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孟子[ㅣ] 曰 口之於味也와 目之於色也와 耳之於聲也와 鼻之於臭也와 四肢之於安佚也애(ㅣ) 性也ㅣ나 有命焉이라 君子ㅣ 不謂性也ㅣ니라
集註
程子曰 五者之欲은 性也라 然이나 有分여 不能皆如其願니 則是命也니 不可謂我性之所有而求必得之也니라 愚按 不能皆如其願은 不止爲貧賤이요 蓋雖富貴之極이라도 亦有品節限制니 則是亦有命也니라
仁之於父子也와 義之於君臣也와 禮之於賓主也와 智之於賢者也와 聖人之於天道也애(ㅣ) 命也ㅣ나 有性焉이라 君子ㅣ 不謂命也ㅣ니라
集註
程子曰 仁義禮智天道 在人이면 則賦於命者니 所稟이 有厚薄淸濁이라 然而性善여 可學而盡이라 故로 不謂之命也니라 張子曰 晏嬰이 智矣로되 而不知仲尼니 是非命邪아 愚按 所稟者厚而淸이면 則其仁之於父子也에 至고 義之於君臣也에 盡고 禮之於賓主也에 恭고 智之於賢否也에 哲고 聖人之於天道也에 無不脗合而純亦不已焉이요 薄而濁이면 則反是니 是皆所謂命也니라 或曰 者는 當作否요 人은 衍字라하니 更詳之니라○ 愚聞之師니 曰 此二條者는 皆性之所有而命於天者也라 然이나 世之人이 以前五者로 爲性이라하여 雖有不得이라도 而必欲求之고 以後五者로 爲命이라하여 一有不至면 則不復致力이라 故로 孟子各就其重處言之사 以伸此而抑彼也시니 張子所謂 養則付命於天이요 道則責成於己니 其言이 約而盡矣로다
24.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입이 좋은 맛을, 눈이 좋은 색을, 귀가 좋은 음악을 원하고, 코가 좋은 냄새를, 사지(四肢)가 안일(安佚)함을 원하는 것은 본성(本性)이지만 이것은 명(命)에 달려 있으므로, 군자는 이를 성(性)이라 하지 않는다.
[언해] 孟子ㅣ 샤 口구ㅣ 味미에와 目목이 色애와 耳ㅣ 聲에와 鼻비ㅣ 臭에와 四肢지ㅣ 安안佚일홈애 性셩이나 命이 인디라 君군子ㅣ 性이라 닐디 아니니라
[James Legge] Mencius said, 'For the mouth to desire sweet tastes, the eye to desire beautiful colours, the ear to desire pleasant sounds, the nose to desire fragrant odours, and the four limbs to desire ease and rest;-- these things are natural. But there is the appointment of Heaven in connexion with them, and the superior man does not say of his pursuit of them, "It is my nature."
부자간(父子間)의 인(仁)과, 군신간(君臣間)의 의(義)와, 빈주간(賓主間)의 예(禮)와, 현자(賢者)의 지(智)와, 성인(聖人)의 천도(天道)는 모두 명이지만 이것은 성에 달려 있으므로, 군자는 이를 명이라 하지 않는다.”
[언해] 仁이 父부子애와 義의ㅣ 君군臣신에와 禮례ㅣ 賓빈主쥬에와 智디ㅣ 賢현者쟈애와 聖人이 天텬道도애 命이나 性셩이 인디라 君군子ㅣ 命이라 닐디 아니니라
[James Legge] 'The exercise of love between father and son, the observance of righteousness between sovereign and minister, the rules of ceremony between guest and host, the display of knowledge in recognising the talented, and the fulfilling the heavenly course by the sage;-- these are the appointment of Heaven. But there is an adaptation of our nature for them. The superior man does not say, in reference to them, "It is the appointment of Heav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