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萬章이 問曰 敢問友노이다 孟子[ㅣ] 曰 不挾長며 不挾貴며 不挾兄弟而友ㅣ니 友也者 友其德也ㅣ니(ㅣ라) 不可以有挾也ㅣ니라
孟獻子 百乘之家也ㅣ라 有友五人焉더니(이러니) 樂正裘[와] 牧仲이요 其三人(은) 則予[ㅣ] 忘之矣로라 獻子之與此五人者[로] 友也애() 無獻子之家者也ㅣ니 此五人(이) 者ㅣ 亦有獻子之家ㅣ면 則不與之友矣리라
集註
孟獻子는 魯之賢大夫仲孫蔑也라 張子曰 獻子는 忘其勢고 五人者는 忘人之勢니 不資其勢而利其有然後에 能忘人之勢라 若五人者 有獻子之家면 則反爲獻子之所賤矣리라
非惟百乘之家[ㅣ] 爲然也ㅣ라 雖小國之君이라도 亦有之니 費惠公[이] 曰 吾[ㅣ] 於子思(앤) 則師之矣오 吾[ㅣ] 於顔般(앤) 則友之矣오 王順長息(은) 則事我者也ㅣ라니라
集註
惠公은 費邑之君也라 師는 所尊也요 友요 所敬也요 事我者는 所使也라
非惟小國之君[이] 爲然也ㅣ라 雖大國之君이라도 亦有之니 晉平公之於亥唐也애 入云則入며(고) 坐云則坐며(고) 食云則食야 雖疏食사菜羹이라도 未嘗不飽니(시니) 蓋不敢不飽也ㅣ라 然[이나] 終於此而已矣오 弗與共天位也며 弗與治天職也며 弗與食天祿也니 士之尊賢者也ㅣ라(ㅣ오) 非王公之尊賢也ㅣ니라(ㅣ라)
集註
亥唐은 晉賢人也라 平公이 造之에 唐言入이라야 公乃入고 言坐라야 乃坐고 言食이라야 乃食也라 疏食는 糲飯也라 不敢不飽는 敬賢者之命也라○ 范氏曰 位曰天位요 職曰天職이요 祿曰天祿이라하니 言 天所以待賢人여 使治天民이니 非人君所得專者也니라
舜이 尙見현帝어시늘(어시) 帝ㅣ 館甥于貳室시고 亦饗舜샤 迭爲賓主시니 是 天子而友匹夫也ㅣ니라(ㅣ시니라)
集註
尙은 上也니 舜上而見현於帝堯也라 館은 舍也라 禮에 妻父曰外舅니 謂我舅者를 吾謂之甥이라하니 堯以女妻舜이라 故로 謂之甥이라 貳室은 副宮也니 堯舍舜於副宮고 而就饗其食시니라
用下敬上을 謂之貴貴오 用上敬下를() 謂之尊賢이니(이라) 貴貴, 尊賢이 其義[ㅣ] 一也ㅣ니라
集註
貴貴, 尊賢은 皆事之宜者라 然이나 當時에 但知貴貴而不知尊賢이라 故로 孟子曰 其義一也라하시니라○ 此는 言 朋友는 人倫之一이니 所以輔仁이라 故로 以天子友匹夫而不爲詘(屈)이요 以匹夫友天子而不爲僭이니 此는 堯舜所以爲人倫之至여 而孟子言必稱之也시니라
3. 만장이 여쭈었다. “감히 벗과 사귀는 도리에 대해서 여쭙겠습니다.”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나이가 많음을 내세우지 않고, 신분이 귀함을 내세우지 않으며, 형이나 동생의 세력을 내세우지 않고 벗을 사귀어야 하네. 벗을 사귄다는 것은 그 사람의 덕(德)을 벗하는 것이니[友也者 友其德也], 내세우는 것이 있어서는 안 되네. 노(魯)나라의 현명한 대부(大夫) 맹헌자(孟獻子)는 백승(百乘)의 대부 집안이었네. 벗 다섯 명이 있었는데 악정구(樂正裘)와 목중(牧仲)이고, 나머지 세 사람은 내가 이름을 잊어버렸네.
[언해] 萬만章이 묻와 오 敢감히 友우홈을 묻노이다 孟子ㅣ 샤 長을 挾협디 아니며 貴귀를 挾협디 아니며 兄弟뎨를 挾협디 아니야 友우홀띠니 友우욤은 그 德덕을 友우홈이니 可가히 挾협홈을 두디 몯 꺼시니라
[James Legge] Wan Chang asked Mencius, saying, 'I venture to ask the principles of friendship.' Mencius replied, 'Friendship should be maintained without any presumption on the ground of one's superior age, or station, or the circumstances of his relatives. Friendship with a man is friendship with his virtue, and does not admit of assumptions of superiority.
맹헌자가 이 다섯 사람과 사귈 적에 이 다섯 사람은 맹헌자가 백승의 집안이라는 것을 의식함이 없었으니, 이 다섯 사람이 또한 맹헌자가 백승의 집안이라는 것을 의식하였다면 맹헌자는 이들과 벗하지 않았을 것이네.
