屬한 것과, 나라가 남으로 나라와 통호通好장본張本이다. 라고 하였다.
진군晉軍귀환歸還할 때注+[부주]林: 나라를 이기고 돌아온 것이다.범문자范文子가 가장 늦게 국도國都로 들어오니, 무자武子가 말하기를, “너는 내가 기다리는 것을 생각지 않았느냐?”注+무자武子사회士會문자文子의 아버지이다. [부주]林: 문자文子가 뒤늦게 들어오자, 무자武子가 ‘네가 을 세우고 돌아오기를 내가 바란다는 것을 생각하지 않았느냐?’고 말한 것이다. 고 하자,
대답하기를, “우리 군대가 전공戰功을 세워서 국인國人들이 기쁨으로 맞이하는데, 먼저 들어오면 반드시 이목耳目이 저에게 집중集中될 것이니,注+[부주]林: 만약 먼저 들어왔다면 국인國人은 반드시 나에게 이목耳目집중集中하여 승리勝利를 모두 나의 으로 여겼을 것이라는 말이다. 이는 원수元帥 대신 제가 명성名聲을 얻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감히 먼저 들어오지 않은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그러자 무자武子는 “나는 네가 이렇게 겸양謙讓가 있으니 우리 집안이 를 면할 것으로 안다.”注+자기의 를 보태지 않을 것을 안 것이다. 고 하였다.
극백郤伯진경공晉景公알현謁見하니, 경공景公이 “이번의 승리勝利는 그대의 힘이다.”고 위로慰勞하였다.
그러자 극백郤伯이 “이는 임금님의 교훈敎訓이 계셨고, 여러 장수將帥들이 힘을 다했기 때문입니다.
신에게 무슨 [力]이 있겠습니까?”注+극백郤伯극극郤克이다. 라고 대답하였다.
범숙范叔알현謁見하니, 경공景公극백郤伯에게 한 것과 같은 말로 위로慰勞하였다.
그러자 범숙范叔이 “이는 순경荀庚명령命令을 따랐고, 극극郤克절제節制(指揮)를 받았기 때문입니다.
에게 무슨 이 있겠습니까?”注+순경荀庚상군上軍장수將帥였으나, 이번에 출전出戰하지 않았으므로 범문자范文子상군上軍장수將帥임무任務대행代行하였다. 그러므로 장수將帥의 이름을 지칭指稱을 사양한 것이다. 라고 대답하였다.
난서欒書알현謁見하니, 경공景公이 또 같은 말로 위로慰勞하였다.
그러자 난서欒書가 “이는 계획計劃을 일러주고 군대가 명령命令을 잘 따랐기 때문입니다.
에게 무슨 이 있겠습니까?”注+는 알려줌이다. 난서欒書하군장下軍將이었기 때문에 상군장上軍將에게 미룬 것이다. 전문傳文나라의 장수將帥들이 능히 겸양謙讓한 것이 나라를 이길 수 있었던 원인原因임을 말한 것이다. 라고 대답하였다.
선공宣公사자使者를 보내어 나라에 우호友好를 맺자고 요구要求하였으나, 초장왕楚莊王하고 선공宣公하여 우호友好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注+선공宣公 18년에 있었다.
성공成公즉위卽位하여 나라의 맹약盟約접수接受하고注+성공成公원년元年적극赤棘에서 결맹結盟하였다. 나라와 연합聯合나라를 토벌討伐하였다.
위인衛人나라에 사자使者을 보내지 않고注+나라에 빙문聘問하지 않은 것이다. 나라의 맹약盟約접수接受하고서 진군晉軍을 따라 나라를 토벌討伐하였다.
그러므로 나라 영윤令尹자중子重양교陽橋전쟁戰爭을 일으켜 나라를 구원救援하였다.
초군楚軍출병出兵하려 할 때 자중子重이 말하기를, “임금은 어리고注+양공襄公 13년 에 “과인寡人이 태어나 열 살 때 선군先君을 잃었다.”고 하였다. 이때가 공왕共王즉위卽位한 지 2년째 되는 해였으니, 대체로 나이가 열두서너 살쯤 되었을 것이다. 군신群臣선대부先大夫만 못하니注+[부주]林: 나라 제신諸臣선대부先大夫손숙오孫叔敖 등만 못하다는 말이다. 군대가 많은 뒤에야 승리勝利할 수 있다.
시경詩經》에 ‘인재人才가 많아 문왕文王이 편안하였다.’注+는 《시경詩經》 〈대아大雅문왕편文王篇〉이다. 문왕文王이 많은 인재人材가 있었기 때문에 편안했다는 말이다. 고 하였으니, 저 문왕文王도 오히려 많은 사람을 사용使用하였는데, 하물며 우리들이겠는가?注+이다.
