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孟子[ㅣ] 曰 舜(은) 發於畎畝之中시고 傅說(부열)(은) 擧於版築之間고 膠鬲은 擧於魚鹽之中고 管夷吾 擧於士고 孫叔敖 擧於海고 百里奚 擧於市니라
集註
舜은 耕歷山이러시니 三十에 登庸시고 說은 築傅巖이러니 武丁이 擧之고 膠鬲은 遭亂여 鬻販魚鹽이러니 文王이 擧之시고 管仲은 囚於士官이러니 桓公이 擧以相國고 孫叔敖는 隱處海濱이러니 楚莊王이 擧之爲令尹니라 百里奚는 事見前篇니라
故[로] 天將降大任於是人也ㅣ신댄 必先苦其心志며 勞其筋骨며 餓其體膚며 空乏其身야(며) 行拂亂其所爲니 所以動心忍性야 曾(增)益其所不能이니라
集註
降大任은 使之任大事也니 若舜以下 是也라 空은 窮也요 乏은 絶也라 拂은 戾也니 言 使之所爲不遂여 多背戾也라 動心忍性은 謂竦動其心고 堅忍其性也라 然이나 所謂性은 亦指氣稟食色而言耳니라 程子曰 若要熟也인댄 須從這裏過니라
人恒過然後[에] 能改니 困於心[며] 衡(橫)於慮而後[에] 作며 徵於色[며] 發於聲而後[에] 喩ㅣ니라
集註
恒은 常也니 猶言大率也라 橫은 不順也라 作은 奮起也라 徵은 驗也라 喩는 曉也라 此는 又言 中人之性이 常必有過然後에 能改나니 蓋不能謹於平日이라 故로 必事勢窮蹙여 以至困於心, 橫於慮然後에 能奮發而興起고 不能燭於幾微라 故로 必事理暴폭著여 以至驗於人之色, 發於人之聲然後에 能警悟而通曉也니라
入則無法家拂(弼)士고 出則無敵國外患者 國恒亡이니라
集註
此는 言國亦然也라 法家는 法度之世臣也요 拂士는 輔弼之賢士也라
然後[에] 知生於憂患(고) 而死於安樂也ㅣ니라(ㅣ로다)
集註
以上文觀之면 則知人之生全이 出於憂患이요 而死亡이 由於安樂矣니라○ 尹氏曰 言 困窮拂鬱은 能堅人之志여 而熟人之仁이니 以安樂失之者多矣니라
15.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순(舜)임금께서는 밭두둑 가운데에서 농사짓다가 떨쳐 일어나셨고, 부열(傅說)은 성벽 쌓는 일을 하다가 등용되었고, 교격(膠鬲)은 어물과 소금을 팔다가 등용되었고, 관이오(管夷吾)(관중(管仲))는 옥에 갇혀 있다가 등용되었고, 손숙오(孫叔敖)는 바닷가에서 살다가 등용되었고, 백리해(百里奚)는 시장에서 등용되었다.
[언해] 孟子ㅣ 샤 舜슌은 畎견畝모ㅅ 中애셔 發발시고 傅부說열은 版판築튝ㅅ 間간애 擧거고 膠교鬲격은 魚어鹽염ㅅ 中애 擧거고 管관夷이吾오 士애 擧거고 孫손叔슉敖오 海예 擧거고 百里리奚 市시예 擧거니라
[James Legge] Mencius said, 'Shun rose from among the channelled fields. Fû Yüeh was called to office from the midst of his building frames; Chiâo-ko from his fish and salt; Kwan Î-wû from the hands of his gaoler; Sun-shû Âo from his hiding by the sea-shore; and Pâi-lî Hsî from the market-place.
그러므로 하늘이 장차 큰 임무를 어떤 사람에게 내리려 할 적에는 반드시 먼저 그의 마음을 괴롭게 하고 그의 근골(筋骨)을 수고롭게 하며, 그의 몸을 굶주리게 하고 그의 몸을 궁핍하게 하여, 어떤 일을 행함에 그가 하는 일이 뜻대로 되지 않게 하니, 이는 그렇게 함으로써 마음을 분발시키고 성질을 참게 하여[動心忍性], 그가 할 수 없는 일을 해낼 수 있게 해주려는 것이다.
[언해] 故고로 天텬이 將 大대任을 是시人의게 降호려 신댄 반시 몬져 그 心심志지를 苦고케 며 그 筋근骨골을 勞로케 며 그 體톄膚부를 餓아케 며 그 身신을 空乏핍게 야 行욤애 그 바 拂블亂란케 니 心심을 動며 性을 忍야 그 能티 몯 바 曾증益익논 배니라
[James Legge] 'Thus, when Heaven is about to confer a great office on any man, it first exercises his mind with suffering, and his sinews and bones with toil. It exposes his body to hunger, and subjects him to extreme poverty. It confounds his undertakings. By all these methods it stimulates his mind, hardens his nature, and supplies his incompetencies.
사람은 항상 과실이 있은 뒤에 고치니, 마음이 고달프고 생각에 순조롭지 못한 것이 있은 뒤에야 분발하며, 사람들의 낯빛에 드러나고 음성에 나타난 뒤에야 깨닫는다.
[언해] 人 덛더디 過과 然後후에 能능히 改니 心심에 困곤며 慮려에 衡 후에 作작며 色에 徵며 聲에 發발 後후에 喩유니라
[James Legge] 'Men for the most part err, and are afterwards able to reform. They are distressed in mind and perplexed in their thoughts, and then they arise to vigorous reformation. When things have been evidenced in men's looks, and set forth in their words, then they understand them.
나라에 들어가서는 법도(法度) 있는 대신(大臣)의 집안과 보필하는 선비가 없고, 나라 밖에 나와서는 적국(敵國)과 외환(外患)이 없는 나라는 항상 망한다.
[언해] 入면 法법家가와 弼필士ㅣ 업고 出츌면 敵뎍國국과 外외患환이 업 者쟈 國국이 덛덛이 亡니라
[James Legge] 'If a prince have not about his court families attached to the laws and worthy counsellors, and if abroad there are not hostile States or other external calamities, his kingdom will generally come to ruin.
그런 뒤에야 사람은 우환(憂患) 가운데에서는 살아나고 안락함 가운데에서는 죽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
[언해] 그런 後후에 憂우患환애 生고 安안樂락애 死홈을 알띠니라
[James Legge] 'From these things we see how life springs from sorrow and calamity, and death from ease and plea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