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孟子[ㅣ] 曰 堯舜(은) 性者也ㅣ오 湯武 反之也ㅣ시니라
集註
性者는 得全於天고 無所汚壞여 不假修爲니 聖之至也요 反之者는 修爲以復其性여 而至於聖人也라 程子曰 性之, 反之는 古未有此語러니 蓋自孟子發之시니라 呂氏曰 無意而安行은 性者也요 有意利行而至於無意는 復性者也라 堯舜은 不失其性이요 湯武는 善反其性이니 及其成功則一也니라
動容周旋[이] 中禮者 盛德之至也ㅣ니 哭死而哀ㅣ 非爲生者也ㅣ며 經德不回ㅣ 非以干祿也ㅣ며 言語必信이 非以正行也ㅣ니라
集註
細微曲折이 無不中禮는 乃其盛德之至니 自然而中이요 而非有意於中也라 經은 常也요 回는 曲也라 三者 亦皆自然而然이니 非有意而爲之也라 皆聖人之事니 性之之德也라
集註
法者는 天理之當然者也라 君子行之而吉凶禍福을 有所不計니 蓋雖未至於自然이나 而已非有所爲而爲矣라 此는 反之之事니 董子所謂正其義不謀其利며 明其道不計其功이 正此意也니라○ 程子曰 動容周旋이 中禮者는 盛德之至요 行法以俟命者는 朝聞道夕死可矣之意也니라 呂氏曰 法由此立고 命由此出은 聖人也요 行法以俟命은 君子也니 聖人은 性之요 君子는 所以復其性也니라
33.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요순(堯舜)께서는 타고난 성(性)대로 하셨고, 탕무(湯武)께서는 성(性)을 회복하셨다.
[James Legge] Mencius said, 'Yâo and Shun were what they were by nature; T'ang and Wû were so by returning to natural virtue.
모든 행동이 저절로 예(禮)에 맞는 것은 성덕(盛德)이 지극한 것이니, 죽은 자를 곡(哭)하고 슬퍼함은 산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고, 떳떳한 덕(德)을 지키고 간사하지 않음은 녹(祿)을 구해서가 아니며, 말을 반드시 미덥게 하는 것은 나의 행실이 바르다는 것을 보이려고 해서가 아니다.
[언해] 容을 動며 周쥬旋션홈이 禮례예 中 者쟈 盛德덕의 至지홈이니 死 哭곡야 哀홈이 生 者쟈 爲위홈이 아니며 經 德덕이 回회티 아니홈이 祿록을 干간홈이 아니며 言언語어 반시 信신홈이 行을 正홈이 아니니라
[James Legge] 'When all the movements, in the countenance and every turn of the body, are exactly what is proper, that shows the extreme degree of the complete virtue. Weeping for the dead should be from real sorrow, and not because of the living. The regular path of virtue is to be pursued without any bend, and from no view to emolument. The words should all be necessarily sincere, not with any desire to do what is right.
군자는 진리를 행하여 명(命)을 기다릴 뿐이다.”
[언해] 君군子 法법을 行야 命을 俟 이니라
[James Legge] 'The superior man performs the law of right, and thereby waits simply for what has been appoi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