그리고 또 선군先君장왕莊王께서 부탁하기를 ‘먼 지방에까지 파급波及시킬 만한 이 없으면 백성에게 은혜恩惠를 입히고 구휼救恤하여 그들을 잘 사용使用하는 것만 한 게 없다.’고 하셨다.”고 하고서, 호구戶口조사調査하여,注+백성百姓호구戶口검열檢閱한 것이다. 포흠逋欠[責]을 면제免除하고,注+포흠逋欠[責]을 면제免除한 것이다. 홀아비에게 은혜恩惠를 베풀고,注+은혜가 늙은이와 홀아비에게 미친 것이다. 궁핍窮乏한 사람을 구휼救恤하고, 있는 자를 사면赦免하고서, 전군全軍을 다 동원動員하고注+[부주]林: 초군楚軍을 다 동원動員한 것이다. 시위군侍衛軍도 모두 출동出動하였다.
팽명彭名융거戎車가 되고, 채경공蔡景公거좌車左가 되고 허령공許靈公거우車右가 되었다.注+초왕楚王시위졸侍衛卒도 다 출전出戰하였기 때문에 융거戎車도 간 것이다. 그 융거戎車에 비록 초왕楚王이 타지 않았으나, 두 나라 임금으로 하여금 거좌車左거우車右직위職位담당擔當하게 한 것이다.
두 임금은 아직 성년成年이 되지 않았는데도 모두 강제로 관례冠禮를 시켰다.注+[부주]林: 강제로 관례冠禮를 시켜 성인成人처럼 만든 것이다.
겨울에 초군楚軍나라를 침공侵攻하고 드디어 에서 우리 군대를 침공侵攻하였다.注+성공成公이 뇌물을 주자 물러갔기 때문에 에 ‘’이라고 기록하지 않은 것이다. [부주]林: 나라 군대가 에 주둔한 것이다.
성공成公장손臧孫초군楚軍에 보내어 화친和親하게 하니,注+장손臧孫선숙宣叔이다. 장손臧孫이 사양하며 말하기를, “초군楚軍은 멀리 와서 오랫동안 머물렀으니, 진실로 물러가려 할 것입니다.注+[부주]林: 초군楚軍이 먼 길을 왔고 또 오래 나와 있었기 때문에 진실로 스스로 퇴군退軍하려 할 것이라는 말이다.
도 없으면서 명예名譽를 얻는 일을 은 감히 할 수 없습니다.”注+감히 초군楚軍을 물러가게 했다는 허명虛名을 받을 수 없다는 말이다. [부주]林: 장선숙臧宣叔초군楚軍사자使者로 가기 싫어서 손사孫辭(본의를 숨기고 그럴듯한 말을 꾸밈)로 하기를 구한 것이다. 고 하였다.
초군楚軍양교陽橋에까지 침입侵入하자,注+양교陽橋나라 땅이다. 맹손孟孫초군楚軍으로 가기를 하여,注+초군楚軍이 마침내 깊숙이 침입侵入하였기 때문에 맹손孟孫뇌물賂物을 가지고 간 것이다. 맹손孟孫헌자獻子이다. 나라에 집착執斲, 집침執鍼, 직임織紝 1백 뇌물賂物로 주고注+집착執斲장인匠人이고, 집침執鍼여공女工이고, 직임織紝은 비단을 짜는 사람이다. 공형公衡인질人質로 보내고서注+공형公衡성공成公의 아들이다. 결맹結盟하기를 하니, 초인楚人화평和平허락許諾하였다.
11월에 성공成公나라 공자公子영제嬰齊, 채후蔡侯, 허남許男, 나라 우대부右大夫, 나라 화원華元, 나라 공손公孫, 나라 손량부孫良夫, 나라 공자公子거질去疾나라의 대부大夫에서 결맹結盟하였다.注+나라 대부大夫의 이름을 기록하지 않은 것은 이 아니기 때문이다.
의 이름을 기록하지 않은 것은 성의誠意결핍缺乏결맹結盟[匱盟]이었기 때문이다.
이때 여러 나라는 나라를 두려워하여 몰래 나라와 결맹結盟하였기 때문에 ‘궤맹匱盟’이라 한 것이다.注+결핍缺乏이다. [부주]林: 성의誠意궤핍匱乏결맹結盟이라는 말이다.
채후蔡侯허남許男에 기록하지 않은 것은 나라의 융거戎車를 탔기 때문이니, 이를 임금으로서 지위地位를 잃었다고 하는 것이다.注+초왕楚王융거戎車를 타고 좌우左右가 되었으니 임금으로서 지위地位를 잃은 것이다. 의 이름을 기록하지 않는 경우는 ‘’으로 기록하고, 제후諸侯를 기록하지 않는 경우는 모두 에 나타내지 않으니, 이는 군신君臣분별分別함이다.
