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孟子[ㅣ] 曰 仁則榮고 不仁則辱니 今[애] 惡辱而居不仁이 是猶惡濕而居下也ㅣ니라
集註
好榮, 惡辱은 人之常情이라 然이나 徒惡之而不去其得之之道면 不能免也니라
如惡之댄 莫如貴德而尊士ㅣ니 賢者[ㅣ]在位며 能者[ㅣ] 在職야(고) 國家[ㅣ] 閒暇ㅣ어든 及是時야 明其政刑이면 雖大國이라도 必畏之矣리라
集註
此는 因其惡辱之情여 而進之以彊仁之事也라 貴德은 猶尙德也라 士는 則指其人而言之라 賢은 有德者니 使之在位면 則足以正君而善俗이요 能은 有才者니 使之在職이면 則足以修政而立事라 國家閒暇는 可以有爲之時也니 詳味及字면 則惟日不足之意를 可見矣니라
詩云 迨天之未陰雨야 徹彼桑土야 綢繆牖戶ㅣ면 今此下民이 或敢侮予아야 孔子[ㅣ] 曰 爲此詩者ㅣ 其知道乎뎌 能治其國家ㅣ면 誰敢侮之리오시니라
集註
詩는 豳風鴟鴞之篇이니 周公之所作也라 迨는 及也라 徹은 取也라 桑土는 桑根之皮也라 綢繆는 纏綿補葺也라 牖戶는 巢之通氣出入處也라 予는 鳥自謂也라 言 我之備患이 詳密如此면 今此在下之人이 或敢有侮予者乎아 周公이 以鳥之爲巢如此로 比君之爲國이 亦當思患而預防之어시늘 孔子讀而贊之사 以爲知道也라하시니라
今國家[ㅣ] 閒暇ㅣ어든 及是時야 般樂怠敖니 是[] 自求禍也ㅣ니라
詩云 永言配命이 自求多福이라며(이라고) 太甲[애] 曰 天作孼은 猶可違어니와 自作孼은 不可活이라니 此之謂也ㅣ니라
集註
詩는 大雅文王之篇이라 永은 長也요 言은 猶念也요 配는 合也요 命은 天命也니 此는 言福之自己求者라 太甲은 商書篇名이라 孼은 禍也요 違는 避也요 活은 生也니 書作逭니 逭은 猶緩也니 此는 言禍之自己求者라
4.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임금이 인(仁)하면 영화(榮華)롭고, 불인(不仁)하면 치욕(恥辱)을 받는다. 지금의 임금은 치욕당하는 것을 싫어하면서 불인한 데 처하니, 이는 마치 축축한 것을 싫어하면서 낮은 곳에 처하는 것과 같다.
[언해] 孟子ㅣ 샤 仁면 榮고 仁티 아니면 辱니 이제 辱을 惡오호 不블仁에 居거홈이 이 濕습을 오惡호 下하애 居거홈 니라
[James Legge] Mencius said, 'Benevolence brings glory to a prince, and the opposite of it brings disgrace. For the princes of the present day to hate disgrace and yet to live complacently doing what is not benevolent, is like hating moisture and yet living in a low situation.
만일 치욕을 당하는 것을 싫어한다면 덕(德)을 귀하게 여기고 선비를 높이는 것만 한 것이 없다. 덕이 있는 자가 높은 자리에 있고 재능이 있는 자가 실무를 담당하는 자리에 있어서, 나라가 한가하면 이때를 놓치지 않고 정치(政治)와 형벌(刑罰)에 관한 것을 명확히 시행한다면, 비록 강대국이라도 반드시 두려워할 것이다.
[언해] 만일에 惡오홀딘댄 德덕을 貴귀며 士 尊존홈만 니 업스니 賢현者쟈ㅣ 位위예 이시며 能者쟈ㅣ 職직에 이셔 國국家가ㅣ 閒한暇가거든 이 時시를 及급야 그 政政을 明면 비록 大대國국이라도 반시 畏외리라
[James Legge] 'If a prince hates disgrace, the best course for him to pursue, is to esteem virtue and honour virtuous scholars, giving the worthiest among them places of dignity, and the able offices of trust. When throughout his kingdom there is leisure and rest from external troubles, let him, taking advantage of such a season, clearly digest the principles of his government with its legal sanctions, and then even great kingdoms will be constrained to stand in awe of him.
《시경》 〈치효(鴟鴞)〉에 이르기를 ‘하늘이 비를 내리기 전에 미리 저 뽕나무 뿌리의 껍질을 벗겨다가 둥지의 창과 문을 단단히 얽어매면, 지금 이 아래에 있는 인간들이 감히 나를 업신여기겠는가?’ 하였는데,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이 시를 지은 자는 도(道)를 알 것이다. 자기 나라를 잘 다스린다면 누가 감히 업신여기겠는가?’ 하셨다.
[James Legge]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Before the heavens were dark w1th rain,
I gathered the bark from the roots of the mulberry trees,
And wove it closely to form the window and door of my nest;
Now, I thought, ye people below,
Perhaps ye will not dare to insult me."
Confucius said, "Did not he who made this ode understand the way of governing?" If a prince is able rightly to govern his kingdom, who will dare to insult him?
지금은 나라가 무사하면 이때를 놓칠세라 놀고 즐기며 나태하고 오만한 짓을 하니, 이는 스스로 재앙을 부르는 짓이다.
[James Legge] 'But now the princes take advantage of the time when throughout their kingdoms there is leisure and rest from external troubles, to abandon themselves to pleasure and indolent indifference;-- they in fact seek for calamities for themselves.
화(禍)와 복(福)은 자기로부터 구하지 않는 것이 없다[禍福 無不自己求之者].
[James Legge] 'Calamity and happiness in all cases are men's own seeking.
《시경》 〈문왕(文王)〉에 이르기를 ‘길이 천명(天命)에 부합할 것을 생각함이 스스로 많은 복을 구하는 것이다[永言配命 自求多福].’ 하였으며, 《서경》 〈태갑(太甲)〉에 이르기를 ‘하늘이 만든 재앙은 오히려 피할 수 있지만, 스스로 만든 재앙에는 살 길이 없다[天作孼猶可違 自作孼不可活].’ 하였으니, 이를 말한 것이다.”
[James Legge] 'This is illustrated by wha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Be always studious to be in harmony with the ordinances of God,
So you will certainly get for yourself much happiness;"
and by the passage ofthe Tâi Chiah,-- "When Heaven sends down calamities, it is still possible to escape from them; when we occasion the calamities ourselves, it is not possible any longer to live."'
1
4. 맹자왈 인즉영하…
82
2
4. 맹자왈 인즉영하…
175