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孟子[ㅣ] 曰 盡其心者 知其性也ㅣ니 知其性(ㅣ면) 則知天矣니라(리라)
集註
心者는 人之神明이니 所以具衆理而應萬事者也라 性은 則心之所具之理요 而天은 又理之所從以出者也라 人有是心이 莫非全體나 然이나 不窮理면 則有所蔽而無以盡乎此心之量이라 故로 能極其心之全體而無不盡者는 必其能窮夫理而無不知者也니 旣知其理면 則其所從出이 亦不外是矣라 以大學之序言之면 知性은 則物格之謂요 盡心은 則知至之謂也니라
集註
存은 謂操而不舍요 養은 謂順而不害라 事는 則奉承而不違也라
殀壽[에] 不貳야 修身以俟之 所以立命也ㅣ니라
集註
殀壽는 命之短長也라 貳는 疑也라 不貳者는 知天之至요 修身以俟死는 則事天以終身也라 立命은 謂全其天之所付여 不以人爲害之라○ 程子曰 心也, 性也, 天也는 一理也라 自理而言이면 謂之天이요 自稟受而言이면 謂之性이요 自存諸人而言이면 謂之心이니라 張子曰 由太虛여 有天之名고 由氣化여 有道之名고 合虛與氣여 有性之名고 合性與知覺여 有心之名이니라 愚謂 盡心知性而知天은 所以造其理也요 存心養性以事天은 所以履其事也니 不知其理면 固不能履其事라 然이나 徒造其理고 而不履其事면 則亦無以有諸己矣니라 知天而不以殀壽貳其心은 智之盡也요 事天而能修身以俟死는 仁之至也니 智有不盡이면 固不知所以爲仁이라 然이나 智而不仁이면 則亦將流蕩不法여 而不足以爲智矣니라
1.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그 마음을 다 실천하는 자는 마음의 근원인 성(性)을 알 수 있으니, 그 성을 알면 더 나아가서 성의 근원인 하늘을 알 수 있게 된다.
[언해] 孟子ㅣ 샤 그 心심을 盡진 者쟈 그 性을 알니 그 性을 알면 天텬을 아니라 그 心심을 存존야 그 性을 養욤은 天텬을 事 배오
[James Legge] Mencius said, 'He who has exhausted all his mental constitution knows his nature. Knowing his nature, he knows Heaven.
그 마음을 보존하여 그 성을 기름[存心養性]은 하늘을 섬기는 것이요,
[James Legge] 'To preserve one's mental constitution, and nourish one's nature, is the way to serve Heaven.
요절하거나 장수하거나 하는 것에 의심하지 않고 몸을 닦아 천명(天命)을 기다리는 것은 명(命)을 세우는 것이다.”
[언해] 殀요壽슈에 貳티 아니야 身신을 修슈야 俟욤은 命을 立립 배니라
[James Legge] 'When neither a premature death nor long life causes a man any double-mindedness, but he waits in the cultivation of his personal character for whatever issue;-- this is the way in which he establishes his Heaven-ordained 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