군자君子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평論評하였다.
“임금은 그 지위地位를 삼가 지키지 않아서는 안 된다.
나라와 나라 임금이 한 번 지위地位를 잃자 제후諸侯반열班列에 끼지 못했는데, 하물며 그보다 낮은 사람이겠는가?
시경詩經》에 ‘임금이 직위職位에 게을리 하지 않는 것이 백성들이 휴식休息할 수 있는 바이다.’注+는 《시경詩經》 〈대아大雅가락편假樂篇〉이다. 윗자리에 있는 자가 근로勤勞하여 그 지위地位를 바르게 지키면 나라가 편안하여 백성이 휴식休息한다는 말이다. 이고 휴식休息이다. 고 한 것이 바로 이를 말한 것이다.”
초군楚軍나라에 미쳤을 때注+[부주]林: 초군楚軍에서 결맹結盟하고서 귀로歸路나라에 이른 것이다.공형公衡이 도망해 돌아오니, 장선숙臧宣叔이 말하기를, “형보衡父가 몇 해의 불안不安생활生活을 참지 못하여注+안락安樂이다. [부주]林: 형보衡父는 바로 공형公衡이다. 나라를 버렸으니,注+[부주]朱: 도망해 돌아오면 나라에 신의信義를 잃어 화환禍患이 생길 것이니. 이것이 나라를 버린 것이라는 말이다. 국가國家가 장차 이 일을 어찌할 수 있겠는가?注+[부주]林: 장차 국가國家의 일을 어찌하겠느냐는 말이다.
를 당할 자가 누구인가[誰居]?
국가를 버렸으니,注+어사語辭이다. 후인後人 중에 반드시 화환禍患을 당하는 자가 있을 것이라는 말이다. [부주]朱: 조어助語이다. 후인後人 중에 반드시 화환禍患을 당할 자가 있을 것인데 그것이 누구인지 모르겠다. 나라가 공형公衡에게 버림을 받았기 때문이라는 말이다. 그 후손 중에 반드시 를 당할 자가 있을 것이다.”고 하였다.
이번 군행軍行(戰爭)에 진군晉軍초군楚軍한 것은 초군楚軍이 많은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었다.
군자君子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평論評하였다.
“많은 군대의 편성編成을 그만둘 수 없다.注+[부주]林: 대중大衆을 버리고 사용使用하지 않아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대부大夫집정執政하는데도 오히려 군대가 많음으로 인해 승리勝利하였는데, 하물며 밝은 임금이 대중大衆을 잘 사용使用하는 데이겠는가?
대서大誓〉에 이른바 ‘나라는 만민萬民이 각각 다른 마음이었지만, 나라는 열 사람이 한 마음이었다.’고 하였으니, 이는 나라가 대중大衆으로 인해 일어난 것을 말한 것이다.注+대서大誓는 〈주서周書〉이다. 만억萬億라 한다. 백성이 흩어지면 해지고 하면 무리를 이룬다. 나라는 백성이 흩어졌기 때문에 하였고, 나라는 무리를 이루었기 때문에 일어났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진후晉侯공삭鞏朔사자使者로 보내어 나라에 승리勝利하고 잡은 부로俘虜주왕周王에게 바치게 하였는데, 주왕周王공삭鞏朔접견接見하지 않고 선양공單襄公을 보내어 헌첩獻捷사절謝絶하며 말하기를, “만이蠻夷융적戎狄왕명王命봉행奉行하지 않고注+상명上命봉행奉行[用]하는 것이다.주색酒色에 빠져 상도常道를 무너뜨리면 후백侯伯에게 하여 그 나라를 정벌征伐하게 하는데, 이런 경우에만 헌첩獻捷하는 가 있다.
은 그 헌첩獻捷을 친히 접수接受하고 공로功勞위로慰勞하니, 이는 불경不敬한 나라를 징벌懲罰하고 이 있는 자를 권면勸勉하기 위함이다.注+[부주]朱: 반드시 헌첩獻捷하게 하는 것은 한편으로는 불경不敬사이四夷징계懲戒하고, 또 한편으로는 이 있는 방백方伯권면勸勉하기 위함이라는 말이다.
형제兄弟의 나라나 생구甥舅의 나라가 경계境界[王略]를 침범侵犯하고 법도法度파괴破壞하면注+형제兄弟동성국同姓國이고, 생구甥舅이성국異姓國이다. 천하天下경영經營해 다스리는 법도法度이다. 후백侯伯에게 하여 그 나라를 정벌征伐하게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승리勝利한 일만을 보고報告할 뿐 부로俘虜는 바치지 않으니, 이는 친닐親暱존경尊敬하고注+정벌征伐한 일만을 하고 수부囚俘(捕虜)는 바치지 않는 것이다. 음특淫慝금지禁止하기 위함이다.注+음특淫慝폭력暴力으로 백성을 노략擄掠하여 포로로 삼는 것이다.
