疏
正義曰:且者, 語辭. 傳者, 注解之別名. 博釋經意, 傳示後人, 則謂之傳. 注者, 著也.
約文敷暢, 使經義著明, 則謂之注.
自題, 不爲義例. 或曰 “前漢以前名傳, 後漢以來名注.” 蓋亦不然,
何則. 馬融亦謂之傳, 知或說非也. 此言傳注解釋, 則以通暢經指爲義, 義之裁斷, 則以必然當理爲主也.
그리고 전傳은 경문經文의 의미 소통을 의의로 삼고, 의미는 반드시 합당함을 으뜸으로 삼아서,
疏
정의왈正義曰:차且는 어조사語助辭이다. 전傳은 주해注解의 딴이름이다. 경문經文의 뜻을 두루 풀이하여 후인後人에게 전하여 보여주는 것을 전傳이라고 한다. 주注는 저著(드러냄)이다.
간결한 글로 부연하여 의미를 소통시킴으로써 경문의 뜻을 분명히 드러내는 것을 주注라고 한다. 〈이 두 가지는 저자가〉 나름대로 〈선택하여〉 표기할 수 있는 것이지 〈저술의 서로 다른〉 체재가 아니다. 혹자는 말하기를, “전한前漢 이전에는 전傳이라 칭하였고 후한後漢 이후에는 주注라고 칭하였다.”라고 하지만, 이는 옳지 않은 듯하다.
어째서인가. 〈후한後漢의〉 마융馬融도 〈경經에 대한 주해를〉 전傳이라고 하였으므로 혹자의 설이 잘못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대목은〉 전주傳注를 달아 해석하는 것은 경문의 뜻을 명확히 소통시킴을 의의로 삼고, 의미를 판단하는 기준은 반드시 이치에 부합함을 으뜸으로 삼는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