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孟子[ㅣ] 曰 民[이] 爲貴고 社稷[이] 次之고 君[이] 爲輕니라(이니라)
集註
社는 土神이요 稷은 穀神이니 建國則立壇壝以祀之라 蓋國은 以民爲本이요 社稷도 亦爲民而立이며 而君之尊은 又係於二者之存亡이라 故로 其輕重이 如此니라
是故[로] 得乎丘民이 而爲天子ㅣ오 得乎天子ㅣ 爲諸侯ㅣ오 得乎諸侯ㅣ 爲大夫ㅣ니라
集註
丘民은 田野之民이니 至微賤也라 然이나 得其心이면 則天下歸之요 天子는 至尊貴也나 而得其心者는 不過爲諸侯耳니 是는 民爲重也라
集註
諸侯無道여 將使社稷爲人所滅이면 則當更경立賢君이니 是는 君輕於社稷也라
犧牲[이] 旣成며 粢盛[이] 旣潔야 祭祀以時호 然而旱乾간水溢(면) 則變置社稷니라
集註
祭祀不失禮로되 而土穀之神이 不能爲民禦災捍患이면 則毁其壇壝而更置之나니 亦年不順成八蜡사不通之意니 是는 社稷이 雖重於君이나 而輕於民也라
14.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백성이 가장 귀중하고, 사직(社稷)이 그 다음이고, 임금은 가벼운 존재이다.
[언해] 孟子ㅣ 샤 民민이 貴귀고 社샤稷직이 次고 君군이 輕니라
[James Legge] Mencius said, 'The people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a nation; the spirits of the land and grain are the next; the sovereign is the lightest.
그러므로 백성의 마음을 얻으면 천자(天子)가 되고, 천자에게 신임을 얻으면 제후(諸侯)가 되고, 제후에게 신임을 얻으면 대부(大夫)가 된다.
[언해] 이런 故고로 丘구民민에 得득 이 天텬子ㅣ 되고 天텬子에 得득 이 諸져侯후ㅣ 되고 諸져侯후의 得득 이 태위 되니라
[James Legge] 'Therefore to gain the peasantry is the way to become sovereign; to gain the sovereign is the way to become a prince of a State; to gain the prince of a State is the way to become a great officer.
제후가 사직을 위태롭게 하면 제후를 바꾸어버린다.
[언해] 諸져侯후ㅣ 社샤稷직을 危위케 면 變변置티니라
[James Legge] 'When a prince endangers the altars of the spirits of the land and grain, he is changed, and another appointed in his place.
희생(犧牲)이 이미 준비되고 제사에 바칠 곡식인 자성(粢盛)이 정결하여 제사를 제때에 지냈는데도, 가뭄이 들고 물이 넘치면 사직을 바꾸어 설치한다.”
[언해] 犧희牲이 임의 成며 粢盛이 임의 潔결야 祭졔祀 時시로 호 그러나 旱한야 乾간며 水슈야 溢일면 社샤稷직을 變변置티니라
[James Legge] 'When the sacrificial victims have been perfect, the millet in its vessels all pure, and the sacrifices offered at their proper seasons, if yet there ensue drought, or the waters overflow, the spirits of the land and grain are changed, and others appointed in their 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