지금 숙부叔父나라에 을 이루고서,注+이다. 명경命卿사자使者로 보내어 왕실王室진무鎭撫(慰撫)하지 않고, 여일인余一人위무慰撫하기 위해 보내 온 사자使者공백鞏伯이 왔다.
이 사람은 왕실王室에 맡은 직무職務[職司]가 없고,注+공삭鞏朔상군대부上軍大夫명경命卿이 아니기 때문에 그의 이름과 직위職位나라 왕실王室하지 않았다는 말이다. [부주]朱: 지금 나라가 사자使者로 보내어 와서 천자天子위안慰安하는 자로 바로 상군上軍대부大夫공삭鞏朔 이 사람[實]이 왔다는 말이다. 또 이 헌첩獻捷선왕先王한 것이니,注+헌제첩獻齊捷을 이른다. 내 비록 공백鞏伯헌첩獻捷을 받고 싶지만注+헌첩獻捷을 받고자 한다는 말이다. 어찌 감히 구전舊典폐기廢棄하여 숙부叔父되게 하겠는가?
나라는 생구甥舅의 나라이고 태사太師후예後裔이나,注+나라는 대대로 나라 왕실王室혼인昏姻하였기 때문에 ‘생구甥舅’라 한 것이다. [부주]林: 태공太公나라의 태사太師나라에 해졌기 때문에 태사太師후예後裔라고 한 것이다. 어찌 지나치게 사욕私慾방종放縱하여 숙부叔父하게 한 일이 없었겠는가?注+[부주]林: 나라가 어찌 그 기욕嗜慾음란淫亂하고 방종放縱하여 나라에게 분노忿怒하지 않았겠느냐는 말이다.
그러나 어찌 타일러 가르칠[諫誨] 수 없었겠는가?”注+[부주]林: 그렇다고 어찌 방종放縱하지 않도록 타일러 가르치지 않고 전쟁戰爭을 일으켜 참혹慘酷하게 토벌討伐하기까지 하였느냐는 말이다. 라고 하니, 사장백士莊伯대답對答을 하지 못하였다.注+장백莊伯공삭鞏朔이다.
사신使臣접대接待삼리三吏(三公)에게 맡겨,注+는 맡기는 것이고, 삼리三吏삼공三公이다. 후백侯伯을 이기고 대부大夫사자使者로 보내어 에게 경하慶賀할 때의 로 그를 예우禮遇하여, 접대接待하는 보다 한 등급等級을 낮추어 접대接待하게 하였다.
공백鞏伯에게 연회宴會를 베풀어주고, 사사로이 예물禮物을 주고는 (贊者)을 시켜 다음과 같이 이르게 하였다.
“이는 가 아니니 사책史策기록記錄하지 말라.”注+할 때 그 절차節次진행進行을 돕는 자이다. 서적書籍이다. 주왕周王나라를 두려워하였기 때문에 사사로이 연회宴會를 베풀고 예물禮物을 주어 공삭鞏朔을 위로한 것이다. [부주]林: 이 연회宴會예물禮物을 준 것이 모두 바른 가 아니니, 이를 사책史策에 기록하여 예전禮典으로 삼지 말라는 말이다.


역주
역주1 首命於國 備於禮 成爲卿故也 : 首가 그 나라 임금에 의해 朝廷에서 爵名을 받고, 그 宮室, 車旗, 衣服, 禮儀가 命數에 맞게 갖추어져서 正式으로 卿이 되었기 때문이라는 말이다. 爵名을 받았더라도 禮儀가 갖추어지지 않았으면 《春秋》에 기록하지 않는다. 〈疏〉
역주2 書[言] : 저본에는 ‘書’로 되어 있으나 《四庫全書左傳杜林合注》本에 의거하여 ‘言’으로 바로잡았다.
역주3 且告車來甚衆 齊師乃止 : 石子가 한편으로는 桓子를 退却하게 하고, 한편으로는 援軍이 왔다고 軍中에 告하여 軍心을 安定시킨 것인데, 齊軍이 이 말을 듣고 進擊을 멈춘 것이다.