[언해] 孟獻헌子 百乘ㅅ 家가ㅣ라 벋 五오人을 둣더니 樂악正裘구와 牧목仲中이오 그 三삼人인 則즉 내 忘호라 獻헌子의 이 五오人者쟈로 더블어 友우욤애 獻헌子의 家가ㅣ 업 者쟈ㅣ니 이 五오人者쟈ㅣ 獻헌子의 家가를 有유면 곧 더블어 友우티 아니리라
[James Legge] 'There was Mang Hsien, chief of a family of a hundred chariots. He had five friends, namely, Yo-chang Chiû, Mû Chung, and three others whose names I have forgotten. With those five men Hsien maintained a friendship, because they thought nothing about his family. If they had thought about his family, he would not have maintained his friendship with them.
오직 백승의 대부 집안만이 그러했던 것이 아니라, 비록 작은 나라의 임금 또한 그러한 경우가 있으니, 비읍(費邑)의 혜공(惠公)이 말하기를 ‘내가 자사(子思)는 스승으로 섬기고, 안반(顔般)은 벗으로 대하며, 왕순(王順)과 장식(長息)은 나를 섬기는 자들이다.’ 하였네.
[언해] 오직 百乘ㅅ 家가ㅣ 그러 이 아니라 비록 小쇼國국엣 君군이라도 이시니 費비惠혜公이 오 내 子思애 師고 내 顔안般반애 友우고 王順슌과長息식이 나 事 者쟈ㅣ라 니라
[James Legge] 'Not only has the chief of a family of a hundred chariots acted thus. The same thing was exemplified by the sovereign of a small State. The duke Hûi of Pî said, "I treat Tsze-sze as my Teacher, and Yen Pan as my Friend. As to Wang Shun and Ch'ang Hsî, they serve me."
오직 작은 나라의 군주만이 그러했던 것이 아니라, 비록 큰 나라의 임금 또한 그러한 경우가 있네. 진(晉)나라 평공(平公)은 현인인 해당(亥唐)을 대할 때에 그가 들어오라고 하면 들어가고, 앉으라고 하면 앉고, 먹으라고 하면 먹었는데, 비록 거친 밥과 나물국이라도 배불리 먹지 않은 적이 없었으니, 이는 감히 배불리 먹지 않을 수가 없었기 때문이네. 그러나 이에 그칠 뿐이었고, 하늘이 준 지위를 그와 함께 소유하지도 않았으며, 하늘이 준 직책을 그와 함께 다스리지도 않았으며, 하늘이 준 녹봉을 그와 함께 먹지도 않았으니, 이는 사(士)의 입장에서 현자(賢者)를 높인 것이지, 왕공(王公)의 입장에서 현자를 높인 것이 아닐세.
[언해] 오직 小쇼國국엣 君군이 그러 니 아니라 비록 大대國국엣 君군이라도 이시니 晉진平公이 亥唐의게 入라 니면 入며 坐좌라 니면 坐좌며 食식라 니면 食식야 비록 疏소食와 菜羹이라도 일쯕 飽포티 아니티 아니니 敢감히 飽포티 아니티 몯얘니라 그러나 이예 終 이오 더블어 天텬位위 位티 아니며 더블어 天텬職직을 治티티 아니며 더블어 天텬祿록을 食식디 아니니 士의 賢현을 尊존홈이라 王公의 賢현을 尊존홈이 아니니라
[James Legge] 'Not only has the sovereign of a small State acted thus. The same thing has been exemplified by the sovereign of a large State. There was the duke P'ing of Tsin with Hâi T'ang:-- when T'ang told him to come into his house, he came; when he told him to be seated, he sat; when he told him to eat, he ate. There might only be coarse rice and soup of vegetables, but he always ate his fill, not daring to do otherwise. Here, however, he stopped, and went no farther. He did not call him to share any of Heaven's places, or to govern any of Heaven's offices, or to partake of any of Heaven's emoluments. His conduct was but a scholar's honouring virtue and talents, not the honouring them proper to a king or a duke.
순(舜)이 올라가 요(堯)임금을 뵙자, 요임금께서 사위 순을 별궁(別宮)에 머물게 하시고, 또 순에게 가서 음식을 대접받아 번갈아 손님과 주인이 되셨으니, 이는 천자로서 평민과 벗하신 것이네.
[언해] 舜슌이 尙야 帝뎨 보와시 帝뎨ㅣ甥을 貳室실에 館관시고 舜슌의게 饗샤 서 賓빈이며 主쥬ㅣ 되시니 이 天텬子ㅣ오 匹필夫부 友우홈이니라
[James Legge] 'Shun went up to court and saw the sovereign, who lodged him as his son-in-law in the second palace. The sovereign also enjoyed there Shun's hospitality. Alternately he was host and guest. Here was the sovereign maintaining friendship with a private man.
아랫사람으로서 윗사람을 공경하는 것을 일러 ‘귀한 사람을 귀하게 여긴다[貴貴].’고 이르고, 윗사람으로서 아랫사람을 공경하는 것을 일러 ‘어진 이를 높인다[尊賢].’고 이르는데, 귀한 사람을 귀하게 여기는 것과 어진 이를 높이는 것은 그 도리가 같네.”
[언해] 下하로 上을 敬욤을 貴귀 貴귀홈이라 니고 上으로 下하 敬욤을 賢현을 尊존홈이라 니니 貴귀貴 귀며 賢현을 尊존홈이 그 義의ㅣ 가지니라
[James Legge] Respect shown by inferiors to superiors is called giving to the noble the observance due to rank. Respect shown by superiors to inferiors is called giving honour to talents and virtue. The rightness in each case is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