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孟子[ㅣ] 之滕샤 館於上宮이러시니 有業屨於牖上이러니(이라가) 館人이 求之弗得다
集註
館은 舍也라 上宮은 別宮名이라 業屨는 織之有次業而未成者라 蓋館人所作을 置之牖上而失之也라
或이 問之曰 若是乎從者之廋也여(ㅣ여) 曰 子ㅣ 以是[로] 爲竊屨來與아 曰 殆非也ㅣ라 夫子之設科也() 往者[] 不追며(고) 來者[] 不拒샤(야) 苟以是心[으로] 至커든 斯受之而已矣시니라(니이다)
集註
或問之者는 問於孟子也라 廋는 匿也니 言 子之從者乃匿人之物이 如此乎인저하니라 孟子答之에 而或人이 自悟其失고 因言 此從者固不爲竊屨而來라 但夫子設置科條여 以待學者시니 苟以向道之心而來면 則受之耳라 雖夫子라도 亦不能保其往也라하니 門人이 取其言이 有合於聖賢之指라 故로 記之니라
30. 맹자께서 등(滕)나라에 가서 별궁(別宮)인 상궁(上宮)에 머물고 계셨다. 여관의 주인이 만들다가 만 신을 창문 위에 두었는데, 그것이 없어져서 주인이 찾아도 찾지 못하였다.
[James Legge] When Mencius went to T'ang, he was lodged in the Upper palace. A sandal in the process of making had been placed there in a window, and when the keeper of the place came to look for it, he could not find it.
그러자 어떤 사람이 물었다. “제자들이 물건을 훔치는 것이 이와 같단 말입니까?” 맹자께서 대답하셨다. “자네는 이 사람들이 신을 훔치러 왔다고 여기는가?” “아닙니다. 선생님께서 수업방침을 세운 것은 가는 자를 붙잡지 않고 오는 자를 막지 않으시어[往者不追 來者不拒], 진실로 배우겠다는 순수한 마음으로 오면 받아주시기 때문에 한 말입니다.”
[James Legge] On this, some one asked Mencius, saying, 'Is it thus that your followers pilfer?' Mencius replied, 'Do you think that they came here to pilfer the sandal?' The man said, 'I apprehend not. But you, Master, having arranged to give lessons, do not go back to inquire into the past, and you do not reject those who come to you. If they come with the mind to learn, you receive them without any more a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