역주4 唯器與名 : 器는 曲縣과 繁纓을 이르고, 名은 爵號를 이른다. 〈楊注〉
역주5 君之所司也 : 器와 名은 임금이 掌握하고서 臣民을 統治하는 道具라는 말이다. 〈楊注〉
역주6 名以出信 : 《左氏會箋》에는 “이러한 名이 있으면 이에 相應하는 地位가 있는 것이니, 名과 位가 어그러지지 않는 것이 바로 信이고, 백성의 信任을 받는 것을 이른 것이 아니다.”고 하였고, 〈楊注〉에는 “某種의 爵號가 있으면 某種의 威信을 賦與하는 것이다.”고 하였다. 〈楊注〉를 取해 飜譯하였다.
역주7 信以守器 : 某種의 威信이 있으면 받은 器物을 保持할 수 있다는 말이다. 〈楊注〉
역주8 器以藏禮 : 各種器物을 制定해 尊卑와 貴賤을 드러내어 禮를 體現한다는 말이다. 〈楊注〉
역주9 禮以行義 : 禮를 따라 行하면 義에 맞는다는 말이다. 《左傳直解》
역주10 義以生利 : 義를 행한 뒤에야 大衆의 利益을 創出할 수 있다는 말이다. 〈楊注〉
역주11 先大夫之肅 : 先大夫는 城濮의 戰爭에 出戰했던 先軫, 狐偃, 欒枝 등 여러 사람을 이른 것이다. 肅은 敏捷함이다. 재능이 민첩하면 적을 이길 수 있다. 肅은 ‘敬肅’의 뜻이 아니다. 〈楊注〉
역주12 師從齊師于莘 : 魯나라 북쪽 邊邑을 치고 新築에서 衛나라에 勝利하고서 돌아가는 齊軍의 뒤를 밟아 따라간 것이다.
역주13 無令輿師淹於君地 : 속히 決戰하고자 한다는 뜻이다.
역주14 翦滅 : 翦과 滅은 同意語이다. 翦을 盡으로 解釋한 杜注는 옳지 않다. 〈楊注〉
역주15 摯[擊] : 저본에는 ‘摯’로 되어 있으나 《十三經注疏》本에 의거하여 ‘擊’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6 余必下推車 …… 然子病矣 : 한 수레에 타고 있는 車右가 내려가서 수레를 민 것을 主將이 모른 것으로 보아, 主將의 負傷이 매우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는 말이다.
역주17 左幷轡 右援枹而鼓 : 원래 御者는 두 손에 네 마리 말의 고삐를 나누어 잡고 수레를 모는 것이 正常이지만 지금 主將의 負傷이 심하기 때문에 御者인 張侯가 왼손에 고삐를 모아 잡고, 오른손으로 主將을 대신해 북을 친 것이다. 郤克이 고삐를 잡았다고 한 林注는 옳지 않다.
역주18 馬逸不能止 師從之 : 負傷한 왼손에 고삐를 모아 잡았기 때문에 힘이 없어 내닫는 말을 停止시키지 못한 것인데, 晉軍은 主將의 수레가 달리는 것을 보고 뒤따라 달려가 勝利한 것이다.
역주19 且[旦] : 저본에는 ‘且’로 되어 있으나 《十三經注疏》本에 의거하여 ‘旦’으로 바로잡았다.
역주20 且[旦] : 저본에는 ‘且’로 되어 있으나 《四庫全書左傳杜林合注》本에 의거하여 ‘旦’으로 바로잡았다.
역주21 故中御而從齊侯 : 《正義》에 “韓厥이 司馬이니 이 또한 諸將 중의 하나이다. 꿈 때문에 가운데 타고서 수레를 몰았다고 말하여, 그가 본래 御者가 아니기 때문에 가운데 탈 수 없다는 것을 밝혔다. 만약 御者가 없었다면 ‘代御’라고 말하지 않았을 것이니, 여기에서 韓厥이 元帥가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그 밖의 諸將의 兵車에는 모두 御者가 가운데 타고 將帥가 왼쪽에 탄다.”고 하였다.
역주22 謂之君子而射之 非禮也 : 戰爭에는 敵을 죽이는 것을 禮로 삼는데, 齊侯는 ‘君子를 쏘는 것은 禮가 아니다.’고 하였으니, 이는 戎禮를 모른 것이다. 〈疏〉
역주23 皆肘之 : 韓厥이 고삐를 잡고 있었기 때문에 손을 쓸 수 없어서 팔꿈치로 민 것이다.
역주24 逢丑父與公易位 : 事態가 急迫해지자, 丑父는 임금을 保護하기 위해 임금과 位置를 바꾸어 自身이 임금으로 假裝해 晉軍을 속인 것이다.
역주25 胡[故] : 저본에는 ‘胡’로 되어 있으나 《四庫全書左傳杜林合注》本에 의거하여 ‘故’로 바로잡았다.
