注
前第二行題曰 ‘御製序幷注及書’, 其下小字曰 ‘
’,
後有‘天寶四載九月一日,
國子祭酒 上柱國 臣李齊古上表’及
宗御批大字草書三十八字,
其下有‘特進 行尙書左僕射 兼右相 吏部尙書 集賢院學士 修國史 上柱國 晉國公 臣林甫’等四十五人,
.
經‧序‧注俱八分書, 其額曰 ‘大唐開元天寶聖文神武皇帝注孝經’.
臺中間人名下攙入‘丁酉歲八月卄六日紀’九字, 是後人所添. 是歲乙酉, 非丁酉也. 又末二
, 官銜不書‘臣’, 亦可疑.”
注
末題 “熙寧壬子八月壬寅, 書付姪慥收. 時寓
之廢寺, 居東齊. 南軒題.”
注
宋
刊. 每半葉八行, 行十七字, 注文雙行, 附音釋.
注
是本刊于明正德六年. 每半葉十行, 行十七字, 注疏每格雙行, 行卄三字.
, 不標注字, 正義冠大疏字於上.
每葉之末上題篇識, 皆元泰定間刊本舊式. 錯字甚多, 今校正義, 無別本可據, 記中所稱此本者, 卽據是刻而言.
注
明嘉靖閩中御史
刻. 分卷同正德本, 每半葉九行, 每章首行卄一字, 餘低一格, 每行二十字.
注
고염무顧炎武의 ≪금석문자기金石文字記≫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석각石刻된 ≪효경≫이 지금 서안부 유학西安府 儒學에 있다.
앞면의 둘째 행에 ‘황제가 지은 서序와 주注 및 친필’이라고 쓰여 있고, 그 다음 행에 작은 글씨로 ‘황태자인 신 형臣 亨(숙종肅宗)이 칙명을 받들어 제액題額을 씀’이라고 되어 있으며,
뒷면에는 ‘천보天寶 4년(745) 9월 1일 은청광록대부 국자좨주銀靑光祿大夫 國子祭酒 상주국 신上柱國 臣 리제고李齊古가 표表를 올림’이라는 말과 큰 글씨의 초서草書 38자로 된 현종玄宗의 비답批答이 있다.
그 아래에 ‘특진 행상서좌복사特進 行尙書左僕射 겸 우상兼 右相 이부상서 집현원학사吏部尙書 集賢院學士 수국사 상주국修國史 上柱國 진국공 신晉國公 臣 림보林甫’ 등 45명〈의 직함과 성명이 기록되어〉 있는데, 유독 림보林甫만은 좌복야左僕射였기 때문에 성姓을 쓰지 않았다.
경문經文과 서문序文과 주문注文이 모두 팔분서八分書(예서隸書 2분分과 전서篆書 8분分을 섞어 장식 효과를 낸 서체)로 되어 있고, 그 제액에 ‘대당개원천보성문신무황제주효경大唐開元天寶聖文神武皇帝注孝經(당唐나라 개원開元‧천보연간天寶年間에 성스러운 문덕文德과 신령한 무덕武德을 겸비한 황제皇帝가 ≪효경孝經≫에 주注를 내심)’이라고 하였다.
대臺의 중간에 있는 인명人名 아래에 ‘정유세팔월입륙일기丁酉歲八月卄六日紀(정유년 8월 26일에 기록함)’라는 9자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후대 사람이 보탠 것이다. 이해(745)는 을유년이지 정유년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 마지막 2행〈에 기록된 2명〉에는 관함 〈아래〉에 ‘신臣’자를 쓰지 않았으니, 이 또한 의심스럽다.”
송宋나라 희녕년간熙寧年間의 ≪석각효경石刻孝經≫ 1권
注
이 본本은 장남헌張南軒(장식張栻, 1133~1180)이 필사한 것이다. 장章을 나누지 않았고 행行마다 11자씩이다.
말미에 “희령 임자년(1072) 8월 임인일에 필사하여 조카 조慥에게 부쳐 보관하게 하였다. 이때 등주鄧州의 버려진 절에 우거하며 동재東齋에 거처하고 있었다. 남헌南軒이 씀.”이라고 쓰여 있다.
注
송나라 악가岳珂가 간행하였다. 반엽半葉마다 8행씩이고, 행마다 17자씩이며, 주문注文은 쌍행이고, 음석音釋을 부기附記하였다. 권말에 전서篆書로 ‘상대 악씨相臺 岳氏가 형계荊溪의 가숙家塾에서 판각함[상대악씨각재형계가숙相臺岳氏刻梓荊溪家塾]’라고 나무에 새긴 아형亞形 도장이 찍혀 있다.
注
이 본本은 명나라 정덕正德 6년(1511)에 간행되었다. 반엽半葉마다 10행이고, 행마다 17자이며, 주注와 소疏는 칸마다 2행씩이고 행마다 23자씩이다. 경문 뒤에 주注를 싣고 ‘주注’자 표시는 하지 않았으며, 정의正義 앞에 큰 글씨의 ‘소疏’자를 두었다.
매 섭葉 말미의 윗부분에 편篇 표시를 한 것은 모두 원元나라 태정년간泰定年間(1324~1327) 간행본의 옛 판식版式이다. 잘못된 글자가 매우 많지만, 지금 정의正義를 교감하면서 〈정덕正德 연간의 간행본으로는〉 근거할 만한 다른 본이 없으므로, 교감기에 이 본을 일컬은 경우는 곧 이 각본刻本에 의거하여 말한 것이다.
注
명나라 가정년간嘉靖年間(1522~1566)에 민중閩中의 감찰어사 이원양監察御史 李元陽이 판각하였다. 권卷을 나눈 것은 정덕본正德本과 같고, 반엽半葉마다 9행이며, 매장의 첫 행은 21자이고 나머지는 1칸을 낮추어 행마다 20자이다.
주注와 정의正義는 모두 쌍행이고, 행마다 역시 20자이다. 〈나머지는〉 ≪춘추좌씨전주소교감기春秋左氏傳注疏校勘記≫에 상세하다.
注
명나라 만력萬曆 14년(1586)에 간행하였다. 권卷을 나눈 것은 정덕본正德本과 같다. 〈나머지는〉 ≪춘추좌씨전주소교감기春秋左氏傳注疏校勘記≫에 상세하다.
注
명나라 숭정 기사년崇禎 己巳年(1629)에 상숙常熟의 급고각 모진汲古閣 毛晉이 간행하였다. 권卷을 나눈 것은 정덕본正德本과 같다. 〈나머지는〉 ≪춘추좌씨전주소교감기春秋左氏傳注疏校勘記≫에 상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