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公孫丑[ㅣ] 曰 詩曰 不素餐兮라니 君子之不耕而食은 何也잇고 孟子[ㅣ] 曰 君子ㅣ 居是國也애 其君[이] 用之(면) 則安富尊榮고 其子弟[ㅣ] 從之(면) 則孝弟忠信니 不素餐兮ㅣ 孰大於是리오
集註
詩는 魏國風伐檀之篇이라 素는 空也니 無功而食祿을 謂之素餐이라 此는 與告陳相彭更之意同이라
32. 공손추가 말하였다. “《시경》 〈벌단(伐檀)〉에 이르기를 ‘공밥을 먹지 않는다.’ 하였는데, 군자(君子)가 농사짓지 않고 먹는 것은 어째서 입니까?”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가 어떤 나라에 있을 경우 그 나라 임금이 그를 등용하면, 나라가 편안하고 부유해지고 권위가 높아지고 영화로우며, 자제(子弟)들이 그를 따르면 효도하고 공손하며 충성스럽고 미덥게 될 것이니, 공밥을 먹지 않는 것 중에 무엇이 이보다 더 크겠는가?”
[James Legge] Kung-sun Ch'âu said,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He will not eat the bread of idleness!"
How is it that we see superior men eating without labouring?' Mencius replied, 'When a superior man resides in a country, if its sovereign employ his counsels, he comes to tranquillity, wealth and glory. If the young in it follow his instructions, they become filial, obedient to their elders, true-hearted, and faithful. What greater example can there be than this of not eating the bread of idl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