역주26 陷入君地 : 陷入은 深入이다. 《左氏會箋》
역주27 攝官承乏 : 이는 齊侯를 포로로 잡아 晉나라로 데려가겠다는 뜻을 婉曲하게 表現한 말이다.
역주28 自今無有代其君任患者 : 自今 두 字는 文脈이 순조롭지 못하니, 自는 卒의 假借인 듯하다. 卒은 終이니, 오늘까지 임금을 대신해 患難을 責任진 자가 없었다는 말이다. 〈楊注〉
역주29 齊師以帥退 : 齊師以帥退는 여러 解釋이 있으나, 〈楊注〉의 설이 가장 合當한 것 같으므로 이 說을 取해 飜譯하였다. 讀者의 理解를 돕기 위해 〈楊注〉를 紹介한다. “齊侯가 敵陣에서 나올 때마다 齊軍이 擁護해 後退하여 齊侯를 負傷이나 死亡에서 免하게 한 것을 이른 듯하다. 兪樾의 《茶香室經說》에 ‘齊侯가 이미 그 軍中에서 나왔으나, 大敗한 뒤라서 號令이 行해지지 않아, 군대가 潰散하는 形勢를 다시 막을 수 없었으므로 군대가 각각 자기 將帥를 擁護해 退却하고 다시 그 임금을 돌아보지 않은 것이다.’고 하여, 出을 齊軍에서 出한 것으로 解釋한 것은 誤謬가 分明하고, 杜注에 ‘齊侯가 급히 그 군대를 出動시켜 後退하려는 군대를 激勵한 것이다.’고 하여, ‘帥退’를 士卒을 激勵하여 後退하지 못하게 한 것으로 해석한 것은 文意와 合致하지 않고, 焦循의 〈補注〉에 ‘每出齊師’에서 句를 뗀 것은 더욱 誤謬이다. 劉炫의 解釋처럼 ‘齊나라 將帥가 敗戰한 뒤 겁을 먹고서 군대를 거느리고 後退하고 齊侯를 기다리지 않은 것’이라면 原文에 ‘齊師以師退’라 하고, ‘齊師以帥退’라고 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 밖에도 曲說이 많이 있으나, 다 기록하지 않는다.”
역주30 可若何 : 戰爭의 敗北야 어찌할 수 없다는 말이다. 《左氏會箋》
역주31 必以蕭同叔子爲質 : 지난날 郤克이 齊나라에 使臣으로 갔을 때 齊侯의 어머니에게 당한 恥辱을 잊을 수 없기 때문에 齊나라가 和親을 要求하는 期會를 利用해 그를 人質로 삼고자 한 것이다. 《左氏會箋》
역주32 侯齊[齊侯] : 저본에는 ‘侯齊’로 되어 있으나 《十三經注疏》本에 의거하여 ‘齊侯’로 바로잡았다.
역주33 德類 : 古人들은 항상 ‘類’字를 ‘德’字나 ‘義’字 밑에 붙여 말하였다. ‘德類’는 《詩經》 〈大雅蕩篇〉의 ‘義類’와 같은 것으로, 道德의 法則이란 말과 같은 말이다. 〈楊注〉
역주34 疆理天下 物土之宜 : 疆은 境界를 區劃하는 것이고, 理는 땅의 地理(土質)를 분별하는 것인데, 例를 들면 높은 곳에는 기장과 보리를 심고 낮은 곳에는 벼를 심는 類이다.
역주35 四王之王也 : 莊公 32년과 成公 13년 傳에 依據하면 모두 ‘虞, 夏, 商, 周’라 하였으니, 四王은 ‘舜, 禹, 湯, 武’로 보는 것이 마땅한데, 杜氏는 ‘禹, 湯, 文, 武’라 하였다. 이는 3代에 四王이니, 傳의 뜻과 符合하지 않는다. 〈楊注〉
역주36 道[遒] : 저본에는 ‘道’로 되어 있으나 《十三經注疏》本에 의거하여 ‘遒’로 바로잡았다.
역주37 : 저본에는 ‘道’로 되어 있으나 《十三經注疏》本에 의거하여 ‘遒’로 바로잡았다.
역주38 不腆敝賦以犒從者 : 이때 두 나라가 戰鬪하였는데, 犒勞(음식을 接待해 慰勞함)라고 말한 것은 당시의 外交修辭이다. 〈楊注〉
역주39 氓[泯] : 저본에는 ‘氓’으로 되어 있으나 《十三經注疏》本에 의거하여 ‘泯’으로 바로잡았다.
역주40 餘燼 : 燼은 燃燒하고 남은 것이니, 敗殘兵을 譬喩한 말이다.
