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孟子[ㅣ] 曰 可以取며 可以無取예 取면 傷廉이오 可以與ㅣ며 可以無與에 與ㅣ면 傷惠오 可以死ㅣ며 可以無死애 死ㅣ면 傷勇이니라
集註
先言可以者는 略見而自許之辭也요 後言可以無者는 深察而自疑之辭也라 過取 固害於廉이나 然이나 過與 亦反害其惠요 過死 亦反害其勇이니 蓋過猶不及之意也라 林氏曰 公西華受五秉之粟은 是傷廉也요 冉子與之는 是傷惠也요 子路之死於衛는 是傷勇也니라
23.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얼핏 보면 취해도 될 듯하지만 실제로 취해서는 안 되는 경우에 취하면 청렴함을 해치게 되고, 얼핏 보면 주어도 될 듯하지만 실제로 주어서는 안 되는 경우에 주면 은혜를 해치게 되며, 얼핏 보면 죽어도 될 듯하지만 실제로 죽어서는 안 되는 경우에 죽으면 용기를 해치게 된다.”
[James Legge] Mencius said, 'When it appears proper to take a thing, and afterwards not proper, to take it is contrary to moderation. When it appears proper to give a thing and afterwards not proper, to give it is contrary to kindness. When it appears proper to sacrifice one's life, and afterwards not proper, to sacrifice it is contrary to brav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