集註
趙氏曰 貉은 姓이요 稽는 名이니 爲衆口所訕니라 理는 賴也라하니라 今按漢書컨대 無俚를 方言에 亦訓賴니라
孟子[ㅣ] 曰 無傷也ㅣ라 士ㅣ 憎(增)玆多口니라(ㅣ니라)
集註
趙氏曰 爲士者 益多爲衆口所訕이라하니라 按此則憎當從土어늘 今本에 皆從心니 蓋傳寫之誤니라
詩云 憂心悄悄ㅣ어 慍于群小ㅣ라니 孔子也ㅣ시고 肆不殄厥慍시나 亦不隕厥問(聞)이라니 文王也ㅣ시니라
集註
詩는 邶風柏舟及大雅緜之篇也라 悄悄는 憂貌요 慍은 怒也라 本言 衛之仁人이 見怒於群小어늘 孟子以爲孔子之事可以當之라하시니라 肆는 發語辭라 隕은 墜也요 問은 聲問也라 本言 大(太)王事昆夷에 雖不能殄絶其慍怒나 亦不自墜其聲問之美어늘 孟子以爲文王之事可以當之라하시니라○ 尹氏曰 言 人顧自處如何니 盡其在我者而已니라
19. 맥계(貉稽)가 말하였다. “저는 남들의 비방을 많이 듣습니다.”
[James Legge] Mo Ch'î said, 'Greatly am I from anything to depend upon from the mouths of men.'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문제될 것이 없네. 선비는 더욱 구설(口舌)이 많은 법이네.
[James Legge] Mencius observed, 'There is no harm in that. Scholars are more exposed than others to suffer from the mouths of men.
《시경》 〈백주(柏舟)〉에 이르기를 ‘마음에 걱정이 많거늘 여러 소인(小人)들에게 노여움을 사는도다.’ 하였으니 공자의 경우가 그러하였고, ‘그들의 노여움을 없애지는 못했으나 또한 그 명성을 잃지 않았다.’ 하였으니 문왕의 경우가 그러하였네.”
[James Legge]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My heart is disquieted and grieved,
I am hated by the crowd of mean creatures."
This might have been said by Confucius. And again,
"Though he did not remove their wrath,
He did not let fall his own fame."
This might be said of king 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