역주41 魯衛諫曰 齊疾我矣 : 郤克이 여전히 憤怒를 거두지 않기 때문에 魯나라와 衛나라가 諫한 것이다. ‘齊疾我’는 이미 지난 일을 말한 것이다. 《左氏會箋》
역주42 昵[暱] : 저본에는 ‘昵’로 되어 있으나 《十三經注疏》本에 의거하여 ‘暱’으로 바로잡았다.
역주43 磐[磬] : 저본에는 ‘磐’으로 되어 있으나 《十三經注疏》本에 의거하여 ‘磬’으로 바로잡았다.
역주44 輅[路] : 저본에는 ‘輅’로 되어 있으나 《十三經注疏》本에 의거하여 ‘路’로 바로잡았다.
역주45 輅[路] : 저본에는 ‘輅’로 되어 있으나 《十三經注疏》本에 의거하여 ‘路’로 바로잡았다.
역주46 命服 : 命服은 天子가 公, 侯, 伯, 子, 男 등의 諸侯와 公, 卿, 大夫, 士 등의 臣下에게 내리는 각기 다른 九種의 服裝이다.
역주47 用蜃炭 益車馬 : 아래의 車馬가 두 가지 물건이니, 蜃炭도 두 가지 물건으로 보는 것이 옳다. 조개를 태워 石灰를 만들어 壙中을 덮고, 木炭으로 壙中 밖을 채워 濕氣를 防止한 것이다. 古代에 天子와 諸侯의 埋葬에는 眞車와 眞馬를 隨葬하는 制度가 있었는데, 지금 宋公의 埋葬에는 定數보다 많은 車馬를 묻은 것이다. 〈楊注〉를 參考할 것.
역주48 器備 : 弓, 矢, 耒(쟁기), 耜(보습), 敦(黍稷을 담는 그릇), 杅(국을 담는 그릇), 槃匜(세수대야) 등의 用器와, 甲(갑옷), 冑(투구), 干(방패), 笮(화살통) 등의 役器(軍器)와, 杖(지팡이), 笠(햇볕을 가리는 삿갓), 翣(부채) 등의 燕器(宴會 때 사용하는 기물)를 이른다. 〈疏〉
역주49 哭於大門之外 : 臣下가 임금의 命을 받고 이웃 나라의 喪에 가서 弔問할 때는 堂의 西階로 올라가서 東面해 君命을 傳하는 것이 禮인데, 지금 세 사람은 衛나라를 지나다가 들러 弔問하였기 때문에 감히 禮를 갖추어 행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大門 밖에서 哭한 것이다. 〈疏〉
역주50 禮[師] : 저본에는 ‘禮’로 되어 있으나 《十三經注疏》本에 의거하여 ‘師’로 바로잡았다.
역주51 遂常以葬 : 세 사람이 돌아간 뒤에 다른 나라 사람이 와서 弔問할 때에도 모두 大門 밖에서 哭하는 것을 常禮로 삼아 入葬할 때까지 그렇게 하였다는 말이다.
역주52 子蠻 : 杜注에 子蠻은 鄭靈公의 字이고 夏姬의 오빠라고 하였으나, 昭公 28년 傳에 의하면 夏姬의 오빠의 자는 子貉이라고 하였으니, 鄭靈公의 字는 子貉이고 子蠻이 아니다. 昭公 28년 傳에 또 “세 남편을 죽였다.”고 하였으니, 이로 미루어보면 子蠻은 夏姬의 첫 번째 남편인 듯하다. 〈楊注〉
역주53 殺御叔 : 夏姬의 두 번째 남편으로 夏徵舒의 아버지이다. 子蠻과 御叔은 모두 短命하여 일찍 죽은 것인데, 巫臣이 夏姬 탓으로 돌린 것이다. 〈楊注〉
역주54 弑靈侯 : 夏姬로 인해 殺害되었다. 宣公 10년 傳에 보인다.
역주55 出孔儀 : 孔寧과 儀行父도 夏姬로 인해 楚나라로 도망갔다. 宣公 10년 傳에 보인다.
역주56 人生實難 其有不獲死乎 : 사람이 세상에 生存하기가 실로 쉽지 않으니, 그대가 만약 夏姬를 取한다면 장차 命대로 살지 못하는 禍가 있을 것이라는 뜻이다. 〈楊注〉
역주57 : 禮를 갖추어 아내로 맞이하는 것이다.
역주58 使自鄭召之 : 《左氏會箋》에는 “巫臣이 꾀를 내어 鄭나라로 하여금 夏姬를 불러가게 한 것이다.”고 하였고, 〈楊注〉에는 “사람을 시켜 夏姬에게 그대가 돌아오면 襄老의 屍體를 찾을 수 있다고 말하게 한 것이다.”고 하였다.
