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有至德要道
하야 以
天下
하니 民用和睦
하야 上下無怨
하니라
注
孝者는 德之至요 道之要也라 言先代聖德之主가 能順天下人心하야 行此至要之化하니 則上下臣人이 和睦無怨이라
注
參은 曾子名也라 禮에 師有問이면 避席起答이라 敏은 達也라 言參은 不達하니 何足知此至要之義아하니라
疏
○正義曰:“子”者, 孔子自謂. 案公羊傳云 “子者, 男子通稱也.” 古者謂師爲子, 故夫子以子自稱.
“曰”者,
也. 言先代聖帝明王, 皆行至美之德‧
, 以順天下人心而敎化之,
天下之人, 被服其敎. 用此之故, 竝自相和睦, 上下尊卑, 無相怨者.
“參 汝能知之乎” 又假言參聞夫子之說, 乃避所居之席, 起而對曰 “參性不聰敏, 何足以知先王至德要道之言義.”
旣敍曾子不知, 夫子又爲釋之曰 “夫孝, 德行之根本也.” 釋“先王有至德要道”. 謂至德要道, 元出於孝, 孝爲之本也.
云“敎之所
生也”者, 此釋“以順天下 民用和睦 上下無怨”. 謂王敎由孝而生也.
孝道深廣, 非立可終, 故使復坐, “吾語汝”也.
疏
○正義曰:云“孝者 德之至 道之要也”者, 依王肅義, 德以孝而至, 道以孝而要,
是道德不離於孝. 殷仲文曰 “窮理之至, 以一管衆爲要.”
疏
○正義曰:]劉炫曰 “‘性未達, 何足知’,
‘性未達, 何足知至要之義’”者,
疏
○正義曰:此依鄭注, 引其
也. 言孝行最大, 故爲德之本也. 德則至德也.
疏
○正義曰:此依韋注也. 案禮記祭義稱 “曾子云 ‘衆之本敎曰孝.’”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선왕들은 지극한 덕과 간요簡要한 도道가 있으시어 천하 〈사람들의 마음〉을 따라 〈다스렸기에〉, 백성들이 화목하여 상하上下간에 원망이 없었다.
注
효孝는 지극한 덕德이자 간요한 도道이다. ‘성聖스러운 덕德이 있는 선대先代의 군주君主가 천하天下 사람들의 마음을 따라 이 지극한 〈덕德과〉 간요한 〈도道의〉 교화를 행하자 상하上下의 신민臣民이 화목和睦하여 원망이 없었다.’라는 말이다.
너는 이것을 아느냐?” 증자가 자리를 피해 일어서서 말하였다 “삼參은 사리에 달통達通하지 못한데 어찌 그것을 알 수 있겠습니까.”
注
삼參은 증자의 이름이다. 예법禮法에 〈따르면〉 스승이 물으면 자리를 피해 일어서서 대답하는 것이다. 민敏은 달達(사리에 달통함)이다. ‘삼參은 사리에 달통하지 못한데 어찌 이 지극한 〈덕德과〉 간요한 〈도道의〉 뜻을 알 수 있겠습니까.’라고 말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효孝는 덕행德行의 근본이고
注
사람의 덕행은 효孝보다 큰 것이 없으므로 〈효孝가〉 덕행의 근본이 된다.
注
증삼曾參이 일어서서 대답했기 때문에 도로 앉게 하였다.
疏
○정의왈正義曰:[자子] 공자孔子가 자신을 일컬은 말이다. 살펴보건대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에 “자子는 남자男子의 통칭通稱이다.”라고 하였다. 옛날에는 스승을 일컬어 자子라고 하였기 때문에 부자夫子(공자孔子)가 자신을 ‘자子’로 일컬은 것이다.
[왈曰] 어조사이다. ‘선대先代의 성스럽고 영명한 제왕帝王들이 모두 지극히 아름다운 덕德과 핵심적으로 간요簡要한 도道를 행하여 천하 사람들의 마음을 따라 교화하자,
천하 사람들이 그 교화에 감복感服하였다. 이 때문에 모두 저절로 서로 화목하여 상하의 높고 낮은 사람들 사이에 서로 원망하는 일이 없었다.’라고 말하였다.