역주59 王遣夏姬歸 : 襄老의 屍身을 찾아오는 것은 楚子의 기쁨이기 때문에 夏姬를 鄭나라로 보낸 것이다. 《左氏會箋》
역주60 吾不反矣 : 夏姬가 巫臣의 暗示를 받고 鄭나라로 돌아가서 巫臣이 와서 자기를 아내로 맞이하기를 기다리기로 한 것이니, 襄老의 屍身을 찾겠다는 말은 하나의 口實일 뿐이다. 夏姬도 巫臣과 자기가 다시 楚나라로 돌아올 수 없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不反’이라고 한 것이다. 〈楊注〉
역주61 盡室以行 : 家族과 財物을 다 가지고 떠나는 것이다.
역주62 使介反幣 : 介는 副使이다. 使命을 完遂한 뒤 齊나라가 楚나라에 보내는 禮物을 副使에게 주어 가지고서 楚나라로 돌아가게 하고, 자기는 歸國해 復命하지 않은 것이니, 巫臣이 使命을 完遂한 뒤 돌아오는 途中에서 ‘使介反幣’한 것이다. 〈楊注〉 이 說을 取해 飜譯하였다.
역주63 其自爲謀也則過矣 其爲吾先君謀也則忠 : 巫臣이 莊王이 夏姬를 取하려 할 때 不可하다고 諫한 것과 子反이 夏姬를 取하려 할 때 不吉한 女子라고 말린 것은 임금에 대한 忠誠도 上官에 대한 忠告도 아니고, 오직 그 女子를 자기가 차지하려고 갖은 꾀를 내어 남이 취하지 못하게 한 것이다.
역주64 吾知免矣 : 范文子가 이처럼 謙遜하니 禍害와 刑戮에서 免할 수 있다는 뜻이다. 〈楊注〉
역주65 三[二] : 저본에는 ‘三’으로 되어 있으나 《十三經注疏》本에 의거하여 ‘二’로 바로잡았다.
역주66 乘楚王車爲左右……君臣之別 : 杜注의 理解를 돕기 위해 〈疏〉를 紹介한다. “小國이 大國을 따라 어떤 나라를 征伐할 때에는 모두 자기의 수레를 타고 자기의 군대를 거느리고서 戰爭에 臨한다. 그런데 이 두 임금은 자기의 수레를 버리고 楚王의 수레를 타고서 楚王의 左右가 되었으니, 地位를 잃은 것이다. 이미 그 地位를 잃었으면 다시 임금이 아니기 때문에 ‘侵’과 ‘盟會’에 모두 기록하지 않은 것이다. 舊說에는 諸侯도 貶下하여 ‘人’으로 記錄한다고 하였으나, 杜氏는 諸侯는 貶下하여도 ‘人’으로 칭하는 데는 이르지 않는다고 여겼다. 그러므로 이번의 일을 인해 諸侯를 ‘人’으로 칭하지 않는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역주67 後之人必有任是夫 國棄矣 : 國棄矣가 後之人 앞으로 가야 하는 倒置句로, 公衡이 나라의 형편을 돌아보지 않고 放棄하였으니, 後人이 반드시 禍를 입게 될 것이라는 뜻이다.
역주68 大誓所謂商兆民離 周十人同者 : 《書經》 〈泰誓篇〉의 “受有億兆夷人離心離德予有亂臣十人同心同德”이란 말을 要約해 引用한 것이다.
역주69 獻齊捷于周 : 獻齊捷은 齊나라와의 戰爭에 勝利하고서 잡은 俘虜(捕虜)와 鹵獲한 戰利品을 天子에게 바친 것이다.
역주70 淫湎 : 淫은 女色에 빠지는 것이고, 湎은 술에 빠지는 것이다.
역주71 王略 : 略을 杜注에는 ‘經略法度’로 풀었으나, 譯者는 이를 따르지 않고 王이 劃定한 各國의 境界로 飜譯하였다.
역주72 不獻其功 : 功은 戰爭에 勝利로 얻은 捕虜와 戰利品을 이른다.
역주73 今叔父克遂有功于齊 : 叔父는 天子가 同姓諸侯를 이르는 말인데, 여기서는 晉景公을 이른 것이다. 克遂는 能成이다.
역주74 命卿 : 命卿은 周王이 任命한 諸侯의 卿이다.
역주75 所使來撫余一人 : 余一人은 天子가 자신을 이르는 말이다. 단 天子만이 이 말을 쓸 수 있다.
역주76 奸先王之禮 : 獻齊捷이 先王의 法度에 어긋난다는 말이다.
역주77 怨[怒] : 저본에는 ‘怨’으로 되어 있으나 《四庫全書左傳杜林合注》本에 의거하여 ‘怒’로 바로잡았다.

춘추좌씨전(3) 책은 2019.05.2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