[삼 여능지지호參 汝能知之乎] 또 증삼曾參이 부자夫子의 말을 듣고서 앉아 있던 자리를 피하여 일어서서 “삼參(증자)은 성품이 총민聰敏하지 못한데 어찌 선왕의 지극한 덕과 간요한 도道라는 말의 뜻을 알 수 있겠습니까.”라고 대답하는 〈상황을〉 가설하여 말하였다.
증자가 알지 못함을 서술하고 나서 부자가 또 그를 위하여 풀이해주기를, “효孝는 덕행의 근본이다.”라고 하는 〈상황을 서술하였다. 이는〉 ‘선왕들은 지극한 덕과 간요한 도道가 있으시어’라는 말을 풀이한 것으로, 지극한 덕과 간요한 도道가 원래 효孝에서 나오므로 효孝가 그 근본이라는 말이다.
[교지소유생야敎之所由生也] 이는 “이순천하 민용화목以順天下 民用和睦 상하무원上下無怨(천하 사람들의 마음을 따라 〈다스렸기에〉, 백성들이 화목하여 상하上下간에 원망이 없었다.)”이라는 말을 풀이한 것으로, 제왕의 교화가 효孝로 말미암아 생긴다는 말이다.
〈[복좌 오어여復坐 吾語汝]〉 효도는 깊고 넓어서 〈증자가〉 서 있는 채로 〈공자가 그에게〉 끝까지 말해줄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이 때문에 도로 앉게 하고 “내가 너에게 말해주겠다.”〈라고 말한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효자 덕지지孝者 德之至 도지요야道之要也] 왕숙王肅이 〈풀이한〉 뜻에 따르면, 덕德은 효孝〈로서의 덕이 가장〉 지극하고 도道는 효孝〈로서의 도道가 가장〉 간요簡要하므로,
도道와 덕德이 효孝와 서로 떨어진 것이 아니다. 은중문殷仲文은 “이치를 궁구함이 지극하여 하나의 〈원리로〉 뭇 현상을 포괄하는 것이 요要이다.”라고 하였다.
疏
○정의왈正義曰:유현劉炫이 “‘성품이 사리에 달통하지 못한데 어찌 알 수 있겠습니까.’라는 〈경문의 내용은〉 ‘성품이 사리에 달통하지 못한데 어찌 지극한 〈덕과〉 간요한 〈도의〉 뜻을 알 수 있겠습니까.’라는 말이다.”라고 한 것은
‘성품이 사리에 달통하지 못한데 어찌 이 선왕의 지극한 덕德과 간요한 도道의 뜻을 알 수 있겠습니까.’라고 스스로 말했다〈고 풀이한〉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이는 정현鄭玄의 주注에 따라 〈성치장聖治章〉의 글을 인용한 것이다. 〈사람의 덕행 중에〉 효행孝行이 가장 크기 때문에 덕의 근본이 된다는 말이다. 〈여기서〉 덕德은 지극한 덕이다.
疏
○정의왈正義曰:이는 위소韋昭(위요韋曜)의 주注를 따른 것이다. 살펴보건대 ≪예기禮記≫ 〈제의祭義〉에 “증자曾子가 말하기를 ‘사람들에게 가장 기본적인 가르침은 효孝이다.’라고 하였다.” 하였다.
≪상서尙書≫에 “공경히 다섯 가지 가르침을 펴되”라고 했는데, 풀이하는 사람이 “아버지에게 의로움을 가르치고, 어머니에게 자애를 가르치고, 형兄에게 아우에 대한 우애[우友]를 가르치고, 아우에게 ‘형에 대한 공경[제悌]’을 가르치고, 자식에게 효孝를 가르친다.”라고 하였다. 이를 예例로 들면 사람 마음을 따르는 그 밖의 〈모든〉 가르침을 〈미루어〉 알 수 있다.
疏
○정의왈正義曰:이 주注의 의미는 이미 위에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